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effect

검색결과 1,219건 처리시간 0.024초

정부연구개발투자의 제조업 고용창출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The Job Creation Effect of Government R&D Expenditures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 하태정;문선웅
    • 기술혁신연구
    • /
    • 제21권1호
    • /
    • pp.1-26
    • /
    • 2013
  • 본 연구는 정부연구개발투자가 민간부문의 고용에 미치는 장기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 23개 제조업 부문을 대상으로 패널분석을 수행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 IT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국내 제조업 고용구조에 큰 영향을 준 IMF 구제금융에 따른 산업구조 조정기를 중심으로 전체 표본기간을 IMF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정부연구개발투자가 기업의 고용수요에 미친 영향을 실증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정부연구 개발투자는 단기적으로는 고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신제품 혹은 신산업 창출로 인한 고용의 보상효과가 이를 상쇄하면서 고용창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둘째, 민간연구개발투자의 고용창출 효과가 정부연구개발투자의 효과보다 3배 이상 크다. 셋째, 기업의 노동수요에 비용요인인 임금 및 이자율은 높은 유의수준으로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정부연구개발투자가 새로운 고용창출을 위한 정책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 PDF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장벽이 취업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Employment Decisions among Students from Beauty-specialized High Schools)

  • 김아영;전현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34-642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employment decis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ing in beauty-related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9 students attending beauty-specialized high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buk-do, and a self-written questionnaire was employed for conducting the research.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4 to April 18, 2022. A total of 3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50 responses were collected. Of these, 339 questionnaires were considered for the final analysis, as the remaining 11 had incomplete or in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er barriers affecting high school students in beauty-specialized school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factors: lack of interest, economic difficulties, financial support, interpersonal challenges, job information, anxiety about future, conflict with others, and lack of self-clarity. Second, when assessing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n employment decision-making, it was observed that the level of employment decision-making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 effect, and the lack of interest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level of employment decision-making. Next, the significance of the regression model, considering the specific factors of career barriers in relation to employment confidence, was established as p<.001. Variables such as a lack of interest, limited access to job information, and lack of self-clarity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level of employment confidence,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국내 7대 특·광역시 노동시장의 고용성장 요인분해 - 네 변인 다요인분해분석의 적용 - (Decomposition of Employment Growth in Korean Metropolitan Labor Markets: An Application of a Four-way Multifactor Partitioning)

  • 박지한;김동현
    • 지역연구
    • /
    • 제39권4호
    • /
    • pp.53-71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7대 특·광역시를 대상으로 지난 20년(1996~2016년)간의 고용성장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사업체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다요인분해(multifactor partitioning, MFP)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간에 걸친 대도시권의 고용성장에서는 전반적으로 지역효과가 지배적인 영향력을 보이고 있으며, 산업구조효과가 이를 뒤따르고 있다. 동태적 다요인분해분석 결과는 향후 지역 간 고용 격차가 산업구조에 의해 설명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성별과 양질의 일자리구성효과는 지역별 고용성장에 큰 기여를 보이지 않는다. 단, 실질적인 개별 인자들의 기여를 보면 남성-상용근로자의 고용감소와 여성-비상용근로자의 고용성장 패턴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각 지역 산업의 구조적 전환과 고용안정성이 동반된 질적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고용정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의미한다.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고용효과 추이 변화와 고용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nd of Employment Effect and Employment Policy in the Digital Bio-healthcare Industry)

  • 장필호;김용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75-18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연관산업에 대한 고용유발효과를 시기별로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산업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한 기본데이터는 한국은행이 실측했던 3개년의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산업분류 기준이 다른 시기별 통계자료들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7대 산업으로 재작성하였다. 둘째, 한국은행의 산업연관분석 방법론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격차 조정을 위해 가중치를 반영하여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고용, 생산, 투자 부문에서 유발 효과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고용 부문에서는 전체 산업의 평균보다 높은 효과가 있고, 둘째, 생산 부문에서는 낮았고, 셋째, 투자 부문에서는 서비스 분야의 투자가 필요하였다. 분석에서 도출된 결론은, 고용 부문에서 직접투자 및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고, 전문 인력의 육성이 시급하며, 생산 부문에서는 직접투자와 장기투자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고용부담금 부과 여부가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Quota-Levy System on Disability Employment Outcome in Korea)

  • 류정진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177-19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고용부담금 부과 여부가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부과하는 기업과 부과하지 않는 기업의 장애인 고용률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011년도 장애인 고용실시상황 자료와 통계청 및 보건복지부의 거시 자료를 통합하였으며 자료가 내재적 구조임을 감안해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고용부담금 부과 여부는 장애인 고용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장애인구 수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부과할 경우 부과하지 않을 때보다 장애인 고용률이 0.7%p 이상 높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지역의 경기와 장애인 고용성과 사이에 인과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고용성과는 기업이 속한 지역의 경기보다는 기업이 의무를 이행하도록 하는 강제력에 달려 있음을 시사한다.

