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mployment support

검색결과 806건 처리시간 0.026초

취업역량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국적의 조절효과로- (Effects of Employment Competence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 최주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23-232
    • /
    • 2018
  • 최근 각 대학교에서는 극심한 취업난 해소를 위해 학문 간 융합 교육을 통한 취업과 창업지원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취업역량이 기업가정신과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국적 조절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취업역량이 취업뿐만 아니라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역량만으로는 창업 의지에 직접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기업가정신을 매개로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적에 따라 기업가정신과 창업 의지가 부분적으로 달라지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과 창업에 효과적인 융합기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보다 많은 국가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졸자의 자격보유가 취업과 일자리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llege graduates' qualifications on employment and job suitability)

  • 임미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23-230
    • /
    • 2020
  • 본 연구는 자격을 보유하고 있는 대졸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교소재지에 따른 취업과 일자리적합도 분석을 통해 자격의 경제적, 비경제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SPSS 25를 사용하여 기초통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밝힌 취업의 효과성을 재확인하였으며, 특히, 비 서울권 대졸자의 자격보유는 취업 및 일자리적합도를 높이는데 일부 긍적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개인속성과 학교소재지에 따른 자격의 효과성은 다를 수 있으나, 이를 고려한 적절한 자격보유 독려와 취득 지원은 대졸자의 취업과 일자리적합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ized SMEs R&D Support and Job Creation

  • Bae, Sang-Jin;Ko, Chang-Ryong
    • 융합경영연구
    • /
    • 제6권1호
    • /
    • pp.17-24
    • /
    • 2018
  • Purpose - Major countries in the world continue to grow up without employment by the economy opening, more investment in foreign countries and technical innovation. Nevertheless, SMEs have job creation continuously. As this result, support for SMEs that is the source of job creation has increased attention. However, previous research between SMEs and job-creating is limited to the job creation effect of comparing with large companies, and R&D investment effect including government support. Also, many research provides the different result of correlation with technology innovation and job creation. Therefore, previous research has insufficient to explain job creation by which i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age and the job-specific workfor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customized R&D support upon job creation by using questionnaires of SMEs R&D service of K-Institution from 2009 to 2013. In detail,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age and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R&D support. Also, we added th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R&D support and the job-specific workforce. Results - Research result, Job creat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 to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R&D support in product design stage and mass production stage. Also, R&D worker and production worker correlated with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R&D support.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hiring R&D workers and production workers at the higher technology readiness.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s SMEs support policy and the solve employment problems such as youth unemployment.

A Study on the Employment Predictive Factors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 Jun-Su Kim;Woo-Hong C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241-24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대학 졸업자 취업 성공 요인 분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결정 요인 비교를 통해 대학의 취업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9년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패키지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수도권 대졸자는 개인 특성 중 연령, 부모 자산, 어학연수 경험이 취업 성공(+) 요인이었고, 대학 특성은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나 교육대 대졸자보다 취업 성공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수도권 대졸자는 개인 특성 중 연령, 부모 자산이 취업 성공(+) 요인이었고,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 대졸자보다 취업 성공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The Core Values that Support Health, Safety, and Well-being at Work

  • Zwetsloot, Gerard I.J.M.;van Scheppingen, Arjella R.;Bos, Evelien H.;Dijkman, Anja;Starren, Annick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4권4호
    • /
    • pp.187-196
    • /
    • 2013
  • Background: Health, safety, and well-being (HSW) at work represent important values in themselves. It seems, however, that other values can contribute to HSW. This is to some extent reflected in the scientific literature in the attention paid to values like trust or justice. However, an overview of what values are important for HSW was not available. Our central research question was: what organizational values are supportive of health, safety, and well-being at work? Methods: The literature was explored via the snowball approach to identify values and value-laden factors that support HSW. Twenty-nine factors were identified as relevant, including synonyms. In the next step, these were clustered around seven core values. Finally, these core values were structured into three main clusters. Results: The first value cluster is characterized by a positive attitude toward people and their "being"; it comprises the core values of interconnectedness, participation, and trust. The second value cluster is relevant for th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doing", for actions planned or undertaken, and comprises justice and responsibility. The third value cluster is relevant for "becoming" and is characterized by the alignment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it comprises the values of growth and resilience. Conclusion: The three clusters of core values identified can be regarded as "basic value assumptions" that underlie both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evention culture. The core values identified form a natural and perhaps necessary aspect of a prevention culture, complementary to the focus on rational and informed behavior when dealing with HSW risks.

