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TRA-STRUCTURE AND ACID ETCHING CHARACTERISTICS OF OCCLUSAL FISSURE ENAMEL

교합면 열구 법랑질의 미세구조 및 산부식 형태

  • Cho, Tae-Si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Yoon, Jeong-Hoon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Kim, Su-Gwan (Department of Oral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조태식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윤정훈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 ;
  • 김수관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mechanical and acid treatment on enamel surfaces for the reten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s and evaluate the presence of a prismless layer. The etch pattern produced on enamel from immature and mature premolar teeth extracted with varying period of acid etching using 37% phosphoric acid was examin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The composition of each groups was evaluated using an energy dispersive x-ray(EDX) spectroscopy. The result of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rismless layer was commonly observed on the fissure enamel in young and mature premolar.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icro-structure and etching pattern on fissure enamel between the young and the mature premolar. 3. The most effective etching pattern for reten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 was observed in 60 seconds of etching time and no apparent difference of etching pattern was found among 15, 30, and 45 seconds of etching time which showed non-retentive etching patterns. 4. The etching pattern obtained by grinding enamel surface with bur followed by 60 seconds of etching was similar to that of 60 seconds of etching without any pretreatment of fissure surface. 5. Type 2 etching pattern was commonly found on fissure enamel in both young and mature premolar. 6. The calcium content and P/Ca ratio in fissure enamel between the young and the mature premola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ut content of calcium, phosphate and P/Ca ratio on various regions of fissure enamel in both young and mature premolar did not showed any difference. Based on these results, prismless layer may negatively influence the reten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s. Therefore, the mechanical removal of the prismless layer by grinding prior to etching or by prolonged etching time of enamel within the fissure system should result in an improved bonding of a pit and fissure sealant.

치면열구전색제의 접착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합면 열구 법랑질의 미세구조 및 산부식 형태, 그리고 산부식 형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prismless enamel의 존재 여부 및 법랑질의 화학적 조성을 규명하고자 소구치를 대상으로 협설면과 근원심으로 각각 절단하여 열구내의 법랑질 표면과 산부식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EDX를 사용하여 법랑질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열구내 법랑질은 대부분이 prismless enamel이 존재하였다. 2. 미성숙 영구치와 성숙된 영구치간의 열구내 법랑질 표면 구조 및 산부식 형태는 차이가 없었다. 3. 열구 법랑질은 부위에 관계없이 60초 산부식이 15초, 30초, 45초에 비해 산부식 효과가 가장 컸으며 15초, 30초, 45초의 산부식 시간에서는 적절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산부식 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4. 열구 법랑질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제거한 경우는 30초의 산부식 시간에서도 60초 산부식 시간에 못지않은 전형적인 산부식 상이 관찰되었다. 5. 산부식 형태는 주로 rod 주위가 소실된 제 2형의 산부식 상이 관찰되었다. 6. 열구 내 법랑질의 부위별 화학적 조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미성숙 영구치와 성숙된 영구치 사이의 칼슘/인 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교합면 열구 내 법랑질은 대부분 산에 저항성이 큰 prismless enamel로 덮여 있어 기존에 제안된 15-30초의 산부식 시간으로는 적절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산부식 상을 형성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제안된 산부식 시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며 이와 함께 적절한 산부식 상을 얻기 위한 방안으로 산부식 전 bur를 사용하여 열구내 법랑질 표면을 제거해 주는 보조적인 술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