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on sausage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18초

Effect on the Emulsification Stability and Quality of Emulsified Sausages Added with Wanggasi-Chunnyuncho (Opuntia humifusa f. jeollaensis) Fruit Powders

  • Jeong, Yiji;Han, Youngsi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53-965
    • /
    • 2019
  • In this study, the Opuntia humifusa f. jeollaensis (Wanggasi-Chunnyuncho) fruit (WCF) was used as a source of viscous dietary fiber and color pigmentation in sausage production to improve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cooking loss and emulsion stability. Control and treatment sausages were formulated with 0%, 1%, 5%, and 10% WCF powder, respectively, and the following quality measures were investigated: general composition, fiber content, cooking loss, emulsion stability, chromaticity, pH,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The moisture, dietary fiber, and ash contents showed increasing trends (all p<0.05)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fruit powder. Conversely,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exhibited decreasing trends with increasing fruit powder concentrations (p<0.05). Moreover, both the moisture and dietary fiber contents affected cooking loss, water retention capacity, and the sausage texture, causing the cooking loss to decrease, while the water and oil retention capacity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WCF powder. Furthermore, hardness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ing trend as the concentration of WCF powder increased (p<0.05). This finding suggested that both dietary fiber and viscous materials, along with the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affected the product hardness. In addition, sensory evaluation of the WCF powder groups showed better results than did the control group, and the strongest results obtained for the group containing 5% fruit powder (p<0.05).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WCF powder improves the quality of emulsified sausages and can potentially be applied as a naturally-derived additive.

유자과피 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Citron Peel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es of Emulsion-type Sausages)

  • 이제룡;정재두;하영주;이중동;진상근;이철영;성낙주;도창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849-858
    • /
    • 2004
  •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에 유자과피 분말을 각각 0.3%, 0.6% 및 0.9%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다음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소시지의 pH값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pH값을 나타내었고, 유자과피 분말 0.9%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와 유자과피 분말 0.3과 0.6% 첨가 소시지에 비해 낮은 pH 값을 나타내었다. 소시지의 명도와 적색도 값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와 대조구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대조구가 유자과피 분말 0.6%와 0.9% 첨가 소시지보다 명도 값은 현저하게 높았다. 황색도 값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유자과피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황색도 값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지방산화도를 나타내는 TBARS는 저장 1일에는 대조구와 유자과피 분말 첨가소시지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저장 20일 이후에는 유자과피 분말 0.9%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지방산화도 값을 나타내었다. 잔존 아질산염 함량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유자과피 분말 0.9%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와 유자과피 분말 0.3과 0.6% 첨가 소시지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잔존 아질산염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직특성에서 단단함 정도를 나타내는 경도는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유자과피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값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응집성, 탄력성 및 점착성(뭉침성)은 대조구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에 비해 높았다. 이상에서, 유자과피 분말을 함유한 유화형 소시지는 pH, 색도, 조직특성에서 대조구와 차이를 보였으며, 소시지의 지방산화를 지연시키고 잔존 아질산염 함량을 낮추는 기능성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가 유화형 소시지의 발색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ite and Ascorbic Acid-derived Gas on Color Developmen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in Emulsified Sausage)

  • 김남국;정한혁;이창수;이승환;김언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2-117
    • /
    • 2012
  • 본 연구는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직접 첨가하는 방법을 개선, 대체하기 위하여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를 이용하여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고, 발색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아질산염 150 ppm, 아스코르브산 450 ppm을 직접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실험구는 동일량의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반응시켜 생성된 가스를 포집하여 유화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대조구 및 실험구에서 원료육 보다 높은 pH를 보였으나, 저장기간 중 pH의 범위가 6.22-6.34로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육색의 경우 원료육에 비해 높아진 명도(lightness, CIE $L^*$)와 적색도(redness, $a^*$)를 보였으며, 저장기간 중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적색도, 높은 황색도(yellowness, $b^*$)를 나타내었다(p<0.05). 그러나 명도의 경우 실험구와 대조구간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물리적 특성 변화로 가열 및 저장감량에서 실험구와 대조구간 차이가 관찰되었으나(p<0.05), 보수력 및 전단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저장기간 중 실험구와 대조구 모두에서 저장감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의 처리가 유화물의 발색 및 물리적 특성에 있어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직접 처리한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가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직접 첨가하는 방법을 개선,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옻 급여 돈육과 추출물로 제조한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비교 (Quality Comparison of Emulsion- Type Sausages Made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Fed Pork and Extract)

