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touch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9초

비접촉식 터치센서와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사용자의 감정적 터치 인식 인터페이스 시스템 (User's Emotional Touch Recognition Interface Using non-contact Touch Sensor and Accelerometer)

  • 구성용;임종관;권동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348-353
    • /
    • 2008
  • 인간의 자연스러운 터치 행동에서 사실적 정보를 인식하고 감정적 정보를 이해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안하고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터치인식 성능을 검증하였다. 우선적으로 물리적인 터치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하여 현 시스템에서 분류 가능한 터치를 분석하였고 실시간 터치 인식이 가능하도록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또한 앞으로 사람의 자연스러운 터치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뿐 아니라 감정 상대도 이해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 PDF

영화 관객의 주목도가 프레즌스, 감동, 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vie audience's degree of attention on experience of presence, emotional touch, memory)

  • 박덕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413-419
    • /
    • 2017
  • 본 연구는 영화 미디어의 프레즌스 관련 실증 연구로써, 빠른 속도로 보급된 스마트폰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한 영화 관객들의 주목도 저하가 프레즌스 경험, 감동의 정도, 기억의 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살펴본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생 피험자 83명을 대상으로 주목도를 조작하지 않은 집단과 스마트폰의 의도적인 사용으로 주목도를 조작한 집단 등 2 집단에게 동일한 영화를 감상하게 한 후,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에 의한 측정 방법으로 프레즌스 경험의 횟수, 감동의 정도, 기억의 정도 등을 측정,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목도를 조작하지 않은 피험자들이 주목도를 낮게 조작한 피험자들 보다 더 많은 프레즌스 경험과 더 큰 감동의 정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들 두 집단 간의 재인기억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동안의 프레즌스 관련연구는 HDTV, 3D 영상, 스테레오 음향 등이 프레즌스 경험과, 관객의 각성과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를 주로 다루었으며, 영화 관객의 주목도와 프레즌스, 감동, 기억 간의 관계를 탐구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영화 관객의 주목도가 프레즌스 경험과 감동 정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Passive and Active Touch of Fabrics: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Modulation by the Emotional Preference of Touched Textures

  • Estate Sokhadze;Imgap Yi;Lee, Kyunghwa;Shon, Jin-Hun
    • 감성과학
    • /
    • 제1권2호
    • /
    • pp.13-22
    • /
    • 1998
  • The sense of touch has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During hand evaluation of the fabrics. psycho physiological processes such as emotion and stimulation. On other site, the mode of touch (passive vs. active) is also capable to modulate somatosensory responses. I.e., suppress somatocensory perception during active electrocortical responses to passive and active touch of the textiles with different subjective emotional preference.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36 female college students. Physiological signals were acquired by Grass and BIOPAC 100 systems with AcqKnowledge variables, namely heart rate (HR),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RSA), pulse transit time (PTT), respiration rate (RSP) and skin conductance parameters (SCL, amplitude, risetime and number of SCRs) were analyzed for baseline and stimulation conditions. Analysis was manifested in a form of moderate HR acceleration. RSP increase, RSA decrease (lowered vagal tone), decreased PTT and increased electrodermal activity (increased SCL, several SCRs) that reflects general sympathetic activation. Parietal EEG effects (on contra-lateral side to stimulated hand)were featured by short-term alpha-blocking, slightly reduced theta, significantly increased delta and enhanced fast beta activity with few variations across stimuli. The main finding of the study was that most and least preferred texture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tonomic (HR, RSP, PTT, SCR, and at less extent in RSA and SCL) and electrocortical responses (delta, slow and fast alpha, fast beta relative power). These differences were recorded both in passive and active stimulation modes, thus demonstrating reproducibility of distinction between most and least emotionally preferred tactile stimuli, suggesting influence of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emotional property of stimulus, on physiological outcome.

  • PDF

TouchWiz Evolution

  • 양희철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6-46
    • /
    • 2009
  • 2007년 본격적으로 시장에 출시된 터치폰은 시장의 관심을 받으며, 휴대전화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전세계 휴대전화 시장에서 터치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시장에 후발주자로서 터치폰 시장에 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009년 3분기 기준 전세계 터치폰 시장의 23.9% 점유율을 차지하며 1위를 차지하고 있다.터치폰에서의 선전으로 삼성전자는 전세계 휴대전화 판매량의 20.3%를 달성하며 2위 자리를 확고히 하고 있다. 이러한 상승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터치폰에서의 성공에는 TouchWiz UX가 중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세션에서는 TouchWiz UX를 통한 삼성 터치폰의 성공 전략에 대해 소개하고자한다. 우선 TouchWiz UX가 탄생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서 당사의 디자인 철학이자 UX 다지인 철학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Creating Emotional Journey"라는 슬로건 아래 "Desire", "Intrigue", "Delight"라는 핵심철학을 공유하고 있다. 다음으로 TouchWiz UX를 성공 시킬 수 있었던 UX 추진 전략을 "Good UX 전략", "브랜드화 전략", "진화 전략", "확산 전략" 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첫째, Good UX 전략에서는 "Simple", "Robust", "Reliable"의 3대 원칙하에 사용성이 높고 감성을 자극하는 UX를 만들기위해 노력하였다. 둘째, 브랜드화 전략에서는 UX를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TouchWiz라는 UX 브랜드를 탄생시켰다. 셋째, 진화 전략에서는 TouchWiz 1.0에서 2.0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부분은 유지하면서 발전시켜 나가는 전략을 선택하였다. 넷째, 확산 전략에서는 TouchWiz UX가 각기 다른 OS, Platform, 사업자에 따라 공통화, 차별화를 병행하여 확산하였다. 마지막으로, 내년에 소개될 TouchWiz 3.0에 대해 전략과 키워드를 간단히 소개한다.

