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ergy metering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8초

AMI의 중복데이터 제거를 통한 데이터처리효율성 분석 (Analysis of Data Processing Efficiency using Duplicated Data Removal in AMI)

  • 오도환;박재형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2호
    • /
    • pp.9-15
    • /
    • 2021
  •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구축 확대로 인해 계량데이터의 수집을 위한 원격검침서비스 이외에도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수요관리, 에너지쉼표 등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계량데이터의 효율적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복데이터 제거를 통해 AMI의 시스템별 구축목적에 따라 계량데이터를 처리하는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Cognitive Beamforming Based Smart Metering for Coexistence with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Lee, Keonkook;Chae, Chan-Byoung;Sung, Tae-Kyung;Kang, Joonhyuk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4권6호
    • /
    • pp.619-628
    • /
    • 2012
  • The ZigBee network has been considered to monitor electricity usage of home appliances in the smart grid network. ZigBee, however, may suffer from a coexistence problem with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In this paper, to resolve the coexistence problem between ZigBee network and WLAN, we propose a new protocol constructing a cognitive smart grid network for supporting monitoring of home appliances. In the proposed protocol, home appliances first estimates the transmission timing and channel information of WLAN by reading request to send/clear to send (RTS/CTS) frames of WLAN. Next, based on the estimated information, home appliances transmit a data at the same time as WLAN transmission. To manage the interference between WLAN and smart grid network, we propose a cognitive beamforming algorithm. The beamforming algorithm is designed to guaranteeing zero interference to WLAN while satisfying a required rate for smart metering. We also propose an energy efficient rate adaptation algorithm. By slowing down the transmission rate while satisfying an imperceptible impact of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receiver, the home appliance can significantly save transmit power.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ultiple antenna technique provides reliable communications for smart metering with reduced power comparing to the simple transmission technique.

도시철도 직류 전력량 계측을 위한 직류용 스마트미터링 시스템 개발 및 성능시험 (Development and Performance Test of DC Smart Metering System for the DC Power Measurement of Urban Railway)

  • 정호성;신승권;김형철;박종영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5호
    • /
    • pp.713-718
    • /
    • 2014
  • DC urban railway power system consists of DC power network and AC power network. The DC power network supplies electric power to railway vehicles and the AC power network supplies electric power to station electric equipment. Recently, because of power consumption reduction and peak load shaving, intelligent measurement of regenerative energy and renewable energy adapted on DC urban railway is required. For this reason, DC smart metering system for DC power network shall be developed. Therefore, in this paper, DC voltage sensor, current sensor, and DC smart meter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by performance test. DC voltage sensor was developed for measuring standard voltage range of DC urban railway, and DC current sensor was developed as hall effect split core type in order to install in existing system. DC smart meter possesses function of general intelligent electric power meter, such as measuring electricity and wireless communication etc. And, DC voltage sensor showed average 0.17% of measuring error for 2,000V/50mA, and current sensor showed average 0.21% of measuring error for ${\pm}2,000V/{\pm}4V$ in performance test. Also DC smart meter showed maximum 0.92% of measuring error for output of voltage sensor and current sensor. In similar environment for real DC power network, measuring error rate was under 0.5%. In conclusion, accuracy of DC smart metering system was confirmed by performance test, and more detailed performance will be verified by further real operation DC urban railway line test.

주유기 유량 변조방지를 위한 주유기 엔코더 신호 펄스 파형 모니터링 및 정량확인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and quantitative confirmation device technology to prevent counterfeiting and falsification of meters)

  • 박규백;이정우;임동욱;김지훈;박정래;하석재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6권1호
    • /
    • pp.55-61
    • /
    • 2022
  • As meters become digital and smart, energy data such as electricity, gas, heat, and water can be accurately and efficiently measured with a smart meter, providing consumers with data on energy used, so that real-time demand response and energy management services can be utilized. Although it is developing from a simple metering system to a smart metering industry to create a high value-added industry fused with ICT, illegal counterfeiting of electronic meters is causing problems in intelligent crimes such as manipulation and hacking of SW. The meter not only allows forgery of the meter data through arbitrary manipulation of the SW, but also leaves a fatal error in the metering performance, so that the OIML requires the validation of the SW from the authorized institu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quantitative confirmation device was developed in order to eradicate the act of cheating the fuel oil quantity through encoder pulse operation and program modulation, etc. In order to prevent the act of deceiving the lubricator, a device capable of checking pulse forgery was developed, manufactured, and verified.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was verified by conducting an experiment on the meter being used in the actual field. It is judged that the developed quantitative confirmation device can be applied to other flow meters other than lubricators, and in this case, accurate measurement can be induced.