  • 이성기;강선문;김용선;강창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0-217
    • /
    • 2005
  • 아질산염을 배제한 상태에서 옻 급여 돈육과 옻 추출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소시지들의 품질을 비교함으로서 옻나무의 기능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원료육으로 일반 개량종 암돈과 도축 전 5주 동안 옻나무 사료를 $4\%$ 급여한 암돈의 뒷다리 부위를 각각 이용하였다. 처리구로 일반 돈육에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를 T1(대조구)으로 하였으며, 옻 급여 돈육에 물로 제조한 소시지를 T2, 일반 돈육에 옻 추출액으로 제조한 소시지를 T3, 옻 급여 돈육에 옻 추출액으로 제조한 소시지를 T4로 구분하였다. 옻 급여 원료육이 대조구육에 비해 조지방 함량이 낮았으며(p<0.01),육색이 검붉고 pH가 높았다(p<0.001). 옻 추출액으로 제조한 소시지(T3, T4)는 어둡고 갈색을 나타냈지만, 옻 급여 돈육과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T2)의 육색은 저장기간 동안 자고 붉은 색을 나타내었다. 옻 급여 돈육으로 제조된 소시지(T2)의 저장 중 TBARS와 VBN은 대조구보다 억제되었으며, 옻 추출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T3, T4)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조직감은 처리구마다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없었지만 옻 급여 돈육(T2)으로 제조한 소시지에서 높은 경도, 점착성, 뭉침성, 씹힘성을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옻 급여 돈육에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T2)가 저장 중 색깔이 가장 붉고 지방산화 및 단백질의 부패가 억제되었으며 조직감이 단단하여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Replacing Pork Fat with Vegetable Oils on Quality Properties of Emulsion-type Pork Sausages

  • Lee, Hyun-Jin;Jung, Eun-Hee;Lee, Sang-Hwa;Kim, Jong-Hee;Lee, Jae-Joon;Choi, Yang-I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0-136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properties of emulsion-type pork sausages when pork fat is replaced with vegetable oil mixtures during processing. Pork sausages were processed under six treatment conditions: T1 (20% pork fat), T2 (10% pork fat + 2% grape seed oil + 4% olive oil + 4% canola oil), T3 (4% grape seed oil + 16% canola oil), T4 (4% grape seed oil + 4% olive oil + 12% canola oil), T5 (4% grape seed oil + 8% olive oil + 8% canola oil), and T6 (4% grape seed oil + 12% olive oil + 4% canola oil). Proximat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in the moisture, protein, and fat content among the emulsion-type pork sausages. Furthermore, replacement with vegetable oil mixtur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sh content (p<0.05), increased water-holding capacity in emulsion-type pork sausages. Also, cholesterol content in T6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2 (p<0.05). In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and chewiness of emulsion-type pork sausages wer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by vegetable oil mixtures replacement. On the contrary,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in the T4 group were similar to those of group T1.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emulsion-type pork sausages was increased by vegetable oil mixtures replacement. Replacement of pork fat with mixed vegetable oils had no negative effect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emulsion-type pork sausages, and due to its reduced 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the product ha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y meat products desired by consumers.

Effect of Mixing Ratio between Pork Loin and Chicken Breast on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mulsion Sausages

  • Kim, Hyun-Wook;Choi, Min-Sung;Hwang, Ko-Eun;Song, Dong-Heon;Kim, Yong-Jae;Ham, Youn-Kyung;Chang, Seong-Jin;Lim, Yun-Bin;Choi, Yun-Sang;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3-140
    • /
    • 2014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mixing ratio between pork loin and chicken breast for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mulsion sausages. Meat homogenates are prepared by using five mixing ratios between pork loin and chicken breast (100:0, 70:30, 50:50, 30:70, and 0:100), and the emulsion sausages are also formulated with five mixing ratios. The additions of chicken breast increase the salt soluble protein solubility due to high pH levels of chicken breast, thereby resulting in the reduction of cooking losses. In addition, the apparent viscosity of meat homogenates increase with increasing amounts of chicken breast. In terms of emulsion sausages formulated with pork loin and chicken breast, the addition of chicken breast above 50% may contribute to a softer and more flexible texture of emulsion sausages. For sensory evaluations, an increase in the added amount of chicken breast contributes to a rich umami taste and deeper flavor within the emulsion sausages, resulting in the high overall acceptance score for the formulation of 0-30% pork loin and 70-100% chicken breast. Therefore, the optimal mixing ratios between pork loin and chicken breast are 0-30% and 70-100% for enhancing the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mulsion sausages.

