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angered species

검색결과 986건 처리시간 0.023초

속리산국립공원 화양천의 어류군집 특성 및 멸종위기종 가는돌고기 Pseudopungtungia tenuicorpa와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서식양상 (Fish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Habitat Aspects of Endangered Species Pseudopungtungia tenuicorpa and Acheilognathus signifer in the Hwayangcheon Stream, Hangang River of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

  • 고명훈;한미숙;명라연;윤형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22-234
    • /
    • 2019
  • 속리산국립공원 화양천의 어류군집과 멸종위기종 가는돌고기 Pseudopungtungia tenuicorpa와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서식현황을 밝히기 위해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11개 지점에서 족대와 투망을 사용하여 채집한 어류는 8과 29종이었다. 우점종은 참갈겨니 Zacco koreanus (38.81%), 아우점종은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 (16.64%), 그 다음으로 피라미 Z. platypus (14.28%)와 돌고기 Pungtungia herzi (6.92%), 참마자 Hemibarbus longirostris (4.52%),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3.51%), 묵납자루(2.31%), 가는돌고기(1.90%) 등의 순으로 우세하였다. 한국고유종은 18종(62.1%)이 출현하였고,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II급의 묵납자루와 가는돌고기,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 3종이 채집되었다.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대체적으로 우점도는 낮아지고 종수와 개체수, 다양도, 풍부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하천건강성은 좋음(St. 1~8) 또는 매우좋음(St. 9~11)으로 평가되었다. 군집구조는 상류(St. 1~2, 4~5)와 중·상류(St. 3, 6), 중류(St. 7~9), 하류(St. 10~11)로 구분되었다. 화양천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가는돌고기는 주로 하류부(St. 10~11)의 암반과 큰돌에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었고, 산란기인 4월을 기준으로 전장 44~61 mm는 만 1년생, 전장 66~81 mm는 만 2년생, 전장 88~99 mm는 만 3년생, 전장 104~107 mm는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멸종위기종 묵납자루는 중·하류(St. 7~11)의 유속이 느리고 하상이 큰돌과 돌, 모래이며 수생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곳에 서식하였으며, 연령은 산란기인 4월을 기준으로 전장 30~43 mm는 만 1년생, 전장 48~58 mm는 만 2년생, 전장 62~77 mm는 만 3년생, 전장 84~100 mm는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으며, 성비는 암컷 47개체, 수컷 42개체가 채집되어 1 : 0.89였다.

환경부 적색목록(관속식물)에 대한 IUCN 지역적색목록 평가적용 (Applying IUCN Regional/National Red List Criteria to the Red List (Vascular Plant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 장진성;권신영;손성원;신현탁;김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371-381
    • /
    • 2020
  • 환경부는 2020년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통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지정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제시한 지역적색 목록 지침을 준용하기로 정하였고, 적색목록 관속식물 377종을 지정하였다. 본 연구는 IUCN의 지역 적색 평가를 근간으로 평가불가(NA)를 제외한 103종을 선별하고, 국제적 수준의 적색목록 목록평가 가능한 고유종 10종을 제외한 이후 93종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분석에서 적용 불가 34종이 추가로 확인되어 59종에 대한 지역적색 평가를 적용하였다. 재평가 결과 취약이상의 분류군은 16종으로 CR(위급) 1종, EN(위기) 10종, VU(취약) 5종으로 평가되었고, NT(준위협) 4종과 LC(약관심) 30종, DD(정보부족) 9종을 판정하였다. 환경부 지역적색목록의 평가기준 B의 경우 정량적 분포자료나 지속적인 감속에 대한 자료없이 평가를 시도하여 데이터의 신뢰도가 없었으며 난과에 속한 멸종위기식물은 판정시 필요한 남획의 구체적인 증거나 자료확보가 미비하다. 현재 환경부의 적색목록에 대한 문제점은 객관적 기초 자료가 부재하고 중장기적인 개체군 크기의 증감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이 없어 과학적 평가를 어렵게 하고 있다. 환경부는 법적으로 범주 및 평가에 대한 것을 지정하고 그 기준을 스스로 따르지 못하는 전문성의 결여가 큰 문제로 인식되며, 또한 종의 분포 및 상태에 대한 지리적 및 분류학적 편향성은 자료의 질과 양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고 생물다양성 정책의 발전을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멸종위기종 생물 자료 관리가 필요하다.

