•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검색결과 1,919건 처리시간 0.033초

공학설계교육에서 학습과 학습전이간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Outcomes and Learning Transfer in Engineering Design Programs)

  • 윤관식;이병철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3-12
    • /
    • 2009
  • 최근의 공학설계교육의 발달은 공학교육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는 시스템개발이나 과정개발과 관련된 분야에 집중되어 있어, 학습 효과와 학습결과 학습자들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 얼마나 학습전이가 이루어 졌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대학의 공학설계교육의 결과로 발생하는 학습의 정도와 학습전이간의 관계를 규명하려는데 있다. 본래 학습전이는 기업교육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획득한 지식과 기술을 직무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자신의 현 직무에 적용하는 정도를 말한다. 연구결과 학습자 특성과 교육과정설계 특성은 학습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학습자 특성에 따른 전이효과 역시 유효한 결과를 가져왔으며, 학습이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대학 기계공학 실험교육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Suggestion on Experiment Education in Mechanical Engineering of Universities in USA)

  • 박찬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46-51
    • /
    • 2012
  • This work investigated experiment education in mechanical engineering of universities in USA. Through the investig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were analyzed. Finally, the study suggested new contents of experiment education, full-time professors and staffs for experiment, cooperation with design and experiment education, and incentive for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 education.

기초적 공학교육을 위한 Reverse-engineering 교수법 (A New Educational Approach on Basic Engineering Education using Reverse-engineering)

  • 김남호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63-6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공학계열의 1학년 학생들이 자신의 분야와 다른 분야의 공학과의 관련성을 더 잘 이해하고, 공학적 상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법을 제안한다. 전통적으로 주변학문과 자신의 전공분야의 관계를 이해시키고 공학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주지시키기 위하여 1학년의 교육과정에 '공학설계' 과목을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단순 강의를 통한 설명이 주가 되어 왔으며, 적절한 실습을 통한 학습에는 그 소재나 형식의 선정에 한계가 있어왔다. 본 연구를 통하여, Reverse-engineering을 이용한 새로운 교육방법이 5년간에 걸쳐 시도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공학기초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 PDF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서 학생들의 주제 결정 패턴 탐색 (Exploring Topic Defining Patterns of Students in Interdisciplinary Capstone Design Class)

  • 변문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4-26
    • /
    • 2018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opic defining patterns of students in interdisciplinary Capstone Design Class. Thematic analysis methodology was used to examine 85 Korean college students' lived experience of project topic generation which is for interdisciplinary capstone design class and Individual open-ended survey for constituted the data sources. Findings show four contexts of student's topic defining patterns using thematic analysis including (a) one leader's directed problem representation, (b) team common decision making after brainstorming, (c) empathy with professor proposed issue, (d) problems offered to students by corporate or research competitions. Based on research result, I could suggest instructional strategies of Capstone Design Class of teacher for helping their students' topic defining. It was necessary to minimize the opinions of the instructors at the beginning of class and minimize the number of team members. And also it provided a lot of opportunities to collaborate with companies in the topic selection process, it will help to develop the students' ability to determine the valuable topic in project.

공학교육에서의 디자인 및 창의적 설계교육 (Engineering Educations for Creativity and Design in Mind at HIU)

  • 한병기;지해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4호
    • /
    • pp.19-27
    • /
    • 2006
  • 2000년대에 들어와 교육 현장에서는 국가발전의 주요한 원동력 중 하나인 국제경쟁력을 갖춘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공학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한국공학인증체계(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가 마련되어 생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졸업생을 배출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자격기준을 제시하여 이를 충족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은 홍익대학교의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에서의 디자인 및 창의적 설계교육 체계와 그 수행방법을 다루고 있다. 디자인 및 창의적 설계 교육은 10여년전부터 홍익대학교 공학교육의 중심개념으로서 꾸준히 실행되어왔으며 본문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관련 교과목체계의 정립과 본교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교육 특성화 목표를 소개한다.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성과(PO)에 대한 교육요구도 사례 연구 (Case Research on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Students about Program Outcomes(PO))

