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emic Plants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2초

자연생태관 조성을 위한 식물자원 조사연구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를 중심으로-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Plant Resources for the Natural Ecology Center - Nodong valley, Pyungchanggun of Kangwondo -)

  • 송호경;이선;이미정;지윤의
    • 환경생물
    • /
    • 제19권2호
    • /
    • pp.113-118
    • /
    • 2001
  • 본 연구는 자연생태관 조성계획지인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 노동계곡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자연생태관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노동계곡의 조사구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총 56과 121속 152종 24변종 2품종이며, 본 조사에서 감소추세종으로 관중과 도깨비부채가, 한국특산종으로 노랑무늬붓꽃이 출현하였다. 식물군락은 자연군락인 신갈나무-당단풍군락과 인공군락인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당단풍군락은 다시 소나무아군락, 고로쇠나무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한국특산종으로 구분된 노랑무의붓꽃은 고로쇠나무아군락에 분포하였으며, 자연생태관을 조성할 때 이 군락에 대한 보존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경포도립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Flora of Kyongpo Provincial Park Area)

  • 박용진;유기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4-235
    • /
    • 1998
  • 본 조사는 1997년 6월부터 1998년 6월까지 4회에 걸쳐 조사된 경포대 일대의 관속식물 종조성과 우점종군을 분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본 지역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87과 240속 281종 51변종 7품종으로 총 339종류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노랑갈퀴, 오동나무(재), 개쑥부쟁이 등 3종은 한국특산종이다. 양치식물계수는 0.61로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은 12종류로 이는 우리나라 귀화식물 218종류의 5.5%에 해당한다. 우점종은 해송과 소나무로 대표되었으며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소나무와 해송, 관목층은 해송, 소나무, 산벗나무, 초본층은 큰기름 새, 김의털, 장구채, 쑥, 애기수영, 닭의장풀, 털질경이 등이 우점하였고, 전체적으로는 아교목층과 관목층이 매우 빈약한 불안정한 임상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라산 고유 한라송이풀의 분류학적 위치 (Taxonomic position of 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awa, an endemic plant of Mt. Halla)

  • 조원범;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0-137
    • /
    • 2011
  • 제주도 한라산에 자라는 한라송이풀은 고유종 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awa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이 식물은 근연종인 P. amoena, 구름송이풀 또는 이삭송이풀과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분류학적 처리가 혼동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 식물의 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라송이풀과 근연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 및 핵 리보소옴 DNA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한라산의 이 식물은 꽃받침 열편, 화판 상순과 하순의 길이 비, 식물체의 선모 밀도, 개화기 근생엽의 유무 및 염기서열 자료에서 P. amoena 및 구름송이풀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한라송이풀은 외부형태 및 ITS 염기서열에서 동북아에 분포하는 이삭송이풀과 뚜렷이 구별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형태 및 분자생물학적 자료는 한라송이풀이 이삭송이풀로 통합되는 것을 지지하였다.

GIS를 이용한 산림 생물의 공간적·환경적 특성 분석 - 백두대간(경북·충북)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Forest Biology using GIS: A Case Study of Baekdudaegan area, Gyeongsangbuk-do and Chungcheongbuk-do)

  • 박정묵;서환석;이정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3호
    • /
    • pp.169-18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distribution of animals and plants in Baekdudaegan region using field survey and GIS data. Crucial facto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wild animals (16 species in 5 orders) and rare endemic plants (20 species in 12 orders). These crucial factors include stand factor (forest type, DBH class, and crown density), soil factor (bed rock, soil texture, and organic matter), geographical factor (elevation, slope, aspect) and climatic factor (temperature, rain fall, humidity). Finally, ten crucial factors were selected by statistical analysis and categorized for analyzing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eatures. Three orders such as Rodentia, Carnivora, and Artiodactula in wild animal showed the similar habitat characteristics with the small diameter and the elevation range from 801 to 1,000m. The Hydropotes inermis of Artiodactyla and Rattus norvegicus of Rodentia were different in the type of orders, but they had the similar habitat characteristics with the coniferous forest and loam. On the other hand, four orders such as Tubiflorales, Liliales, Ericales, and Rhamnales in the rare and endemic plants were showed high occurrence rate in the organic matter between 4 and 6%. The Rodgersia podophylla of Rosales and Gastrodia elata Blume of Microspermae were different in the type of orders, but they had the similar habitat characteristics with the stand factor and soil factor.

덕적군도 내 무인도서의 관속식물상 연구 (A Study on Vascular Plants of Uninhabited Islands in the Deokjeok Archipelago)

  • 김중현;윤종학;남기흠;이정현;최병희;이병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23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uninhabited Island in the Deokjeok Archipelago. The vascular plants which were collected in 5 times (from Jun. 2009 to Apr. 2010) were identified as 350 taxa in total, including 89 families, 231 genera, 309 species, 5 subspecies, 31 varieties, and 5 forms. There were many useful plants such as 2 taxa of Korean endemics and 2 taxa of rare plants which were propos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The specially determined plants which were categorized as 5 degrees in all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ppeared as 49 taxa; Degree V was one taxon; Senecio nemorensis and IV was one taxon; Apocynum lancifolium and III was 2 taxa; Stauntonia hexaphylla, Hylotelephium spectabile and I was 45 taxa; Machilus thunbergii, Neolitsea sericea, Hedera rhombea, etc. Based on the plants which were approval objects when transfer overseas were 5 taxa, and 21 taxa of evergreen plants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15 taxa, and their naturalization ratio were found to be 4.2% respectively.

