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f-life care performanc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9초

Effects of Awareness of Good Death and End-of-Life Care Attitudes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 Kim, Sun-Hee;Kim, Eun-Young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1호
    • /
    • pp.26-35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wareness of good death and end-of-life care attitudes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147 nurses working at six long-term care hospitals with more than 200 beds in B city,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SPSS 26.0 for Windows. Results: The participants' awareness of good death, end-of-life care attitudes,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factors affecting end-of-life care performance were age, education level, awareness of good death, and end-of-life care attitudes; these variables explained 19.0% of end-of-life care performance.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long term care hospital nurses' end-of-life care performance, continuing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regarding awareness of good death and end-of-life care attitudes.

Nurse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in a Tertiary Hospital

  • Seo Yeon Jung;Hyun Seung Song;Ji Youn Kim;Hoi Jung Koo;Yong Soon Shin;Sung Reul Kim;Jeong Hye Kim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6권3호
    • /
    • pp.101-11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evels of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among nurses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perception and performance.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included 321 nurses from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The participants had at least 6 months of work experience and had been involved in end-of-life care at least once, in either ward or intensive care unit setting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tilized to assess their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Results: The mean score for perception of end-of-life care was 3.23±0.34, while the score for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was 3.08±0.34.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es' perception of end-of-life care and their performance in this area (r=0.78, P<0.00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perceptions regarding end-of-life care and to develop systematic and standardized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content such as assessing the hydration status of dying patients, evaluating mental aspects such as suicidal ideation, and providing spiritual care for nurses working in end-of-life departments.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 역량과 도덕적 민감성이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the Empathy Competence and Moral Sensitivity of Nurses at Tertiary General Hospitals Performing End-of-life Care)

  • 한규효;조명주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6-94
    • /
    • 2024
  •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mpathy competence and moral sensitivity of nurses working in tertiary general hospitals who offered end-of-life care. Methods: Descrip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164 nurses with direct nursing care experience with end-of-life patients at two tertiary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Busan, Korea. The variables examined were empathy competence, moral sensitivity,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7.0 software. Results: Participants scored 3.73±0.40 on empathy competence, 4.97±0.51 on moral sensitivity and 2.91±0.37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pathy competence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and between moral sensitivity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end-of-life care performance, empathy competence and moral sensitivity, exhibited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1%. Conclusion: Programs to increase empathy competence and moral sensitivity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nurses' end-of-life care performance.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End-of-life Care Performance of Nurses in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Institutions)

  • 전민기;권명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5호
    • /
    • pp.107-116
    • /
    • 2024
  •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죽음인식, 사전의사결정 태도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복지부로부터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호스피스 간호사 200명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서면 설문지와 인터넷 설문조사 두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2021년 8월 9일부터 9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방법은 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죽음인식, 사전의사결정 태도, 임종간호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고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Hierarchical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임종간호수행과 죽음인식(r=.22, p=.002), 임종간호수행과 사전의사결정 태도(r=.20, p=.004)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독립변수를 추가한 MODEL2에서 연령, 사전의사결정 태도, 죽음인식이 유의한 임종간호수행 영향요인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10.4%이었다(F=3.90, p<.001). 호스피스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 영향요인을 고려한 중재가 요구된다.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Clinical Nurses' End-of-life Care Performance)

  • 박효진;이윤미;김민혜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3
    • /
    • 2021
  • Purpose : Based on Quint's theory and the relevant literature, this study constr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explaining and predicting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 clinical nurses. Methods :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65 nurses between September 1 and September 30, 201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1 and AMOS ver. 21. Results :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ified model was found to be relatively satisfactory (χ2=114.82, Nomed χ2(χ2/df)=2.44, SRMR=.06, GFI=.94, AGFI=.89, CFI=.95, TLI=.91, RMSEA=.07). End-of-life care performance was affected by the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working unit, and death anxiety. The attitudes toward such care had the highest effect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end-of-life care performance i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by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rticipation in end-of-life care education, working unit, death perception, and death anxiety. To improve clinical nurses' end-of-life care performance, effective programs to promot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need to be developed. In addition,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should attempt to produce concrete measures for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attitudes in clinical nurses.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ursing Hospital Workers' Hospice·Palliative Care Knowledge and Awareness, End-of-Life Care Attitude and Death Awareness on Their End-of-Life Care Performance)