보길도(전남) 적자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유형별 특성 (Characteristics Type of Vascular Plants in Jeokjabong, Bogil Island(Jeonnam))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40
    • /
    • 2011
  • The vascular plants in Jeokjabong, Bogil Island were listed 350 taxa composed of 89 families, 233 genera, 309 species, 1 subspecies, 36 varieties and 4 forms. Divided into woody plants were 142 taxa (40.6%) and herbaceous plants were 208 taxa (59.4%). Based on the list of rare and endangered species by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3 taxa were recorded; Celtis choseniana, Asarum maculatum, Rubus sorbifolius, and endemic plants, 10 taxa were recorded; Asarum maculatum, Cephalotaxus koreana, Carpinus coreana, Celtis choseniana, Lespedeza maritima, Indigofera koreana, Dendropanax morbifera, Ligustrum quihoui var. latifolium, Weigela subsessilis, Carex okamotoi, and plant species subject to permission for taking abroad, 4 taxa were recorded; Celtis choseniana, Asarum maculatum, Vaccinium oldhami, Carex okamotoi. Based on the list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total 64 taxa (18.3% of all 350 taxa of vascular plants); Ligustrum quihoui var. latifolium in class IV, 19 taxa (Stauntonia hexaphylla, Cinnamomum japonicum, Zanthoxylum ailanthoides, Daphniphyllum macropodum, Centella asiatica, Verbena officinalis, Mitchella undulata, etc.) in class III, 5 taxa (Potentilla dickinsii, Ostericum melanotilingia, Sanicula rubriflora, Caryopteris incana, Teucrium veronicoides) in class II and 39 taxa (Gleichenia dichotoma, Cyrtomium fortunei, Aphananthe aspera, Rubus hirsutus, Meliosma myriantha, Hedera rhombea, Ainsliaea apiculata, etc.) in class I. Based on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5 families, 17 genera, 20 taxa (Phytolacca americana, Lepidium virginicum, Robinia pseudo-acacia, Verbesina alternifolia, Lolium perenne,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5.7% of all 350 taxa of vascular plants. Hereafter natural ecosystem into disturbance on naturalized plants and legal protection species and rare and endangered species distribute in the Bogil Island, precision investigation after management counterplan of the monitoring a point of view be required.

작은관코박쥐(Murina ussuriensis)의 외부형태 및 초음파 특성에 관한 기초 연구 (External Morphology and Ultrasound Characteristics of the Ussurian Tube-nosed Bat (Murina Ussuriensis))

  • 정철운;한상훈;김성철;이화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21-525
    • /
    • 2014
  • The Ussurian tube-nosed bat (Murina ussuriensis) is a registered endangered species that has not been observed in South Korea since 1960. We were able to capture three individuals of M. ussuriensis between 2011 and 2013 at Sobaeksan National Park. The discovery of this species was the first time within 50 years. To collect basic data on the M. ussuriensis, we analyzed the external morphology and ultrasound characteristics of the captured ba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 ussuriensis weigh approximately 5.2 g, which is less than that of a typical small bat such as Pipistrellus abramus. The bat's wing-type ratio was determined to be 1.22 and classified as a broad and short wingspan type. The bat uses FM signals for ultrasound with a peak frequency of 92 kHz. The M. ussuriensis seems to be a forest-dwelling bat that preys on insects by maneuvering expertly within the complex mazelike structure of forests.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on the hibernation and foraging sites of the bats is necessary to protect and monitor the species.

