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f-Life

검색결과 2,487건 처리시간 0.032초

Life-Sustaining Treatment in End-Stage Liver Disease Patients: Patients' Decisions and Results

  • Jung, Hyun Jung;Park, Jeong Yu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3권2호
    • /
    • pp.85-92
    • /
    • 2020
  • Purpose: In 2018,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 at the End of Life was implemented and the scope of official recognition for terminally ill patients was expan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cisions made by patients with end-stage liver disease about their life-sustaining treatment in a clinical sett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with end-stage liver disease hospitalized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who wrote 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POLST).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patients'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OLST was conducted. Results: Among 101 patients, 18.8% were female and 81.2% were male, and their mean age was 61.8 (±10.61) years. Sixty-three patients (62.4%) wrote their POLST by themselves. Three patients withdrew the POLST, of whom two did so for liver transplantation, and one did so for chemotherapy.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sufficient consideration of liver transplantation is needed for end-stage liver disease patients before making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self-determination of patients must be respected and effective guidelines are urgently needed.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ursing Hospital Workers' Hospice·Palliative Care Knowledge and Awareness, End-of-Life Care Attitude and Death Awareness on Their End-of-Life Care Performance)

  • 박미라;제남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4호
    • /
    • pp.124-136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돌봄에 대한 지식과 인식 및 임종돌봄 태도, 수행도, 중요도, 죽음에 대한 인식하고 임종돌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도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받은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113명의 근무자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 호스피스 완화돌봄 인식, 임종돌봄 태도, 임종돌봄 수행도 및 중요도, 죽음에 대한 인식 등의 변수를 사용하였다. IBM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결과: 요양병원 근무자의 임종돌봄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종돌봄 중요도와 결혼유무이었으며, 이는 38.2%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돌봄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임종돌봄 중요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그들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인력배치 등의 행정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임종돌봄 수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을 하는 연구 수행을 제안하는 바이다.

응급구조과 대학생의 죽음불안, 호스피스 지식과 임종돌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death anxiety, hospice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among paramedic students)

  • 강경아;조혜영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7-12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death anxiety, hospice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among paramedic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96 paramedic students in D university college in J city from November 2011 to November 2014. The study instruments included death anxiety, hospice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ANOVA, post hoc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 20.0. Results: According to a stepwise regression on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80.4% of variance (F=161.360, p<.001) was explained by experience of death, hospices knowledge, disappearance of death anxiety,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s (${\geq}2$) and student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In addition, 44.1% of the variance (F=39.434, p<.001) was explained by experience of death,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leq}4$), warning of others about death anxiety, and family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Conclusion: The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was influenced by hospices knowledge and death anxiety in paramedic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in understanding attitudes towards death anxiety and end-of-life care.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mong paramedic students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death and anxiety hospices knowledge.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대처 경험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Experience in Coping with End-of-life Care Nursing)

  • 김동희;이라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10-72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임종간호 대처 경험의 구조를 규명하여 경험의 의미를 파악,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현상학적인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명의 임종간호 대처 경험을 심층적으로 면담하였고, Colaizzi가 제시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대처 경험은 3개의 범주와 15개의 주제모음으로 구조화하여 규명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의 임종간호 경험의 세 범주는 '임종환자를 돌보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태도', '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종간호 대처'이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더불어 대처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전문가 상담과 같은 프로그램의 운영을 제언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경험 (End-of-life Care Experiences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 여형남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85-192
    • /
    • 2023
  • 현재 우리나라 요양병원은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환자는 주로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들로서 장기요양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요양병원에서 임종하는 경우가 많아 요양병원에서의 임종간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종간호에 대한 연구로는 주로 양적연구들로서 임종간호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파악하기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환자 간호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그 현상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기술하고 이해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 시에 위치한 요양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7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심층 인터뷰로 2021년 12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임종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연명에 대한 양가 감정', '요양병원의 임종간호에 대한 현실', '삶과 죽음에 대한 성찰'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태도를 변화시키고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종간호 보수교육 및 중재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공감역량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nd-of-Life Care Stress, Compassionate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amomg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 송지민;조명주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1-119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end-of-life care stress, compassionate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Methods: The participants comprised 141 nurses at the D cancer center in Busa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4 to the 31, 202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9.0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participnat's job satisfaction and compassionate competence (r=.45, p<.001), and end-of-life care stress (r=.42, p<.001). Conclusion: Compassionate competence and end-of-life care experience among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are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A program that can improve compassionate competence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End-of-life Care Attitude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양승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41-154
    • /
    • 2016
  • 본 연구는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간호대학에 다니고 있는 학생 147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임종간호 태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임종간호 태도 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종간호 태도는 죽음 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 불안(${\beta}$=-.392), 자아존중감(${\beta}$=.179), 죽음 학습경험(${\beta}$=-.227)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임종간호 태도의 18.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적인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End-of-Life Assessments and Communication for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Lee, Eun Kyung;Jeong, Hyae Yeong;Kim, Kyung Wo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3호
    • /
    • pp.194-197
    • /
    • 2021
  • End-of-life assessments aim to help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plan clinical interventions in advance and prepare them for a peaceful end of life, in which the patient accepts life and death, and the family accepts the patient's departure. It is important to assess whether death is imminent within a few days, because critical hospice care is provided intensively during that period. The following five changes constitute objective evidence of the end of life: diminished daily living performance, decreased food intake, changes in consciousness and increased sleep quantity, worsening of respiratory distress, and end-stage delirium. As subjective evidence, it is suggested that sensitive perceptions of experienced nurses and the feelings of family members caring for pati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n notifying a patient or family members that the end of life is approaching, the members of the multidisciplinary hospice team mus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hare accurate information, and provide consistent explanations. They must also listen to non-verbal communication in an empathic and supportive manner.

간호사의 최상의 임종간호 및 웰다잉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al End-of-Life Care and Well Dying of Nurses)

  • 현우인;김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628-639
    • /
    • 2022
  • 본 연구는 환자와 환자 가족에게 최상의 임종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사가 인식하는 최상의 임종간호와 웰다잉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28일부터 5월 12일까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WIN 27.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상자의 최상의 임종간호에 대한 인식의 총 평균은 5점 척도상 4.04±0.82점으로 최상의 임종간호에 전반적으로 '동의한다' 수준을 나타냈다. 웰다잉에 대한 인식의 총 평균은 5점 척도상 3.63±1.14점으로 평화롭게 죽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에 따른 최상의 임종간호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t=-.97, p=.013) 30대 간호사군이 20대 간호사군에 비해 최상의 임종간호에 더 높은 동의수준을 나타냈다. 최상의 임종간호와 웰다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력이 낮은 젊은 간호사들의 임종간호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 환자 임종간호 경험 (Nurses' Experiences of End-of-life Care for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이춘이;이가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9-21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describe the essence and the meaning of nurses' experiences of end-of-life care (EOLC) for elderly patients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s (LTCHs).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12 nurses who had been working at LTCHs in Korea through one-on-one interview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The emergent 5 themes were 'Doing the best for protecting patients' life', 'Providing a comfortable dying process for patients', 'Supporting a family's keeping on patient's death', 'Reflecting on life' and 'Desiring for the establishment of a humanity end-of-life care environment'. Conclusion: The end-of-life care for the elderly patients includes supporting elderly patients' comfortable dying process and helping the family keep the death of the elder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ysical facilities and end-of-life nursing capacity should be established in LTCH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O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