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irical formula

검색결과 604건 처리시간 0.029초

정적압입 관통 실험을 이용한 복합재 적층판의 고속충격 탄도한계속도 예측 (Prediction of Ballistic Limit for Composite Laminates Subjected to High-velocity Impact Using Static Perforation Test)

  • 유원영;김인걸;이석제;김종헌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21-2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유효 면적의 제한이 있는 복합재 적층판의 탄도한계속도를 예측하였다. 탄도한계속도를 예측하기 위해 정적압입 관통실험과 고속충격 실험 그리고 준실험식을 이용하였다. 정적압입 관통실험을 통해 하중-변위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이용해서 관통에너지를 측정하였다. 고속충격 실험을 통해 실제 관통 속도 및 관통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정적압입 관통실험과 고속충격 실험을 통해 구한 에너지를 이용해 준실험식을 만들고, 준실험식과 고속충돌 실험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위 방법을 이용해 탄도한계속도를 예측하였고 정적압입 관통 실험과 준실험식에 의한 탄도한계속도 예측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제주 대표유역에 대한 함양지체시간의 경험식 (Empirical Formula of Delay Time for Groundwater Recharge in the Representative Watersheds, Jeju Island)

  • 김남원;나한나;정일문;김윤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9호
    • /
    • pp.743-752
    • /
    • 2014
  • 함양 지체시간은 강우로부터 지표면을 지나 지하수면으로 도달하는 침투수의 통로 역할을 하는 비포화대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시간지연을 의미한다. 함양 지체시간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고도와의 단순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지체시간에 대한 경험식을 유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주도 내에 4개의 유역(한천, 강정천, 외도천, 천미천)을 선정하여 총 18개의 관측지점에 대한 지체시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제안된 회귀식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형 저수지 이론으로부터 유도된 방정식을 적용하여 구한 지체시간과 본 연구에서 유도된 경험식으로부터 산정된 지체시간을 이용하여 각각 산정한 지하수 함양량을 비교한 결과 상관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유도한 경험식을 이용하여 SWAT모형의 지체시간 매개변수에 적용할 경우 지하수 함양의 공간적 지연효과를 잘 반영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축선 끝단에서의 마이크로파 반사를 이용한 토양 수분 함유량 산출 기술 (Retrieval of Soil Moisture Using Microwave Reflection at the End of a Coaxial Probe)

  • 김태진;오이석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1-163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동축선 끝단에서의 마이크로파 반사를 측정하여 수분 함유량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전파 반사는 공기층과 토양층 사이의 유전율 변화에 의해 발생하므로 반사 계수에서 유전율을 얻는 기술을 연구하였다. 우선, 유전체에 접촉한 동축선 끝단의 등가회로를 선 정하여 미지의 회로 정수를 설정하였다. 다음에, 수분함유량을 알고 있는 토양을 측정하여 미지 회로 정수를 발견하고 반사 계수와 유전율의 관계식을 실험적으로 찾았다. 토양의 유전율은 주파 수, 토양 형태에도 영향을 받지만 주로 수분 함유량에 의해 결정되므로 기존의 실험식을 이용하 여 유전율로부터 수분 함유량을 계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Network Analyzer을 이용하여 4.65 GHz에서 각종 토양의 반사 계수의 크기와 위상을 측정하기를 반복하여 복소수 형태의 유전 율과의 관계식을 산출하였다. 이 실험식은 다른 토양에 이용되어 그 정확도가 검증되었다.

쇄빙연구선 ARAON호의 남극해 쇄빙운항 중 계측된 스트레인게이지 데이터 분석 (Analysis of Strain Gauge Data Onboard the IBRV ARAON during Icebreaking Voyage in the Antarctic Sea Ice)

  • 천은지;최경식;김호연;이탁기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1권6호
    • /
    • pp.489-494
    • /
    • 2014
  • Estimation of correct ice load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is important during the design and the operation stages of an icebreak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are expected from the official field ice trials and also from general ice transit action. In this paper ice load for the Korean icebreaking research vessel, ARAON,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discussed. Published ice load data from full-scale sea trials of six icebreakers were analysed to derive an empirical ice load prediction formula. The IBRV ARAON had sea ice trials during 2010 and 2012 summer season. Strain gauge signal were recorded during her icebreaking voyage and the measured strain data were converted to the equivalent hull stress values. The effect of ARAON's speed in ice and the hull stresses a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empirical formula and ice load calculation based von measured data,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empirical ice load estimation formula for the initial design stage.

Fundamental periods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frames resting on sloping ground

  • De, Mithu;Sengupta, Piyali;Chakraborty, Subrata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4권4호
    • /
    • pp.305-312
    • /
    • 2018
  • Significant research efforts were undertaken to evaluate seismic performance of vertically irregular buildings on flat ground. However, there is scarcity of study on seismic performance of buildings on hill slope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seismic behaviour of reinforced concrete irregular stepback building frames with different configurations on sloping ground. Based on extensive regression study of free vibration results of four hundred seventeen frames with varying ground slope, number of story and span number, a modification is proposed to the code based empirical fundamental time period estimation formula. The modification to the fundamental time period estimation formula is a simplified function of ground slope and a newly introduced equivalent height parameter to reflect the effect of stiffness and mass irregularity. The derived empirical formula is successfully validated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slope and framing configurations of building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ed and the actual time period obtained from the free vibration analysis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The various statistical parameters e.g., the root mean square error,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standard average error generally used for validation of such regression equations also ensure the prediction capability of the proposed empirical relation with reasonable accuracy.

