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tendency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Elderly on Mental Health

  • KIM, Sook-Ja;KO, Jea-Ug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7권2호
    • /
    • pp.25-35
    • /
    • 2021
  • The purpose of study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elderly's family harmony reflects on suicidal tendency among the mental health. The study was a survey of 323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located in S city. The variables of this study consisted of the independent variable emotional intelligence, the dependent variable suicide tendency and the mediating effect family harmony.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harmony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uicidal thoughts,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family harmony (t=9.389, p<0.001),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related to suicidal thought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t=-7.358, p<0.001). The mediating effect, family harmony, had negative (-) influence on suicidal thoughts (t=-3.956, p<0.001), and emotional intelligence also showed that suicidal thoughts had negative (-) influence (t=-4.828, p<0.001). In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family harmon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uicidal thoughts.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can accept one's own emotions and feel the emotions of others in the position of others,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family harmony.

일반인들의 양극성 장애 경향성에 따른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의 차이 (Variability in the Visuo-spatial Attention Ability and Emotional Perception Ability Related with Bipolar Disorder Tendency in the Normal Population)

  • 김상엽;정재범;남기춘
    • 감성과학
    • /
    • 제21권2호
    • /
    • pp.145-15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 질환을 진단받지 않은 일반인들이 양극성 장애 경향성에 따라 변화하는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을 탐구하는 것이다. 양극성 장애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자기보고형 양극성 장애 검사(K-MDQ)를 사용하였고, 시공간 주의집중력와 정서 지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공간 주의 과제(useful field of view task)와 정서 지각 과제(emotional perception task)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는 정신 질환 혹은 기타 의학적 문제가 없는 참가자들만 참여하였고 K-MDQ 점수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시공간 주의 과제 수행 결과,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수행 수준이 낮았다. 이는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시공간 주의집중력의 저하가 나타난 것을 의미했다. 또한 정서 지각 과제 수행 결과,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즉,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정서 지각 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했다. 이러한 결과는 양극성 장애 환자가 아닌 일반인이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아지면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나타난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의 저하가 점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함의한다.

Factors Affecting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in Early Adolescence: A Multilevel Model Study

  • Park, Hee Young;Choi, Yeon Hee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2-49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to early adolescence in Korea by applying multilevel modeling. Methods: From the database of the 2014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the researchers selected 1,977 adolescents who are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Multilevel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impact of relevant factors at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levels. Result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included BMI and study tendency in boys, and drinking, study tendency and economic levels in girls. At the environmental level, the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included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Conclusion: The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of early adolescence are influenced not only by the individual factors but also by the environment factor. Therefore,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adolesc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prevent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젊은 성인(20-30대)의 ADHD 경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The Influence of Yong Adult ADHD Tendency on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 한여울;정은정;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98-408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 30대 성인 남녀 34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이후 AMOS와 Mplus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과 매개 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ADHD 경향은 정서조절곤란과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이중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정서조절곤란이라는 것을 확인했으며, 정서조절곤란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회적 지지를 증진 시켜 회피적인 대체활동인 스마트폰 중독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내현적 자기애 특성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 윤혜지;현명호
    • 스트레스연구
    • /
    • 제26권4호
    • /
    • pp.332-339
    • /
    • 2018
  • 본 연구는 20대 성인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만족도 사이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 남녀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관계적 특징에 따라 나누면, 윗사람을 제외하고 연인/배우자와 친구/동료 정서표현양가성이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만족도 사이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 만족감이 낮은 내현적 자기애자를 위한 개입 방향과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Identifying Predictors of Compulsive Hoarding Tendencies in Young Adult Consumers