  • PDF

Body Food: Touch Mat for Emotional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 Jo, HanGyeol;Kang, EunJeong;Yoon, Youngjun;Choi, Yongs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162-173
    • /
    • 2019
  • This study proposed 'Body Food,' an interactive tactile mat that provides interactive visual responses and induces physical activity in young children at the time of developing tactile and five senses, along with the touch of various stimuli. The product combines fiber materials and digital content to achieve a variety of visual and auditory responses in real time when children touch the fabric. User tests were conducted for 4-year-olds and the result was positive in terms of physical exercise and artistic experience, but quantitative testing is required to generalize it. In the future, we will complement physical and digital contents to realize more complete product.

시작 차량 감성 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hancement of emotional quality of prototype-car)

  • 최재원;양화준;이석희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8-361
    • /
    • 2000
  • To reduce the leadtime for a new model according to the strict market requirements, automobile manufacturer begins to utilize 3-dimensional CAD based techniques such as DMU(Digital Mock-Up). RP(Rapid Prototyping), VE(Virtual Engineering). But, not so many satisfactory utilities have been introduced to deal with the emotional properties such as embossment on the surface of interior parts and touch from material characteristics in virtual environment. It is required to manufacture prototype parts to verify actual feeling of the passengers in real automobile. This paper suggests a methodology to enhance emotional property via embedding embossment on the surface of prototype car interior trim without deterioration of dimensional accuracy using RIM(Reaction Injection Molding) and vacuum forming method.

  • PDF

A Review of Haptic Perception: Focused on Sensation and Application

  • Song, Joobong;Lim, Ji Hyoun;Yun, Myung Hwa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15-723
    • /
    • 201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aptic perception related researches into three perspectives: cutaneous & proprioceptive sensations, active & passive touch, and cognition & emotion, then to identify issues for implementing haptic interactions. Background: Although haptic technologies had improved and become practical, more research on the method of application is still needed to actualize the multimodal interaction technology. Systematical approached to explore haptic perception is required to understand emotional experience and social message, as well as tactile feedback. Method: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rend in haptic related research. Changes in issues and topics were investigated using sensational dimensions and the different contents delivered via tactile perception. Result: The found research opportunities were haptic perception in various body segments and emotion related proprioceptive sensation. Conclusion: Once the mechanism of how users perceives haptic stimuli would help to develop effective haptic interactrion and this study provide insights of what to focus for the future of haptic interaction. Applicat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presence, and emotional response applied by haptic perception to fields such as human-robot, human-device, and telecommunication interaction.

자동차 핸들커버와 음료수병의 선호촉감 요소에 관한 연구 (Preferred haptic factors for the steering wheel cover and beverage bottle)

  • 김현정;정성환;양종열
    • 감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173-180
    • /
    • 2008
  • 현재 디자인 분야에서는 감성에 관한 강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오감각과 인간의 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감성적 요소를 디자인에 반영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감성적 의미를 표현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에는 아직 미흡한 점이 많으며, 특히 오감각 중 시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반영과 한정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디자인과 감성적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타 감각적 요소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디자인에 접목시킬 수 있는 실증적 대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감성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감각요소 중 촉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현대인의 소비 행태에 있어서, 감성적 디자인 요소로서 촉각적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된 핸들 커버와 음료병 제품의 재질, Grip감, 형태 등이 선호요인으로 작용하는 정도를 알아보았다. 동시에 두 제품군의 각각 선호도와 제품의 촉각적 특성 관계를 비교한 결과 기능적 특성과 원인에 따라 디자인의 촉각적 선호요인의 차이를 보였고, 이는 디자인 시제품 카테고리별 선호 촉감 요소의 차별적 반영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필기 감성에 관련한 마찰메커니즘 분석 (Analysis of Friction Mechanisms Associated with Write Feeling)

  • 박진확;김민섭;이영제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2권6호
    • /
    • pp.207-211
    • /
    • 2016
  • To interpret the perception that originates from tactile sensibility during people touch and recognize the object surfaces,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friction model that can describe the interaction of a stylus pen sliding over the counter surfaces. In addition, the study includes several other experimental factors such as the pressure, temperature, and topology of surface, which can have an effect on the emotional user experience concerning various surfaces;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 metho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these experimental parameters and emotional user experience.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research comprises the friction characteristic technology for measurement of fine tribological behavior and a standard to quantify the emotional feedback. Existing panels or input devices that provide interaction feedback about user actions simply operate with a single frequency vibration or sound response. On the contrary, this research investigates various interaction characteristics including friction force, frequency, and surface topology synthetically. Using the developed model, which can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the friction parameters and emotional user experience, developers can design their product in order to provide the user with expected emotional sensibility. Consequently, it can contribute to reduce the development cost about sensitivity model.

항공교통관제사의 감정통제가 직무몰입과 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Air Traffic Controllers' Emotional Regulation to Their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Loyalty)

  • 김상수;김기웅;최진영;이명우;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3-61
    • /
    • 2016
  • Air Traffic Controllers (ATC) are also essential to the efficiency of airports and the airline industry. With the increasing volume of traffic, managing flights is a complex and sometimes very stressful job. ATC is using radar and other technology to track planes 'en route' between airports and keep in touch with pilots. Alternatively, ATCs are liaising with the planes on approach. However, ATC's working condition is getting more stressful, as the volume of air traffic increases. Thus this paper tried to research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tment of ATCs under the stressful work condition, taking care of safety of a couple of hundreds passengers per plane. Using CERQ survey sheet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Questionnaire), it was found out that positive thinking and acceptance of self-blam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work absorp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