판 및 보강판의 압축최종강도 실험식 (An Empirical Formulation for Predicting the Ultimate Compressive Strength of Plates and Stiffened Plates)

  • 백점기;이제명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8-21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1축압축을 받는 판 및 보강판의 최종강도추정을 위한 경험식의 도출에 있다. 이를 위해 다른 연구자에 의해 수행된 많은 실험결과를 정리 하였고, 식의 도출에 있어서 넓은 범위의 판의 치수에 대한 이들 실험결과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필요한 치수범위에 있어서 편면보강재를 가진 보강판에 대한 압축 최종강도 실험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실험과 기존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최소자승법에 의해 보다 더 유용한 경험식을 도출하였다.

  • PDF

실습선 새바다호의 천수역 선회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urning-motion of T/S SAEBADA in shallow water)

  • 김수형;이춘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3호
    • /
    • pp.273-283
    • /
    • 2019
  • The authors has predicted the maneuvering characteristics of a fishing vessel in deep water using Kijima's empirical formula in a previous study. Since the Kijima's empirical formula was developed by a regression analysis of merchant vessels which have dimensions ($C_b$, L/B, etc.)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fishing vessels, it was possible to make a prediction approximately even with inaccurate estim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s estimated the turning-motion characteristics of a model ship of fisheries training ship in shallow water based on the results of its previous study. The turning-motion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ship in shallow water was found out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to ship draft ratio (H/d). In conclusion, the turning-motion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ship had significant changes immediately after an H/d 1.5, and this result will be helpful for sailing in shallow water.

유역 집중시간 및 저류상수의 이론적 배경과 경험식 (Theoretical Backgrounds of Basin Concentration Time and Storage Coefficient and Their Empirical Formula)

  • 이지호;유철상;신지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2호
    • /
    • pp.155-16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역 집중시간과 저류상수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적절한 경험식의 형태를 제시하고 기존의 경험식의 형태와 비교 평가하였다. 추가로, 제시된 경험식의 형태를 이용하여 충주댐 유역의 집중시간 및 저류상수의 경험식을 유도하고, 유도된 경험식과 기존의 경험식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역의 집중시간에 대한 경험공식의 형태는 유로연장의 제곱에 비례하고 유로경사에 반비례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2) 저류상수는 집중시간에 비례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3) 기존 매개변수에 관한 경험식을 검토한 결과, 집중시간의 경우에는 Kirpich 공식, Kraven (I) 공식, Kraven (II) 공식, California DoT 공식, Kerby 공식, SCS 공식 및 Morgali and Linsley 공식 등이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잘 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저류상수의 경우, Clark 공식, Russell 공식, Sabol 공식 및 정성원 공식 등이 본 저류상수와 집중시간의 비례관계를 매우 잘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4) 기존의 경험식을 충주댐 유역에 적용한 결과, 집중시간의 경험식 중 정성원 공식, 윤태훈 등 공식, Kraven (I) 공식 및 Kraven (II) 공식은 추정한 집중시간과 비교적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Rziha 공식은 비정상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류상수의 경우에는 윤석영과 홍일표 공식, 정성원 공식, 이정식 등 공식 및 윤태훈 등 공식이 어느 정도 합리적인 결과를 보인 반면, Sabol 공식의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결과가 유도되었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집중시간 및 저류상수에 대한 경험공식이 국내 유역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신 마모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실험적 방법 유도 (Derivation of Empirical Method to Enhance the Accuracy of Cannon Tube Erosion Rate)

  • 정동윤;오명호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3-32
    • /
    • 2002
  • We predict the erosion rate of unknown cannon tubes by substituting measured values of the standard cannon, 155㎜ Howitzer M185 and ballistic data for the erosion equation. We know ten measured erosion values of the standard cannon at every 400 rounds. An approximate formula is derived to interpolate six values up to 2,000 rounds. Numerical example is presented and its results are analyzed. The new erosion equation is also suggested. This equation produces more accurate cannon tube erosion rate than the Rauf Imam's empirical approaches. Computer simulations are presented.

Magic Formula를 이용한 아스팔트 노면에서의 농업용 트랙터의 견인력 추정 (Drawbar Pull Estimation in Agricultural Tractor Tires on Asphalt Road Surface using Magic Formula)

  • 김경대;김지태;안다빈;박정호;조승제;박영준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92-99
    • /
    • 2021
  • Agricultural tractors drive and operate both off-road and on-road. Tire-road interaction significantly affects the tractive performance of a tractor, which is difficult to predict numerically. Many empiric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to predict the tractive performance of tractors using the cone index, which can be measured through simple tests. However, a magic formula model that can determine the tractive performance without a cone index can be used instead of traditional empirical models as the cone index cannot be measured on asphalt roa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tractive performance of a tractor using the magic formula tire model. The traction force of the tires on an asphalt road was measured using an agricultural tractor. The dynamic wheel load was calculated to derive the coefficients of the traction-slip curve using the measured static wheel load and drawbar pull of the tractor. Curve fitting was performed to fit the experimental data using the magic formula. The parameters of the magic formula tire model were well identified, and the model successfully determined the coefficient of traction of the tr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