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capsulation

검색결과 812건 처리시간 0.04초

Encapsulation of OLEDs Using Multi-Layers Consisting of Digital CVD $Si_3N_4$ and C:N Films

  • 서정한;오재응;서상준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538-539
    • /
    • 2013
  • 여러 장점으로 인해 OLED는 디스플레이 및 조명 등 적용분야가 넓어지고 있지만, 수분 및 산소에 취약하여 그 수명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현재까지는 glass cap을 이용한 encapsulation 기술이 적용되고 있지만, flexible 기판에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여러 가지 thin film encapsulation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나 보다 신뢰성이 높은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때이다. Encapsulation 무기 박막 물질로서 $Si_3N_4$ 박막은 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의 박막 증착법을 사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저온에서의 좋은 품질의 박막 증착이 가능하지만, 100도 이하의 thermal budget을 갖는 OLED Encapsulation에 사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다. CVD 박막의 특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최근 ALD (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을 통한 $Al_2O_3$ film 증착 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낮은 증착 속도로 인해 양산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또 다른 해결책으로서 Digital CVD 방법을 이용한 양질의 $Si_3N_4$ 박막의 증착을 연구하였다. 이것은 ALD 증착법과 유사하며, 1st step에서 PECVD 방법으로 4~5 ${\AA}$의 얇은 silicon 박막을 증착하고, 2nd step에서 nitrogen plasma를 이용하여 질화 반응을 진행하고, 이러한 cycle을 원하는 두께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이 때 1 cycle 당 증착속도는 7 ${\AA}$/cycle 정도였다. 최적의 증착 방법과 조건으로 기존의 CVD $Si_3N_4$ 박막 대비 1/5 이하로 pinhole을 최소화 할 수는 있지만 완벽하게 제거하기는 힘든 문제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을 위한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기물 박막인 carbon nitride를 이용한 SiN/C:N multilayer 증착 연구를 진행하였다. Fig. 1은 CVD 조건으로 증착된 두께 750 nm SiN film에서 여러 층의 C:N film layer를 삽입했을 때, 38 시간의 85%/$85^{\circ}C$ 가속실험에 따라 OLED의 발광 사진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C:N 층을 삽입하고 또한 그 박막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OLED에 대한 encapsulation 특성이 크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Cryopreservation of in Vitro Grown Shoot Tip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by the Encapsulation-Vitrification Method

  • Yi, JungYoon;Lee, GiAn;Lee, YoungYi;Gwag, JaeGyun;Son, EunHo;Park, HongJa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35-641
    • /
    • 2016
  •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shoot tips grown in vitro were successfully cryopreserved by encapsulation-vitrification. Encapsulated explants are very easily manipulated, due to the relatively large size of the alginate beads, and a large number of samples can be treated simultaneousl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ucrose preculture, cryoprotectant preculture, and post-warm recovery media on regrowth, following liquid nitrogen (LN) exposure,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an efficient encapsulation-vitrification protocol for sweet potato. Shoot tips of plants grown in vitro were precultured in 0.3 M sucrose for 2 d before encapsulation. Encapsulated shoot tips were pre-incubated in liquid MS (Murashige and Skoog) medium containing 0.5 M sucrose for 16 h, before preculturing in sucrose-enriched medium (0.7 M sucrose) for 8 h. Shoot tips were osmoprotected with 35% plant vitrification solution 3 (PVS3) for 3 h, before being dehydrated with PVS3 for 2 h at $25^{\circ}C$. The encapsulated and dehydrated shoot tips were transferred to 2 mL cryotubes, suspended in 0.5 mL PVS3, and plunged directly into liquid N. High levels of shoot formation were obtained for the cv. Yeulmi (65.7%) and Yeonwhangmi (80.3%). The regrowth rates of cryopreserved samples in Yeulmi (78.9%) and Yeonwhangmi (91.3%), following culture on ammonium-free MS medium for 5 d, were much higher than those cultured on standard MS medium (65.7% and 80.3%, respectively). This encapsulation-vitrification is a promising method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sweet potato.

