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formal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to Achieve Engineering Literacy

공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비형식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국립과학관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0.05.15
  • Accepted : 2020.06.24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n informal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for engineering education that is realized outside the framework of formal education. To this end, a non-format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rationalized, discussing participants'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developed non-format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90 high school learners interested in engineering in a one-night, two-day camp format, and the goal was confirmed through open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e goal of the non-format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ngineering and engineering design in real life and the principles of engineering design processes, and to use a variety of knowledge and tools to creatively solve engineering problems creatively. In addition,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fact that real-life examples allow engineers to understand what they do, design their own careers, and collaborate with colleagues to share various engineering issues and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on engineering topics.

이 연구의 목적은 형식교육의 틀 밖에서 실현되는 공학교육을 위한 비형식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비형식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화하여,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논의하였다. 개발된 비형식 공학교육 프로그램은 공학에 관심 있는 고등학생 학습자 90명에게 1박 2일 캠프 형식으로 적용하였고, 개방형 설문 및 심층 인터뷰로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비형식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실제 생활에서 공학, 공학 설계의 중요성 및 공학 설계 과정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지식과 도구를 활용하여 공학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실제 사례를 통해 공학자가 하는 일을 이해하고, 자신의 진로를 설계할 수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동료와의 협업을 통해 공학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공유하고 공학 주제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어야 하는 것을 목표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1].
  2. 권이영(2015). 과학관 놀이-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권효순, 최완식(2005). 비형식적 교육장소에서 개별적 과학기술학습을 위한 모바일 가이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0(1), 120-132.
  4. 김기수 외(2013). 초중등 공학교육 강화방안 정책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1.
  5. 김미영, 권효순(2007). 비형식적 교육장소에서의 혼합형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3(2), 167-184.
  6. 김민환 외(2016). 국내 원자력 홍보관의 전시물 탐색 및 교육 활용 방안 모색.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7(6), 373-386.
  7. 김영민, 강정하, 허남영(2015).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공학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5(1), 95-117. https://doi.org/10.9722/JGTE.2015.25.1.95
  8. 김영민, 김현정, 이창훈(2012a).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교육요구도 분석. 실과교육연구, 18(4), 185-206. https://doi.org/10.17055/JPAER.2012.18.4.185
  9. 김이슬 외(2010).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 만족도 조사로 본 국립과천과학관의 비형식 과학교육프로그램 운영 방향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4(2), 279-29.
  10. 김이슬, 손정주, 정종철(2011). 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비형식 과학교육 기관의 교육적 역할 제고: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을 중심으로. 과학교육학회지, 35(2), 149-158.
  11. 노진아(2019). 초.중등학생의 비형식 과학기술학습 참여행동 예측을 위한 구조모형.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문대영(2009). 초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태도 및 공학 문제 해결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 51-66.
  13. 문현주, 신명경(2014). 비형식 과학교육의 장으로서의 비형식 전시 패널에 나타난 인식론적 특징 탐색, 교사교육연구, 53(4), 789-802.
  14. 윤리나, 김경화(2014). 비형식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주니어 도슨트' 제도 활용에 대한 연구. 현장과학교육, 8(3), 247-256. https://doi.org/10.15737/SSJ.8.3.201410.247
  15. 이선경, 이선경, 김찬종, 김희백(2005). 비형식적 과학 학습 자료의 시나리오 및 논증 구조: 영국자연사박물관의 공룡관의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49-866.
  16. 이소현(2017). 디지털 시대의 참여적 박물관 구현을 위한 박물관 모바일 러닝 모형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은경, 양은아(2017).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비형식교육 참여 특성 분석. 평생학습사회, 13(4), 51-73.
  18. 이은상(2015). 기술 교사의 공학 교수역량 모델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임나영, 이창훈(2017). 공학캠프를 통한 공학과 기술에 대한 이미지 변화 연구. 공학교육연구, 20(6), 68-75. https://doi.org/10.18108/JEER.2017.20.6.68
  20. 조미헌 외(2013). 형식 교육과 비형식 학습 경험을 통합한 스마트 프로젝트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291-304. https://doi.org/10.14352/jkaie.2013.17.3.291
  21. 허혜연, 권수진(2017). 과학관에서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국립부산과학관의 메이커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2017 공학교육학술대회 발표집, 142-146.
  22. 허혜연 외(2015). 비형식 공학 기술 교육 프로그램 분석. 2015 공학교육학술대회 발표집.
  23. 허혜연(2020). 공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비형식 공학교육 모형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Andrea Burrows, Meghan Lockwood, Mike Borowczak, Edward Janak, Brian Barber. (2018). Integrated STEM: Focus on Informal Education and Community Collaboration through Engineering. Education Sciences 8(1), p.4-18. https://doi.org/10.3390/educsci8010004
  25. Conffield, Frank. (2000). The necessity of informal learning. Bristol: Policy Press.
  26. Christine G. Schnittka, Carol B. Brandt, Brett D. Jones, Michael A. Evans. (2012). Informal Engineering Education After School: Employing the Studio Model for Motivation and Identification in STEM Domains. Advances in Engineering Education, 3(2), 1-31.
  27. Denson, Cameron, Lammi, Matthew, White, Tracy Foote, Bottomley, Laura. (2015). Value of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s for Students Engaged in Engineering Design, Journal of Technology Studies , 41(1), 40-46.
  28. Mehmet C. Ayar. (2015). First-hand Experience with Engineering Design and Career Interest in Engineering: An Informal STEM Education Case Study, Educational Science: Theory& Practice 15(6), 1655-1675.
  29. J. Diamond, M. Horn & D.H. Uttal. (2016). Practical Evaluation Guide: Tools for Museums and Other Informal Educational Settings. Rowman Altamira.
  30. Salamon, A., Kupersmith, S., Housten, D. (2008). Inspiring future young engineers through Robotics outreach. Retrieved from http://www.atl.lmco.com/papers/1559.pdf
  31. Schnittka, Jessica, Schnittka, Christine. (2016). "Can I drop it this time?" Gender and Collaborative Group Dynamics in an Engineering Design-Based Afterschool Program, Journal of Pre-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6(2), 1-24.
  32. Yilmaz, M., Ren, J., Custer, S., & Coleman, J. (2010). Hands-on summer camp to attract K-12 students to engineering fields. IEEE Transactions on Education, 53(1), p144-15. https://doi.org/10.1109/TE.2009.2026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