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amel rod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치아우식증의 최초 발생부위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INITIATION OF DENTAL CARIES)

  • 최유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9권4호
    • /
    • pp.151-157
    • /
    • 1971
  • Freshly extracted permant teeth were examined by electron microscope according to the Filmy replica method. Preparatory method with hydrochloric acid or proteolytic enzyme treatment was used in order to injure the structural composition of enamel surface to compare between the natural carious defects and the etched samples used in this study. The natural carious defects were chalky white or brown discolored portions at the smooth enamel surface without having visible loss of enamel substanc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irst caries attact initiated from the mineralized portion of rod sheath which is located at the top of enamel rod. 2. The caries developed downward along the rod sheath interprismatic substances and enamel rods subsequently. However, the caries involvement of interprismatic substances and enamel rods occured almost at the same time. 3. The rod sheath attached to the remineralized smooth emael surface was located at the top of enamel rod.

  • PDF

법랑소주 방향에 따른 접착제의 미세전단 결합강도 (MICROSHEAR BOND STRENGTH OF ADHESIV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ENAMEL RODS)

  • 조영곤;김종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4호
    • /
    • pp.344-351
    • /
    • 2005
  • 본 연구는 법랑소주의 말단과 측면에 대한 3단계, 2단계 및 단일 단계 접착제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상호 비교하였다. 발거된 상$\cdot$하악 대구치를 근, 원심 방향으로 1mm 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였다. 시편 중 협면과 설면 중앙부의 최 외층을 법랑소주의 말단이 노출된 시편으로 이용하였고, 내측에서 얻어진 시편을 법랑소주의 측면이 노출된 시편으로 이용하였다. 사용된 접착제에 따라 4개의 군 (1군 All-Bond 2, 2군: Single Bond, 3군: Tyrian SPE/One-Step Plus, 4군: Adper Prompt L-Pop)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당 법랑소주의 말단과 측면이 노출된 시편을 각각 7개씩 선택하여 각각의 접착제와 Tygon tube를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접착한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에서 분당 1 mm의 crosshead speed의 전단하중을 가하여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법랑소주 말단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2군과 4군이 1군과 3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2. 법랑소주 측면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2군은 1군, 3군, 4군보다 그리고 4군은 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3. 모든 군에서 법랑소주 말단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법랑소주 측면에 대한 결합강도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수종의 시판 청량음료가 치아표면 법랑질 침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F THE EFFECT OF EROSION ON THE TOOTH ENAMEL SURFACE BY ACID BEVERAGES PURCHASED ON THE RETAIL MARKET)

  • 하주식;김종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9권11호통권150호
    • /
    • pp.949-956
    • /
    • 1981
  • The author collected some acid containing beverages to observe the influence which acid containing beverages affect the tooth surface tissue and the resistance of tooth which was treated with fluoride and counterpart tooth in the acid containing beverages and comparatively observing the erosion of enamel surface, the author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1. Acid containing beverages on the market eroded the tooth surface tissue and the erosion degree was determined by the pH concentration of beverages. 2. the erosion aspect of the tooth surface in terms of acid containing beverages indicated some on the surface and surrounding enamel rod in the beverages which the pH was comparatively high, and the erosion was observed greatly in all enamel including the enamel rod in the beverages which pH was high. 4. When one drinks beverages, if beverges' pH is high, there are no serious harmful, but the author recommended not drinking the beverages which pH is low under the situation lack of the proper preventive dentistry technique.

  • PDF

정중 과잉치 법랑질의 SEM/EDS 분석 (SEM/EDS Analysis of the Enamel in Mesiodens)