단기·장기 자활사업 참가자의 취·창업 의지 영향요인 분석 - 인천광역시 사례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illingness to Work of the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 A Case Study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 경승구;이용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79-690
    • /
    • 2018
  • 이 연구는 자활사업 참가자들의 취 창업 의지에 대한 영향요인 및 자활사업 참여기간에 따라 취 창업 의지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활사업 참가자들의 자활근로 형태, 자활사업 참여기간, 주관적 건강 상태, 주변 지인 관계, 취 창업 의지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3년 및 2016년 인천광역시 10개 지역자활센터 참가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자활사업 참가자들을 2013년과 2016년 참여자는 장기참여자, 2016년 참여자는 단기 참여자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자활사업 참가자의 취 창업 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별, 학력, 취 창업 경험, 자활급여 수급여부, 센터 직원과의 친밀도, 일에 대한 태도, 자활사업의 참여기간이었다. 장기 참가자의 취 창업의지에 영향은 주는 요인은 장애여부, 학력, 취 창업 경험, 자활급여 수급여부 등인 반면에, 단기참여자의 경우는 학력, 취 창업 경험여부, 자활급여 수급여부, 가족친밀도, 지역자활센터 직원과의 친밀도가 취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 실태 (Study on the blind zone of social service in Korea)

  • 노혜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1호
    • /
    • pp.179-204
    • /
    • 2016
  • 본 연구는 가족의 삶과 매우 밀접한 영역인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 실태를 아동가구, 노인가구, 장애가구, 빈곤가구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사회서비스 수요공급실태조사의 가구용 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대상은 4,038명이다. 분석의 결과 대상의 포괄성 측면에서 사각지대 규모가 가장 큰 서비스는 고용지원서비스와 문화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구 유형별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아동가구에서 주거지원 서비스, 노인가구에서 상담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급여의 충분성 측면에서 사각지대 정도가 가장 큰 서비스는 보건의료와 고용지원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가구 유형별로 봤을 때는 노인과 장애가구, 빈곤가구 모두 성인돌봄서비스가 서비스의 양적 충분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가구는 지역사회서비스가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건의료와 고용지원 서비스에 대한 확대, 현재 과잉공급되는 것으로 분석된 서비스에 대한 점검, 정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사각지대가 큰 것에 대한 민간조직의 집중 개입 등을 제안하였다.

여성공학도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공과대학 교육환경의 영향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Students)

  • 김동익;이영화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69-77
    • /
    • 2013
  •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at which educational factors affec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one's major of female students in engineering.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the advanced literatures and data for surveys was collected from the 216 female students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This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ANOVA tes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factors analyzed by SPSS window's 1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jor aspirations of female students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are affected by the grades (GPA) they have achieved in the past and by the professors' support they have received from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y the WIE program participation. However, this survey showed that the support of professor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e self-efficacy about employment is affected by the grades (GPA) they have achieved and the professors' support they have received. Therefore, the finding shows that the professors' support in their major field is the most affective factor to both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elf-efficacy, the major aspirations.

장애인 고용·일자리 정책에 대한 Fisher의 정책평가방법론 적용: 상황적 타당성 평가 (Application of Fischer's Policy Evaluation Methodology to Employment and Jobs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Contextual Feasibility Evaluation)

  • 정솔;강동욱;장윤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947-95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Fisher(1995, 2003)의 다차원적 정책평가방법 중 상황적 타당성 평가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장애인 고용·일자리 정책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다수의 장애인 고용·일자리 정책평가 연구들이 계량적인 연구방법에 치우쳐 균형 있고 종합적인 평가에는 소홀한 측면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실증주의적 방법론의 한계를 보완하는 질적 또는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균형 있는 정책평가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고용서비스·일자리의 개선을 위해 기관 간 연계·협력 강화, 고용서비스 사각지대 해소, 질적 개선, 맞춤형 고용서비스 확대, 프로그램 내실화, 정책·제도적 환경개선, 개인 심리정서적 지원강화가 향후 우리나라 장애인고용정책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취업여부, 아동의 인터넷 몰입정도, 탄력성, 부모-자녀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Child's Internet Immersion, Resilienc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 오유정;문혁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59-569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child's internet immersion, resilienc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306 5th and 6th grad student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test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life adjustment was higher in non-employed mother than amongst employed mother.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showed that a lower internet immersion, the higher resilience, the parent-child's intimacy-support and allowance-provision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a school life adjustment. Third, the strongest predictors of child's school life adjustment were the intimacy-support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spontaneity of resil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