  • 박기문;이규녀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3호
    • /
    • pp.38-44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bigcirc}{\bigcirc}$대학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대한 교육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공과대학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과대학생들은 학습성과 중 PO2(분석 실험), PO3(설계능력), PO6(팀윅)의 필요도를 높게 인식하였고, 학생 자신이 가진 현재 능력은 PO3(설계능력), PO4(문제해결), PO10(시사상식)을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성과의 교육요구도 순위는 PO3(설계능력), PO2(분석 실험), PO1(지식 응용), PO5(실무능력), PO4(문제해결)로 나타나 공학적 학습성과의 교육요구가 높았다. 반면 비교적 융합적이고 인문적 소양의 성격을 가지는 학습성과(PO7, PO10, PO11)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공과대학의 교육과정은 학습성과 중 설계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설계교육에 비중을 두어 기초설계, 요소설계, 종합설계의 체계적인 이수체계 확립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교수학습 제반활동이 지원되어야 한다. 또한 PO1(분석 실험), PO4(문제해결), PO5(실무능력), PO6(팀웍)에서는 학년별, 성별, 전공 계열별로 학습성과에 따른 교육요구도가 다소 큰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러한 점을 고려한 교육과정 설계와 개선이 필요하다. 정규교과과정을 통한 학습성과 성취가 제한이 될 경우에는 비교과과정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공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비형식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국립과학관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formal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to Achieve Engineering Literacy)

  • 허혜연;김기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1-15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형식교육의 틀 밖에서 실현되는 공학교육을 위한 비형식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비형식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화하여,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논의하였다. 개발된 비형식 공학교육 프로그램은 공학에 관심 있는 고등학생 학습자 90명에게 1박 2일 캠프 형식으로 적용하였고, 개방형 설문 및 심층 인터뷰로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비형식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실제 생활에서 공학, 공학 설계의 중요성 및 공학 설계 과정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지식과 도구를 활용하여 공학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실제 사례를 통해 공학자가 하는 일을 이해하고, 자신의 진로를 설계할 수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동료와의 협업을 통해 공학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공유하고 공학 주제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어야 하는 것을 목표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서 개인 능력을 반영하는 공정한 평가 방법 (Fair Assessment Method Reflecting Individual Ability in Capstone Design Course)

  • 김종완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6-45
    • /
    • 2019
  • Capstone design is a subject taught in a setting where students gather in a team, decide on their own selected topic, and collaborate with one another to perform a project. A fair assessment is very important in a team project-based capstone design course for students. Many instructors agree that harmonizing creative evaluation and outcome assessment is hard in capstone design class. In also, it is not easy to assess students' individual efforts and achievements fairly in accordance with team-based assessment practices. To resolve this issue in this paper, we have surveyed various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methodologies, and have modelled existing evaluating elements into a modified creative process and outcome assessment framework for team project assessment. In particular, we focused on a method of fairly assigning credits by combining team based and individual-level assessments. Analyzing students' achievement and grade evaluation and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performed.

Remarks on Education Method to Turn Failure Experience to Instructions for Engineering Design

  • Arimitsu, Yutaka;Yagi, Hidetsugu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74-77
    • /
    • 2010
  • This article proposes to examine how the study of failure differs from other technical subjects, and how to turn failure experiences to one's advantage. The authors surveyed the properties of failures in PBL (Project Based Learning) and also examined studen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failure, after introducing failure examples. To investigate how students communicate failure experiences to third parties, reports of the failure experience in PBL were evaluated. From above mentioned surveys, we get the following results. The typical causes of failur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lack of skill in manufacturing and inadequate planning, which conversely are minor causes of failure in the industry. A knowledge database on failure, employed commonly in industry, is not effective in PBL, because projects in educational institutes are usually changed every year. Case studies in failure can be approached from many points of view including causes, processes, effects and safety measures. While teachers should emphasize the notable points in the failure examples in introducing examples of specific topics in machine design, teachers should explain the multiple aspects in the failure examples to educate students about the complexity of actual accidents.

  • PDF

'창의적문제해결방법론' 교과목의 플립러닝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Flipped Learning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ology' Course)

  • 한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22-2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flipped learning suitable for engineering education field and to draw out effects and improvements by applying it to actual lessons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or a case study, flipped learning was applied to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ology' which is a liberal arts course of engineering college at D university in Gyeonggi-do.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PARTNER model was applied and weekly instructional guide was presented by each stage.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reflection journal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more able to achieve the deepening learning stage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than the existing class, and found that they had a more challenging plan after the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