Effects of Additions of Monascus and Laccaic acid on the Color and Quality Properties of Nitrite-Free Emulsion Sausag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Seong, Pil-Nam;Ba, Hoa Van;Kim, Yoon-Seok;Kang, Sun-Moon;Cho, Soo-Hyun;Kim, Jin-Hyoung;Park, Beom-Young;Kang, Geun-Ho;Moon, Sung-Sil;Seo, Hyun-W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17
    • /
    • 2017
  • This effect of Monascus and Laccaic aci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physical,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of sausage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Eight treatments (T) of sausage such as T1 (12 ppm sodium nitrite), while T2, T3, T4, T5, T6 and T7 were formulated with different ratios of Monascus/Laccaic acid: 63/7.0, 108/12, 135/15, 59.5/10.5, 102/18 and 127.5/22.5 ppm, respectively. The batch formulated without nitrite or Monascus and laccaic acid was served as control (C). The control sausages had higher pH values compared to the treated ones at 3, 10 and 28 d storage (p<0.05). After 10 d storage, the pH values decreased in treated sausage samples (p<0.05). The T1 and T4 presented the lowest yellowness and lightness values, respectively over the storage period. The redness values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Monascus and Laccaic acid amounts (T2-T4, T5-T7). The addition of Monascus and Laccaic acid had significantly higher hardness and springiness values (p<0.05)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3, 19 or 28 d stor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Monascus and Laccaic acid could improve the redness of the products.

육제품에 첨가된 대두단백 정량을 위한 면역분석법 개발에 관한 연구 ; ELISA에 의한 고기유화물 및 시판육제품에 첨가된 대두단백 정량 (Development of Immunoassay Systems for the Assay of Soy Protein in Meat Products; The Assay of Soy Protein in Meat Blends and Commercial Product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 김천제;김종배;김병철;이승배;정성원;최도영;고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97-403
    • /
    • 1992
  • 본 실험은 육가공품에 첨가된 대두단백질(soy protein)을 정량하기 위한 면역분석법의 개발을 위해 고기 혼합물, 유화형소세지 및 시판육제품을 사용하여 정량실험을 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standard 항원을 추출과정 전과 후에 가열처리하여 반응성을 조사한 결과 가열온도에 따른 반응성 변화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고기혼합물과 유화형소세지의 대두단백 회수율에서 가열온도에 따른 반응성 변화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지방 및 첨가된 향신료에 의한 반응성의 방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의 연관성은 대두함량이 높은 10% 첨가구에서 낮은 첨가구(2, 5%)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시판 육제품의 대두단백 회수율은 제품간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생야채와 소맥전분 등을 첨가한 일부 제품에서는 다소 낮게 나타냈으나, 실험을 통한 회수율의 연관성은 인정되었다.

  • PDF

아질산나트륨 및 비타민 C 대체로 첨가한 수벌번데기 분말이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one Pupa Meal Added as Replacement of Sodium Nitrite and Vitamin C on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

  • 강선문;맹아란;성필남;김진형;조수현;김윤석;최용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02-810
    • /
    • 2018
  • This study estimated the effect of drone pupa meal (DPM) added as replacement of sodium nitrite (SN) and vitamin C (VC) on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Samples were prepared either with 150 ppm SN+200 ppm VC (control); 75 ppm SN+100 ppm VC+6.015% DPM (T1); or 12.03% DPM (T2) and then stored at $4^{\circ}C$ for 30 days. The pH value decreased (p<0.05) with increase in the levels of DPM. Moisture and protein content decreased (p<0.05) but fat and ash content increased (p<0.05) with higher levels of DPM. T1 and T2 had higher (p<0.05) 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and lower (p<0.05) unsaturate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compared to the control. Lower (p<0.05) $L^*$ and $a^*$ values and higher (p<0.05) $b^*$ and $h^{\circ}$ values were exhibited in the T1 and T2 than in the control; and $C^*$ value was the lowest (p<0.05) in T2. The TBARS content was the highest (p<0.05) in T2, especially, 2 times higher (p<0.05) than in the control. T1 and T2 had harder (p<0.05) texture compared to the contro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PM has no replacement effects against SN and VC in emulsion-type sausage, but it has negative effects on color, lipid oxidation stability, and texture.

돈피 젤라틴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mulsion-Type Sausage Added with Pork Skin Gelatin)

  • 박신영;김계웅;김학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9-214
    • /
    • 2016
  • 본 연구는 돈피 젤라틴 첨가에 따른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별로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젤라틴 함량을 0%, 1%, 3%, 5%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일반성분 측정 결과 수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젤라틴 3%와 5%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단백질 함량은 젤라틴 5% 첨가구가 대조구와 젤라틴 1%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또한 지방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H는 가열 전후 모두 젤라틴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색도 측정 결과 가열 전 적색도와 황색도는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명도는 젤라틴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가열 후 명도와 황색도는 젤라틴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P<0.05), 적색도는 젤라틴 3%, 5% 첨가구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보수력은 대조구가 젤라틴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젤라틴 3%와 5%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가열수율은 젤라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0.05). 점도는 젤라틴 3%와 5% 첨가구가 대조구와 1%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물성 측정 결과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은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도는 대조구와 젤라틴 1%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젤라틴 5%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검성은 젤라틴 5%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이러한 결과로 보아 유화형 소시지에 젤라틴 첨가 시 이화학적 특성을 우수하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내어 향후 다양한 소시지형 제품에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