Preference of Physical Microhabitat on the $1^{st}$-class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naktongensis inhabiting the Gam Stream, Tributary of the Nakdong River

  • Seo, Jin-Won;Kim, Hee-Sung;Yi, Hye-Suk;Jeong, Sun-A
    • 생태와환경
    • /
    • 제42권4호
    • /
    • pp.495-501
    • /
    • 2009
  • The study was conducted in 2007~2008 in order to understand preference of physical microhabitat on the $1^{st}$-class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naktongensis inhabiting the Gam Stream, tributary of Nakdong River. The total number of fish caught from the study sites was 3,671 representing 7 families 24 species. There were 8 Korean endemic species including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2 introduced species (Carassius cuvieri, Micropterus salmoides) were found. According to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hysical microhabitat on Gobiobotia naktongensis caught in the Gam Stream, a total of 57 individuals were found at shallow depth (0.14~0.46 m) and run (0.239~0.585m $sec^{-1}$). As a result of sieve analysis, stream beds consisted of about 1% gravel and 99% sand (83.4% coarse sand, 15.6% find sand). Therefore, Gobiobotia naktongensis seemed to inhabit shallow-run with coarse sand bed than deep-pool microhabitat. The findings indicate preference of physical microhabitat on Gobiobotia naktongensis, and it is important to enhance efficiency of fish conserv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with understanding species-specific characteristics in microhabitat including protected species.

AFLP 분석에 의한 어름치 Hemibarbus mylodon의 유전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Endangered Fish Hemibarbus mylodon (Cyprinidae) Assessed by AFLP)

  • 이윤아;윤영은;남윤권;방인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6-200
    • /
    • 2008
  • 한국 고유종이며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어름치 Hemibarbus mylodon 3집단 (북한강, 남한강, 임진강)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의 유전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AFLP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15 primer 쌍을 이용한 3집단의 AFLP 분석에서 795개의 bands가 생성되었으며, 집단 내 다형 band의 출현 빈도는 3개 집단에서 북한강 11.9%, 남한강 11.1%, 임진강 13.4%로 유사하게 나타났고, 평균 유사도는 96.6%로 나타났다. 평균 이형 접합율(0.033-0.040)과 유전적 다양도(0.036-0.043)는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3개의 집단의 Pairwise distance 및 pairwise fixation index 역시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분석한 어름치 3개 집단은 유전적으로 매우 밀접한 근연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본 종의 복원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생태계 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멸종위기 포유류의 종분포 연구 -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of Endangered Mammals for Ecosystem Services Valuation - Focused on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

  • 전성우;김재욱;정휘철;이우균;김준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122
    • /
    • 2014
  • The provided habitat of many services from natural capital is important. But because most ecosystem services tools qualitatively evaluated biodiversity or habitat quality,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those aspects using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MaxEnt). This study used location point data of the goat(Naemorhedus caudatus), marten(Martes flavigula),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flying squirrel(Pteromys volans aluco) and otter(Lutra lutra) from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Input data utilized DEM, landcover classification maps, Forest-types map and digital topographic maps. This study generated the MaxEnt model, randomly setting 70% of the presences as training data, with the remaining 30% used as test data, and ran five cross-validated replicates for each model. The threshold indicating maximum training sensitivity plus specificity was considered as a more robust approach, so this study used it to conduct the distribution into presence(1)-absence(0) predictions and totalled up a value of 5 times for uncertainty reduction. The test data's ROC curve of endangered mammals was as follows: growing down goat(0.896), otter(0.857), flying squirrel(0.738), marten(0.725), and leopard cat(0.629).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habitat: the first group consisted of the goat, marten, leopard cat and flying squirrel in the forest; and the second group consisted of the otter in the river. More than 60 percent of endangered mammals' distribution probability were 56.9% in the forest and 12.7% in the river. A future study is needed to conduct other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exclusive of mammals and to develop a collection method of field survey data.