  • 오나경;이제식;남순현;권태엽;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1-110
    • /
    • 2019
  • 이 연구는 정중 과잉치 법랑질의 구조학적 및 형태학적 특징에 대하여 주사형 전자현미경(FE-SEM)과 에너지 분산형 분광분석법(EDS)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영구 중절치와 유중절치의 법랑질 구조 및 형태와 차이점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15개의 정중 과잉치, 영구 중절치와 유중절치를 이용하였으며, 법랑질의 두께와 법랑소주 직경에 대하여 FE-SEM을 이용하여 측정 및 관찰하고, 성분 분석을 위하여 EDS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법랑소주 두께의 경우 영구 중절치, 정중 과잉치, 유중절치 순으로 나타났다. 법랑소주의 직경의 경우 영구중절치와 정중 과잉치에서는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으며, 유중절치는 두 그룹에 비해서 작게 나타났다. 성분 분석 시 칼슘의 경우 영구 중절치와 정중 과잉치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유중절치는 작게 나타났다. Ca/P ratio의 경우 정중 과잉치와 영구 중절치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며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고, 유중절치보다는 두 그룹 모두 높게 나타났다. Ca/C ratio의 경우 마찬가지로 정중 과잉치와 영구 중절치에서 유중절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정중 과잉치의 법랑질 특성은 유중절치보다는 영구 중절치와 더 유사함을 알 수 있고, 임상적으로 정중 과잉치의 활용 시 영구 중절치와 비슷한 법랑질 성질을 지님을 유추할 수 있다.

불소의 농도와 Seed Material이 Crystal Growth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UORIDE CONCENTRATION AND SEED MATERIAL ON SEEDED CRYSTAL GROWTH)

  • 오승연;정일영;금기연;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2호
    • /
    • pp.560-574
    • /
    • 1997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rystal growth onto human enamel mineral and synthetic hydroxyapatite(HA) seeds in media resembling the enamel fluid composition. Effects of fluoride at high concentrations on the precipitation were also examined in a bench-top crystal growth model adopting a miniaturized reaction column. The Ca, P and F concentrations and pH values of the inlet and outlet solutions were determined. The recovered solid samples were weighed to assess the amount of minerals precipitat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nd finally view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markable findings were that 1) both biological and synthetic seeds with the same total surface areas yielded similar amounts of crystal growth, 2) the amount of crystal growth was accelerated in a manner depending on fluoride concentrations in the media, 3) SEM observations disclosed that without the addition of fluoride, precipitation of thin, plate-like OCP crystals became prominent, but by increasing the fluoride concentration(beyond 1ppm F), rod-like crystals having a pointed edge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without any evidence for precipitation of the plate-like crystals. Furthermore, the dimension of rod-like crystals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fluoride concentrations, 4)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orphological feature of precipitated mineral phase upon seeding between human enamel seed and synthetic HA seed. The overall results support the view that the seeded crystal growth model is of value to gain insight into the mechanism of enamel crystal growth under fluoride regimens.

  • PDF

CO2레이저 조사가 치아경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EPMA분석 및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A STUDY OF CO2 LASER IRRADIATED DENTAL HARD TISSUES USING ELECTRON PROBE MICROANALYZE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장계봉;이정석;이찬영;이승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2권1호
    • /
    • pp.51-64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data of prestep in cavity preparation by observing changed conditions of laser irradiated dental hard tissues. The forty five extracted caries free human mola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each group into five subgroups. A $CO_2$ laser irradiation was performed each subgroup of group I for one second with output power of 5 W, 10 Wand 20 W. On group II, laser irradiation was done ten times for 0.1 second duration using same power ratings as group I. On group III, laser irradiation was done 0.1 second, 0.2 second and 0.4 second with output power of 50 W. We investigated mineral contents and crater wall of obtained specimens, i.e., laser irradiated teeth, using computer controlled electron probe microanalyze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Both calcium and phosphorus contents in laser irradiated enamel crater wall were increased, and magnesium content was decreased, but these trend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In laser irradiated dentin, change of mineral content was more significant. 3. In laser irradiated enamel and denti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mineral content change due to irradiation condition and energy density. 4.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enamel rods of the crater wall were fused and clefts were observ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enamel rod for all groups. 5. In laser irradiated dentin, irregular fusion and clefts were observed. In irradiated teeth with high power and short duration, the locally formed narrow crater wall was observed.