  • 박미라;제남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4호
    • /
    • pp.124-136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돌봄에 대한 지식과 인식 및 임종돌봄 태도, 수행도, 중요도, 죽음에 대한 인식하고 임종돌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도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받은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113명의 근무자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 호스피스 완화돌봄 인식, 임종돌봄 태도, 임종돌봄 수행도 및 중요도, 죽음에 대한 인식 등의 변수를 사용하였다. IBM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결과: 요양병원 근무자의 임종돌봄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종돌봄 중요도와 결혼유무이었으며, 이는 38.2%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돌봄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임종돌봄 중요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그들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인력배치 등의 행정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임종돌봄 수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을 하는 연구 수행을 제안하는 바이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애말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among ICU Nurses)

  • 김미정;장희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35-146
    • /
    • 2021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윤리적 환경, 생애말 간호 어려움 및 긍정심리자본이 생애말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대상자는 G도의 J시와 C시에 위치한 G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44명으로, 2020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생애말 간호수행은 결혼상태, 생애말 간호 교육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애말 간호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긍정심리자본, 생애말 간호 어려움으로 설명력은 24.8%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애말 간호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생애말 간호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urses' Attitude toward Dignified Death and Moral Sensitivity on Their End-of-Life Care Performance)

  • 조계화;김연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4호
    • /
    • pp.223-231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인간존엄성을 바탕으로 한 임종간호수행의 질적 수준 향상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1개 도시의 3차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172명을 편의 표집 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에는 품위 있는 죽음, 도덕적 민감성, 임종간호수행을 포함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로서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덕적 민감성, 품위 있는 죽음태도, 교육수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이 높고, 품위 있는 죽음 태도가 긍정적이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임종간호수행 정도가 높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웰빙에서 웰다잉으로 사회적 관심이 옮아가는 시대적 요구에 비추어 볼 때, 임종간호수행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을 배양할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의료현장의 복합적인 의사결정 과정에서 간호사의 옹호자 역할 수행을 위해 의사-간호사간의 상호 역기능적 갈등을 조정하는데 필요한 효율적인 임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End-of-Life Assessments and Communication for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Lee, Eun Kyung;Jeong, Hyae Yeong;Kim, Kyung Wo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3호
    • /
    • pp.194-197
    • /
    • 2021
  • End-of-life assessments aim to help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plan clinical interventions in advance and prepare them for a peaceful end of life, in which the patient accepts life and death, and the family accepts the patient's departure. It is important to assess whether death is imminent within a few days, because critical hospice care is provided intensively during that period. The following five changes constitute objective evidence of the end of life: diminished daily living performance, decreased food intake, changes in consciousness and increased sleep quantity, worsening of respiratory distress, and end-stage delirium. As subjective evidence, it is suggested that sensitive perceptions of experienced nurses and the feelings of family members caring for pati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n notifying a patient or family members that the end of life is approaching, the members of the multidisciplinary hospice team mus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hare accurate information, and provide consistent explanations. They must also listen to non-verbal communication in an empathic and supportive manner.

임종간호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the End-of-Life Care in Korea)

  • 변진이;권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374-382
    • /
    • 2022
  • 본 연구는 2003년부터 1월부터 2022년 7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임종간호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을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을 이용하였으며 총 11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임종간호 논문은 200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7년에서 2019년에 가장 많은 논문이 출판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연구는 주로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간호사의 경우 주로 상급종합병원, 요양병원,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논문의 주요 주제로는 임종간호 태도, 수행,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78.3%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논문의 IRB 승인 여부를 분석한 결과, IRB 승인을 받은 논문은 64.3%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임종간호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