  • Lee, Seahee;Kim, K.P. Johnson;Lee, Sooj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3호
    • /
    • pp.43-58
    • /
    • 2015
  • Compulsive hoarding becomes a problem when the spaces hoarded items are stored in become unusable due to clutter, health, or safety issues. Our research purpose was to document relationships between two non-normative consumer behaviors (compulsive hoarding, compulsive buying tendency) and two shopping-related variables: hedonic shopping motives and emotional attachment to possessions with everyday consumers. As hedonic shopping motives have been related to compulsive buying, we predicted these motives (e.g., adventure, gratification, role, value, social, and idea) are related to compulsive buying. We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lsive buying and compulsive hoarding tendency and whether emotional attachment to possessions moderated this relationship. Participants were 280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ttending a Midwestern university in the U.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 enhancing emotion motive (a combined motive of adventure and gratification) positively influenced compulsive buying whereas the value motive negatively influenced compulsive buying. All other hedonic shopping motives were non-significant. Participants who tended to buy compulsively were likely to hoard compulsively. This relationship, however, was moderated by participants' emotional attachment to possessions. Participants with high emotional attachment to possessions showed a higher level of hoarding behavior than those with low emotional attachment to possessions. However, the increase in hoarding tendency among participants with low emotional attachment to possessions was larger between those who were low in compulsive buying and those who were high in compulsive buying than the increase between these two groups among participants with high emotional attachment to possessions.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사회적 배제감의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 (The mediation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influence of social exclus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 이성수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21-30
    • /
    • 2023
  • 본 논문은 사회적 배제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조절곤란이 매개변인으로 기능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298명의 응답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보면, 전반적 사회적 배제감은 정서조절곤란을 완전히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배제감의 하위 차원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후 정서조절곤란을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보았다. 무시 경험은 정서조절경험을 부분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거절 경험은 정서조절경험을 완전히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배제감을 설정할 때 전반적인 요인으로 설정하는 것뿐 아니라 개별적인 요인으로 나누어서 접근하는 것도 의미가 있음을 말해준다.

사주명리학을 활용한 거주자 평가 방법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Evaluation Method of resident using saju-myungrihak)

  • 최성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15-125
    • /
    • 2007
  • As a part of "The method of suitable design for res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resident aptitude of client through "Saju-Myungrihak" more effectively and precisely. That is,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character and environmental interior tendency through experimentingss to make Images based on one's individual inherent aptitude and character. For all these reasons, we proudly launch to develop the interior design program based on emotional inherent-aptitude technology for our clients with applying Nakamitch Mizuo's emotional technology thesis "the Expert System." However, a critical implication made by Nakamitch Mizuo's emotional technology, elucidates the fact that there was a problem for understanding the system of client's inherent aptitude. 1. Appearance of The inherent-aptitude in Saju-Myungrihak 2. MBTI (Myers Briggs Type Indicator) Form K 3. To strengthen and develop the tools of visual images through understanding clients' character and tendency by the result of his or her DNA (ACE, DRD4, DRD2, G-protein) test.

중학생의 정서·행동문제가 등교거부성에 미치는 영향 : 부모관계, 교우관계, 교사관계를 매개변인으로 (The Influenc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on the School Refusal Tendency: Focusing on the Meditator Variables -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 Groups and Teachers)

  • 이경호;송미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4
    • /
    • 2017
  • 본 연구는 G시의 남, 여 중학교에 재학중인 1, 2, 3학년 546명을 대상으로 정서 행동문제, 부모관계, 교우관계, 교사관계가 등교거부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LISREL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 행동문제 중 외현화문제와 교사관계변인 중 사회적지지 요인, 교우관계변인 중 신뢰감요인과 부모관계변인 중 부정적지지요인, 교사관계변인 중 사회적지지요인과 부모관계변인 중 부정적지지 요인을 제외한 모든 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 행동문제는 등교거부성과 부모관계에 매개효과 없이 각각 매우 높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우관계와 교사관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간접적인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우관계는 등교거부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적인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관계는 등교거부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관계는 등교거부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교우관계와 교사관계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트.꼬르뷔제.미스의 감성적 뮤지엄 공간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motional Spac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s Designed by Wright, Corbusier, and Mies)

  • 서수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89-19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analyzation toward abstracted emotional properties appeared in the museum exhibition spaces designed by the three masters of the modern architecture;Frank Lloyd Wright, Le Corbusier and Mies van der Rohe. In addition, this study will also aim to inquire into how the emotional properties have affected the third generation architects. It is especially expected that the 'emotional tendency' emerging in various fields of the present time can serve as useful inform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motional design properties appeared in the exhibition space which is directly linked with the human liv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n New York by Wright, in Tokyo by Le Corbusier and in Berlin by Mies Van der Rohe were selected. As for the analyzation methodology to be adopted for deriving the aiming points at the emotional design, five criteria of analyzation have been establish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the emotional area: they are (1) spatial affordance, (2) human congeniality, (3) emotional factors of the area, (4) constitution of the area and (5) expressive division of the area. Using these criteria, this study will reveal what are some of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shown in each museums and its analytical result will be useful to apply to future museum design. It is especially expected that the 'emotional tendency' emerging in various fields of the present time can serve as useful inform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motional design properties appeared in the exhibition space of design which is directly linked with the human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