  • PDF

교합면 열구 법랑질의 미세구조 및 산부식 형태 (ULTRA-STRUCTURE AND ACID ETCHING CHARACTERISTICS OF OCCLUSAL FISSURE ENAMEL)

  • 조태식;윤정훈;김수관;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21-331
    • /
    • 2005
  • 치면열구전색제의 접착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합면 열구 법랑질의 미세구조 및 산부식 형태, 그리고 산부식 형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prismless enamel의 존재 여부 및 법랑질의 화학적 조성을 규명하고자 소구치를 대상으로 협설면과 근원심으로 각각 절단하여 열구내의 법랑질 표면과 산부식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EDX를 사용하여 법랑질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열구내 법랑질은 대부분이 prismless enamel이 존재하였다. 2. 미성숙 영구치와 성숙된 영구치간의 열구내 법랑질 표면 구조 및 산부식 형태는 차이가 없었다. 3. 열구 법랑질은 부위에 관계없이 60초 산부식이 15초, 30초, 45초에 비해 산부식 효과가 가장 컸으며 15초, 30초, 45초의 산부식 시간에서는 적절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산부식 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4. 열구 법랑질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제거한 경우는 30초의 산부식 시간에서도 60초 산부식 시간에 못지않은 전형적인 산부식 상이 관찰되었다. 5. 산부식 형태는 주로 rod 주위가 소실된 제 2형의 산부식 상이 관찰되었다. 6. 열구 내 법랑질의 부위별 화학적 조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미성숙 영구치와 성숙된 영구치 사이의 칼슘/인 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교합면 열구 내 법랑질은 대부분 산에 저항성이 큰 prismless enamel로 덮여 있어 기존에 제안된 15-30초의 산부식 시간으로는 적절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산부식 상을 형성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제안된 산부식 시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며 이와 함께 적절한 산부식 상을 얻기 위한 방안으로 산부식 전 bur를 사용하여 열구내 법랑질 표면을 제거해 주는 보조적인 술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치질에 접착된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와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형태학적 양상 (MORPHOLOGICAL PATTERNS OF SELF-ETCHING PRIMERS AND SELF-ETCHING ADHESIVE BONDED TO TOOTH STRUCTURE)

  • 조영곤;이석종;정진호;이영곤;김수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1호
    • /
    • pp.23-3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n vitro interfacial relationship of restorations bonded with three self-etching primer adhesives and one self-etching adhesive. Class I cavity preparations were prepared on twenty extracted human molars. Prepared teeth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restored with four adhesives and composites Clearfil SE $Bond/Clearfil^{TM}$ AP-X (SE), UniFil $Bond/UniFil^{\circledR}$ F (UF), FL $Bond/Filtek^{TM}$ Z 250 (FL) and Prompt $L-Pop/Filtek^{TM}$ Z 250 (LP) After storing in distilled water of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the specimens were vertically sectioned and decalcified. Morphological patterns between the enamel/dentin and adhesives were observed under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y showed close adaptation between enamel and SE, UF and FL except for LP. 2. The hybrid layer in dentin was $2{\;}\mu\textrm{m}$ thick in SE, $1.5{\;}\mu\textrm{m}$ thick in UF, and $0.4{\;}\mu\textrm{m}$ in both FL and LP. So, the hybrid layers of SE and UF were slightly thicker than that of FL and LP. 3. The lengths and diameters of resin tags in UF and FL were similar, but those of LP were slightly shorter and slenderer than those of SE. 4. The resin tags were long rod shape in SE, and funnel shape in other group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self-etching primer adhesives showed close adaptation on enamel.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hybrid layer ranged from $0.4-1.5{\;}\mu\textrm{m}$ between adhesives and dentin. The resin tags were long rod or funnel shape, and dimension of them was similar or different among adhesives.

복합 레진으로 수복된 세 가지 첨와형태 와동의 파절 저항성에 관한 연구 (FRACTURE RESISTANCE OF THE THREE TYPES OF UNDERMINED CAVITY FILLED WITH COMPOSITE RESIN)