Controling the Healthy Worker Effect in Occupational Epidemiology

  • 김진흠;남정모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7-201
    • /
    • 2002
  • The healthy worker effect is an important issue in occupational epidemiology. We proposed a new statistical metho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and time to death in the presence of the healthy worker effect.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healthy worker hire effect to operate as a confounder and the healthy worker survival effect to operate as a confounder and an intermediate variable. The basic idea of the proposed method reflects the length bias-sampling caused by changing one's employment status. Simulation studies were also carried out to compare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 According to our simulation studies, both the proposed test and the test based on the Cox model having the change of the employment status as a time-dependent covariate seem to be satisfactory at an upper 5% significance level. The Cox models, however, are inadequate with the change, if any, of the employment status as time-independent covariate. The proposed test is superior in power to the test based on the Cox model including the time-dependent employment status.

  • PDF

장애인 실업의 원인 : 생산성 또는 차별? (Causes of high unemployment amo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productivity, or discrimination?)

  • 유동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8권
    • /
    • pp.333-35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causes of high unemployment amo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productivity and discrimination. In order to pursue such goal this study adopts human capital theory, screening theory, job contest theory, taste theory and statistical discrimination theory as theoretical background. The major findings are: (1) Among the human capital variables Education degree and job training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employment. Only degree of activity limit has significant effect. (2) Among the discrimination related variables only discrimination experiences variable has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3) Between degree of activity limit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both have similar effect on employment. But the degree of activity limit can be thought as discrimination related element. Because' not giving resonable accommodation' is regarded discrimination in ADA or DDA. These mean that it is important for society to compel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o put focus on eliminating prejudice rather than accomplishing education and job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y for disabled persons' employment promotion of the disabled persons' employment promotion act and to establish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lso, integrated education starting from infancy is necessary. Education system should be changed, and Job training must focused on industry which demand more labor force.

  • PDF

취업역량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국적의 조절효과로- (Effects of Employment Competence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 최주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23-232
    • /
    • 2018
  • 최근 각 대학교에서는 극심한 취업난 해소를 위해 학문 간 융합 교육을 통한 취업과 창업지원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취업역량이 기업가정신과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국적 조절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취업역량이 취업뿐만 아니라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역량만으로는 창업 의지에 직접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기업가정신을 매개로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적에 따라 기업가정신과 창업 의지가 부분적으로 달라지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과 창업에 효과적인 융합기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보다 많은 국가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inimum Wage on Employment in Korea)

  • 이정민;황승진
    • 노동경제논집
    • /
    • 제39권2호
    • /
    • pp.1-34
    • /
    • 2016
  • 본 논문은 2006~2014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본 논문은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력이 인구사회학적 집단별로 다르다는 점을 이용하여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에 미치는 인과적 효과를 추정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최저임금이 1% 상승하면 고용은 주당 44시간 일자리 수 기준으로 약 0.1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임금 인상의 부정적 고용효과는 여성, 고졸 이하, 청년층과 고령층, 근속기간이 짧은 근로자, 5~29인 사업체에서 크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

자영업 지속기간의 결정요인 (An Empirical Study on the Duration of Self-employment)

  • 안주엽;성지미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2호
    • /
    • pp.1-30
    • /
    • 2003
  • 한국의 노동시장에서 자영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자영업에 대한 연구는 몇몇 연구자들에 의하여 진행되었고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을 가진 개인의 자영업 창업 과정, 자영업의 성장 과정, 자영업의 소멸 과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자영업의 소멸 과정에 초점을 두고 경과기간 모형을 "한국노동패널" 1차(1998)~4차(2001) 자료에 적용하여 자영업 지속기간이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자영업 지속기간은 농림어업 및 제조업에서 길게 나타나고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는 상대적으로 진입과 퇴장이 빈번한 것으로 나타난다. 훈련경험이 있는 경우는 자영업의 지속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며, 훈련의 주관자를 기준으로 볼 때, 특히 공공직업훈련이 미치는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난다. 이는 자영업 창업지원에서 정보 및 자금 측면뿐 아니라 자영업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컨설팅이 주효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