지그비 메쉬 망 기반 스마트 u-LED 전력제어 시스템 (Information System of Smart u-LED Lighting Energy based on Zigbee Mesh Network)

  • 김삼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77-83
    • /
    • 2013
  • 현재, 조명제어와 관리기술의 한계점은 유선으로 인한 시설비 과다, 운영의 어려움, 에너지낭비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명기기에 무선네트워크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조명 정보 시스템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위한 통신 및 관리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LED조명의 전력량 모니터링을 통해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이 기술을 융합하기 위해 전력 에너지 정보시스템 LEIS(Lighting Energy Information System)을 개발 했다. LEIS는 센서에 의해 지그비 메쉬망을 통해 수집된 전력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조명의 사용에너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화하여 보여준다. 이 시스템은 LEM(Lighting Energy Metering)의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LEIS 웹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고 LEIS를 통해 에너지를 최적화하여 제어할 수 있는 시나리오 기능을 제공한다.

Implementation of cost-effective wireless photovoltaic monitoring module at panel level

  • Jeong, Jin-Doo;Han, Jinsoo;Lee, Il-Woo;Chong, Jong-Wha
    • ETRI Journal
    • /
    • 제40권5호
    • /
    • pp.664-676
    • /
    • 2018
  • Given the rapidly increasing market penetration of photovoltaic (PV) systems in many fields, including construction and housing, the effective maintenance of PV systems through remote monitoring at the panel level has attracted attention to quickly detect faults that cause reductions in yearly PV energy production, and which can reduce the whole-life cost. A key point of PV monitoring at the panel level is cost-effectiveness, as the installation of the massive PV panels that comprise PV systems is showing rapid growth in the market. This paper proposes an implementation method that involves the use of a panel-level wireless PV monitoring module (WPMM), and which assesses the cost-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To maximize the cost-effectiveness, the designed WPMM uses a voltage-divider scheme for voltage metering and a shunt-resistor scheme for current metering. In addition, the proposed method offsets the effect of element errors by extracting calibration parameters. Furthermore, a design method is presented for portable and user-friendly PV monitoring, and demonstration results using a commercial 30-kW PV system are described.

AMI 공격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그리드 보안피해비용 산정 사례 (A Case Study of the Impact of a Cybersecurity Breach on a Smart Grid Based on an AMI Attack Scenario)

  • 전효정;김태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809-820
    • /
    • 2016
  • 스마트그리드는 사물인터넷의 핵심 응용서비스이고, 그 중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인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는 전기사업자와 소비자의 접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스마트 미터는 소비자의 전기사용을 기록하고 사업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에서 소비자와 직접 맞닿아 있는 스마트 미터를 중심으로 AMI에 대한 NESCOR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이버공격 및 피해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피해비용을 산정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입안자나 전기사업자가 스마트그리드 관련 투자의사결정을 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원격검침 설비의 네트워크 상태감시를 위한 SNMP 기반의 저압 AMI 망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MI NMS (Network Management System) using SNMP for Network Monitoring of Meter Reading Devices)

  • 김영일;박소정;김영준;정남준;최문석;박병석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2호
    • /
    • pp.259-268
    • /
    • 2016
  • 한국전력공사는 200년부터 저압 고객에 대한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기반의 검침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한전의 AMI 검침시스템은 현재 255만호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2020년까지 2200만호를 설치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활한 AMI 검침망 운영을 위해 DCU (Data Concentration Unit) 및 모뎀에 대한 네트워크 동작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AMI 망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AMI 망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속성 데이터 및 네트워크 토플로지 정보, 통신성능 정보, 장애정보 등을 수집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장애내역을 생성하며, 원격에서 장비를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AMI 망관리시스템은 전력선 통신망에서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약 370여개의 MIB (Management Information Base) 정보를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하여 수집과 제어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MI 망관리시스템에 대한 주요 기능과 설계내용, 구현된 서비스 화면을 소개하고자 한다.

AMI의 보안 취약성 및 기술 현황 (Security Vulnerability and Technology Status of AMI)

  • 조한성;이용구;정상인;최진호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3권2호
    • /
    • pp.73-78
    • /
    • 2017
  • 최근 국내의 한전을 비롯한 해외 여러 전력회사에서 스마트 그리드라는 개념의 전력망 구축을 위한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망에 정보통신망을 융합하여 전력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기술로, 전력 사업자와 소비자가 양방향 통신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력망이 정보통신망과 융합되면서 기존 전력망보다 보안의 위협이 증대되고 있다. 전력망 특성상 보안의 위협으로 인한 피해는 개인의 사생활뿐만 아니라 사회의 경제적 손실까지 이어져 그 피해규모가 크므로, 스마트 그리드는 여러 해커 집단의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스마트 그리드 구축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는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의 보안 취약점과 그에 대응하는 보안 기술 현황을 살펴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