  • 최훈수;신동훈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177-183
    • /
    • 2008
  • 심미성 복합레진은 자연 치질을 보존시키며 나아가 잔존 치질의 강도를 강화시켜 준다. 복합레진 수복시 더 많은 치질을 남기기 위해 첨와 (undercut) 형태의 교합면 치질을 남긴 채 복합레진으로 수복하는 경우가 많으나, 어느 정도 강도가 복원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첨와 형태의 와동을 잔존치질의 두께 (법랑질 /법랑질과 상아질)에 따라 형성하고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경우, 수복된 치아의 파절 저항성을 손상이 없는 자연치와 비교 평가하였다. 상악 대구치 40개의 교합면을 편평하게 삭제한 후 방사선 사진에서 치수각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대상 치아를 각 10개씩 4개군으로 분류하였으며, $1{\sim}3$군은 실험군으로 모두 협측에 깊이 7 mm, 근원심 폭경 5 mm의 첨와 형태 와동을 형성하였고, 와동저에서 치수각까지의 거리를 약 0.5 mm로 유지하였으며 교합면쪽의 치질 두께를 달리하였다. 1군은 법랑질과 소량의 상아질로 구성된 치질 두께를 1 mm, 2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1.5 mm, 3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2 mm가 되도록 하였고, 4군은 건전한 자연치를 와동형성 없이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두께 측정은 방사선 사진을 스캔한 후 길이 확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와동을 37% 인산으로 산부식한 다음 단일병 접착제 Single $Bond^{TM}$ (3M/ESPE, USA)를 적용하였고 혼합형 복합레진 Filtek $Z-250^{T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적층 충전하였다. 치아를 실온에서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Sof-Lex syste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연마하였다. 이후 자가중합형 레진에 교합면을 기저부에 평행한 상태로 치근부를 매몰한 다음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Z010, Germany)에서 지름 3 mm의 staineless steel rod를 1 mm/min의 cross-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95% 유의 수준의 One-way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와동 형성 후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약 75%의 파절 강도를 보였다. 2. 교합면쪽 잔존 치질의 두께에 따른 파절 저항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첨와 형태의 와동을 수복한 후 파절 강도를 측정한 결과 건전 치아보다는 강도가 낮았지만, 상부의 잔존 치질이 대부분 법랑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면 건전 치아 파절 강도의 75%까지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복합 레진으로 수복된 세 가지 첨와형태 와동의 파절 저항성에 관한 연구 (FRACTURE RESISTANCE OF THE THREE TYPES OF UNDERMINED CAVITY FILLED WITH COMPOSITE RESIN)

  • 최훈수;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177-183
    • /
    • 2008
  • 심미성 복합레진은 자연 치질을 보존시키며 나아가 잔존 치질의 강도를 강화시켜 준다. 복합레진 수복시 더 많은 치질을 남기기 위해 첨와 (undercut) 형태의 교합면 치질을 남긴 채 복합레진으로 수복하는 경우가 많으나, 어느 정도 강도가 복원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첨와 형태의 와동을 잔존 치질의 두께 (법랑질 / 법랑질과 상아질)에 따라 형성하고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경우, 수복된 치아의 파절 저항성을 손상이 없는 자연치와 비교평가하였다. 상악 대구치 40개의 교합면을 편평하게 삭제한 후 방사선 사진에서 치수각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대상 치아를 각 10개씩 4개군으로 분류하였으며, 1$\sim$3군은 실험군으로 모두 협측에 깊이 7 mm, 근원심 폭경 5 mm의 첨와 형태 와동을 형성하였고, 와동저에서 치수각까지의 거리를 약 0.5 mm로 유지하였으며 교합면쪽의 치질 두께를 달리하였다. 1군은 법랑질과 소량의 상아질로 구성된 치질 두께를 1 mm, 2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1.5 mm, 3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2 mm가 되도록 하였고, 4군은 건전한 자연치를 와동형성 없이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두께 측정은 방사선 사진을 스캔한 후 길이 확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와동을 37% 인산으로 산부식한 다음 단일병 접착제 Single $Bond^{TM}$ (3M/ESPE, USA)를 적용하였고 혼합형 복합레진 Filtek $SZ-250^{T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적층 충전하였다. 치아를 실온에서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Sof-Lex syste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연마하였다. 이후 자가중합형 레진에 교합면을 기저부에 평행한 상태로 치근부를 매몰한 다음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Z010, Germany)에서 지름 3 mm의 staineless steel rod를 1 mm/min의 cross-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95% 유의 수준의 One-way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와동 형성 후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약 75%의 파절 강도를 보였다. 2. 교합면쪽 잔존 치질의 두께에 따른 파절 저항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첨와 형태의 와동을 수복한 후 파절 강도를 측정한 결과 건전 치아보다는 강도가 낮았지만, 상부의 잔존 치질이 대부분 법랑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면 건전 치아 파절 강도의 75%까지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