Effect of Coating Method on the Survival Rate of L. plantarum for Chicken Feed

  • Lee, Sang-Yoon;Jo, Yeon-Ji;Choi, Mi-Jung;Lee, Boo-Yong;Han, Jong-Kwon;Lim, Jae Kag;Oh, Jae-Wo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30-237
    • /
    • 201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the most suitable method and wall material for microencapsulation of the Lactobacillus plantarum to maintain cell viability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L. plantarum, we developed an encapsulation system of L. plantarum, using water-in-oil emulsion system. For the encapsulation of L. plantarum, corn starch and glyceryl monostearate were selected to form gel beads. Then 10% (w/v) of starch was gelatinized by autoclaving to transit gel state, and cooled down at $60^{\circ}C$ and mixed with L. plantarum to encapsulate it. The encapsulated L. plantarum was tested for the tolerance of acidic conditions at different temperatures to investigate the encapsulation ability.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survival rate of the microencapsulated cells in starch matrix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ree cells in low pH conditions with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corn starch as a wall material and glycerol monostearate as a gelling agent in encapsulation could play a role in the vi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in extreme conditions. Using the current study, it would be possible to formulate a new water-in-oil system as applied in the protection of L. plantarum from the gastric conditions for the encapsulation system used in chicken feed industry.

저분자 알긴산을 이용한 fish oil의 microencapsulation (Microencapsulation of Fish Oil by Low-molecular Weight Sodium Alginate)

  • 조민;김병용;백무열;임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30-735
    • /
    • 2005
  • 정제어유의 산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피하기 위해 유화법을 이용한 알긴산 캡슐을 제조하고 캡슐을 구성하는 염화칼슘. 알긴산, 정제어유 그리고 유화제의 농도 그리고 피복물질로서의 저분자 알긴산이 캡슐의 수율에 미치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염화칼슘 농도에 따른 캡슐의 수율은 0.5%까지는 증가하지만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변화가 없었고, 알긴산 농도는 1.25%까지 수율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1.5%에서 감소하였다. 내부물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캡슐의 봉입율도 높아졌고, 0.25-1.0%의 유화제 농도에서는 94%의 수율로 일정하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장 높은 수율을 얻기 위한 유화 캡슐화 공정의 적절한 조건을 염화칼슘: 0.5%, 알긴산: 1.25%, 내부물질: 0.75%, 유화제: 0.75%로 결정할 수 있었다. 또한 감마선에 의해 저분자화 된 알긴산을 피복물질로서 캡슐공정에 적용하였을 경우 캡슐의 수율 변화가 거의 없어 고분자 알긴산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LD 아르곤 퍼지유량에 따른 Al2O3박막 분석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 봉지막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2O3 Thin Film According to ALD Argon Purge Flow Rate and Application to the Encapsulation of OLED )

  • 이동운;김기락;조의식;전용민;권상직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27
    • /
    • 2023
  • 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is very thin organic films which are hundreds of nanometers. Unlike bottom-emission OLED(BEOLED), top-emission OLED(TEOLED) emits light out the front, opaque moisture absorbents or metal foils can't be used to prevent moisture and oxygen. And it is difficult to have flexible characteristics with glass encapsulation, so thin film encapsulation which can compensate for those two disadvantages is mainly used. In this study, Al2O3 thin films by atomic layer deposition(ALD) were examined by changing the argon gas purge flow rate and we applied this Al2O3 thin films to the encapsulation of TEOLED. Ag / ITO / N,N'-Di-[(1-naphth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 / 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LiF / Mg:Ag (1:9) were used to fabricate OLED device. The characteristics such as brightness, current density, and power efficiency are compared. And it was confirmed that with a thickness of 40 nm Al2O3 thin film encapsulation process did not affect OLED properties. And it was enough to maintain a proper OLED operation for about 9 hours.

  • PDF

이중유화법을 이용한 PLA 마이크로캡슐 내부로의 아스코르브산 캡슐화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Ascorbic Acid Encapsulation in PLA Microcapsules Using Double Emulsion Process)

  • 윤지원;정영미
    • 공업화학
    • /
    • 제35권2호
    • /
    • pp.115-121
    • /
    • 2024
  • 본 연구는 W1/O/W2 이중유화법을 통한 마이크로 캡슐화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역미셀(reverse micelle), salt 농도 등의 열역학적 변수와 유체의 점도, 계면장력 등 계면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변수들의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아스코르브산의 PLA (polylactic acid) 미립자 내부로의 캡슐화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W1과 W2상의 삼투압의 차이로 W2상의 salt 농도를 높이거나, W1상의 아스코르브산 농도를 줄이면 캡슐화 효율이 높아짐을 관찰하였다. 또한, 삼투압의 차이가 클수록 미립자 표면의 손상이 심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캡슐화 효율을 높일 것으로 예상되었던 역미셀 도입은 그 기여도가 낮거나 오히려 캡슐화 효율을 낮추었다. 마이크로캡슐의 수율은 공정 조건, 용액 조성 등과 상관없는 universal 함수로 표현하였는데, Ca > 20에서는 더 이상의 수율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