유명산의 식물상 및 산림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and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the Mt. Yumyeong)

  • 김흥식;김인수;홍금희;김남영;박광서;김정유;박완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69-84
    • /
    • 2003
  • 2002년 3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유명산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식물상과 산림군락구조를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이 98과 331속 570종 1아종 81변종 4품종 2교잡종으로 총 658종류로 나타났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0과 14속 13종 2변종 1교잡종 총 16종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9과 10속 11종 총 11종류, 귀화식물은 12과 22속 28종 총 28종류로 나타났다. 산림군락은 신갈나무-철쭉군목,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 소나무-산거울군락, 잣나무-주름조개풀군락, 물푸레나무-신갈나무군락, 층층나무-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 싸리-신갈나무군락으로 전체 1군목, 1군단, 6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강화도 지역 3개 산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Three Mountains in Ganghwa Island, Korea)

  • 김상준;신현탁;허태임;윤정원;권영한;안종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04-619
    • /
    • 2016
  • 본 연구는 강화도내의 3개 산지인 별립산, 봉천산, 국수산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지조사는 2015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6회 실시한 결과, 관속식물은 총 93과 280속 392종 4아종 53변종 6품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3분류군, 특산식물 6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Ⅴ등급 1분류군, Ⅳ등급 4분류군, Ⅲ등급 8분류군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2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 6.4%, 도시화지수 9%로 각각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455분류군을 유용도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03분류군(44.6%), 목초용 178분류군(39.1%), 약용 157분류군(34.5%), 관상용 50분류군(11%), 목재용 17분류군(3.7%), 염료용 10분류군(2.2%), 섬유용 3분류군(0.7%), 공업용 4분류군(0.9%)의 순으로 나타났고, 용도를 알지 못하는 식물은 88분류군(19.3%)으로 나타났다.

압해도(전라남도 신안군)의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Aphaedo Island in Shinan-gun, Jeollanam-do, Korea)

  • 현진오;나혜련;김연수;한병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5-99
    • /
    • 2018
  •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압해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 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2011년 5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총 28일간 현지조사를 통해 확보된 표본에 근거하여 식물목록을 작성한 결과, 압해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102과 294속에 속하는 413종 6아종 30변종 2품종 등 총 45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에서 멸종위기 및 희귀식물은 왕자귀나무, 병아리다리, 성주풀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4분류군, IV등급 6분류군, III등급 19분류군, II등급 4분류군, I등급 26분류군 등 총 5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특산식물은 새끼노루귀, 좀땅비싸리, 해변싸리 등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교란식물인 애기수영,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등을 포함하여 총 5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압해대교 개통 전후에 수행된 선행연구 비교를 통하여 압해도의 귀화식물 변화를 분석하였다.

금강 수계의 식물상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Flora around the Geumgang Area)

  • 김영현;박정미;장창기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216-229
    • /
    • 2009
  • 금강 수계에 위치한 구룡산, 전월산, 사마산, 용머리산, 함라산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고 보존대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자생식물에 대한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07년 5월부터 2008년 4월까지 17회 수행하였으며, 조사지역 내에 자생하는 식물을 채집 동정하고 목록을 작성하였다. 목록을 바탕으로 한국특산종 및 법적보호종(멸종위기종, 보호종, 천연기념물)의 분포 현황 및 생태계 위협종 등의 분포 상황을 파악하였다. 조사지역 중 구룡산의 관속식물은 70과 151속 158종 22변종 3품종의 총 181분류군, 전월산에서는 45과 78속 72종 10변종의 총 92분류군, 사마산에서는 35과 69속 67종 10변종의 총 77분류군, 용머리산에서는 57과 109속 123종 13변종 1품종의 총 137분류군, 함라산에서는 64과 155속 178종 19변종 1품종의 총 19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합친 5개 조사구역의 관속식물은 86과 246속 297종 34변종 3품종의 총 334분류군으로 판명되었다. 한국 특산종은 8분류군이 조사되었으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4등급종 2분류군, 3등급종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1, 2등급종을 포함하여 특정식물종은 모두 2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등산로 주변에 귀화식물 분포가 높았고 총 2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금강 중류는 행정복합도시 건설로 인해 식생 파괴가 많이 우려되는 상황이었으며, 경작지 등의 개간에 의해 식물다양성이 많이 감소되어 있어 보존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National DMZ Native Botanic Garden)

  • 신현탁;이명훈;이창현;성정원;김기송;권영한;김상준;안종빈;허태임;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3-308
    • /
    • 2014
  • 본 연구는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기간은 2012년 5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표본에 의한 관속식물은 79과 211속 272종 4아종 32변종 4품종 1교잡종으로 총 3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긴잎갈퀴, 가시오갈피, 너도바람꽃, 나도개감채 등 총 8분류군, 특산식물은 키버들, 할미밀망, 고광나무, 고려엉겅퀴 등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5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1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3.51%, 3.43%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