Changes of an endangered population of Iris dichotoma after conservation translocati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 Dakyum ROH;Geun-Hye GANG;Dae Hun CHOI;Byung Bu KIM;Hyun-Jin JUNG;Dae Seob SHIN;Hyeon Seon RYU;Chang Ho CHOI;Heehyeok KANG;Yowhan SON;Soonku S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8
    • /
    • 2023
  • Sustainable habita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 survival and habitat pre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To conserve the endangered species Iris dichotoma Pall. and its habitat in Taeanhaean National Park, we collected seeds from a natural population and germinated and propagated them in a greenhouse. In 2019, the propagated individuals of I. dichotoma were transplanted at two study site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After conservation translocation, annual monitoring was conducted from 2020 to 2022, and factors related to the survival and growth of I. dichotoma (clonal propagation rate [%], the flowering rate [%], the population density [individual/m2], the maximum leaf bundle length [height; cm], the maximum leaf bundle width [cm], and the pedicel length [cm])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onitoring of the flowering and fruiting periods for three years after transplantation, 82.4% of individuals in total were found to have survived. During 2020 to 2022, the mean population density (individual/m2) increased from 0.36 to 0.42 and the size of the leaf bundle length and the width both decreased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figures in 2019 (p < 0.05). According to the findings here, the transplanted population of I. dichotoma is considered to have adapted successfully to its new site in Taeanhaean National Park.

Fatty Acid Composition of Endangered Land Snail Koreanohadra koreana (Mollusca: Gastropoda) of South Korea by Season, Region, and Microhabitat

  • Kim, Jin-Young;Park, Jong-Dae;Jang, Kuem Hee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79-188
    • /
    • 2023
  • 참달팽이(Koreanohadra koreana)는 환경부에서 지정한 법정보호종(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이며,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와 하태도에서만 서식하는 한국고유종이다. 반면, 그 동안 참달팽이 지방산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홍도와 하태도를 대상으로 계절, 미소서식처, 지역 차이에 따른 참달팽이의 지방산 구성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분석에 사용한 표본의 개수는 총 99개였다. 실험결과 총 16가지의 지방산이 검출되었으며, 주로 식물질 먹이에서 유래되는 다중불포화지방산(PUFAs)이 53.6%로 가장 높았다. 반면, 동물성 또는 미생물에서 유래하는 단일불포화지방산(MUFAs)은 31.4%, 포화지방산(SFAs)은 15.0%로 상대적으로 적게 검출되었다. 참달팽이의 총 지방산량 변화는 PUFAs의 변화와 가장 강한 상관관계(R2=0.88, p < 0.0001)를 보였다. 계절별로 PUFAs는 봄 (13.20 mg/g)과 여름 (13.08 mg/g)이 가을 (12.06 mg/g)과 겨울 (12.40 mg/g)에 비해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미소서식처별 PUFAs는 초지대(12.80 mg/g)에서 석회질 지대(12.48 mg/g)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반면, 지역별로 홍도(12.65 mg/g)와 하태도(12.64 mg/g)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PUFAs는 참달팽이의 먹이원을 기반으로 한 서식지의 질을 추적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긴팔원숭이의 분포와 계통분류 (Distribution and Phylogeny of the Gibbon)

  • 허재원;김희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76-681
    • /
    • 2002
  • 긴팔원숭이는 영장목, 유인원 아목, 좁은코원숭이 상과, 사람과에 속하는 영장류로써 소형 영장류라고 불린다. 이들은 동남 아시아 일대의 열대 우림에서 종 분화에 성공한 영장류로써 현재 4속 12종이 동정 되어 있지만 이들 중 10종이 멸종 위기에 있다. 다양한 영장류 중에 가장 높은 멸종 위기에 있으면서도 아직도 정확하게 많은 종 또는 아종의 동정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많은 연구가 필요한 종이다. 그러므로 정확한 지리학적 분포와 종의 동정을 통해 이들 긴팔원숭이의 계통 관계를 파악 하는 것이 긴팔원숭이의 종분화의 이해 및 보존을 위해 무엇 보다 중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