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Expressions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8초

현대 패션에 나타난 캘리그라피의 표현유형 및 의의 (The Types of Expression and Meanings of Calligraphy Appearing in Modern Fashion)

  • 양선미;권기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1호
    • /
    • pp.21-3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and meanings of calligraphy presented in modern fashion design. Calligraphy refers to beautiful handwriting or fine penmanship in the West, and handwriting with brushstrokes in the East. The expression patterns being used at presen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Legible calligraphy is focused on readability more than embellishment. Decorative calligraphy places its importance on decoration at the expense of practicality. The third type, harmonious calligraphy, pursues decorativeness and legibility at the same time. Each of these types of calligraphy i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with its own purpose: calligraphy for conveying emotional messages, calligraphy as a special brand image, and calligraphy as an expression of formativeness. The first, calligraphy for conveying emotional messages, is used with characters that are familiar to the public. Calligraphy of this type delivers messages confined emotionally to the conscious world, harmonizing calligraphy with words, or expressing readability filled with purity and delight. Second, calligraphy as a special brand image refers to transmitting a distinctive brand image from other companies through employment of a design motive or pattern by expressing the brand logos or names of designers. Third, calligraphy as a expression of formativeness has the function of shaping expressions as motives or patterns, avoiding meanings of words or phrases. It can be represented by the abbreviation or modification of words, or arranging words in different shapes, harmonizing the words with the clothing construction and atmosphere of the other images.

개체의 감정기반 행동제어를 통한 동적 군중 시뮬레이션 (Dynamic Crowd Simulation by Emotion-based Behavioral Control of Individuals)

  • 안은영;김재원;한상훈;문찬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9
    • /
    • 2009
  • 본 논문은 게임 또는 애니메이션과 같이 가상 환경 속에서의 군중 행동을 구현함에 있어 군중 전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보다는 군중을 구성하고 있는 각 개체들의 감정요소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군중의 형태 및 행동 양식에 사실감과 다양성을 부여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한다. 인간의 행동을 모사하기 위해 군중을 구성하고 있는 개체들이 각자의 감정과 기질에 따라 이동경로를 결정하도록 행동패턴을 설계한다. 제안된 방법은 군집을 구성하는 개체들이 제각기 주어진 기질과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감정을 기반으로 이동 경로뿐 아니라 군집간의 이동을 자유롭게 결정하기 때문에 다양한 군집이동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정과 기질을 정의하고 행동제어 규칙을 정의한다. 또한 인간의 감정과 같은 모호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퍼지이론을 적용함으로써 기질과 감정에 대한 모호한 언어적 표현을 자연스럽게 정의하도록 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으로 자연스럽고 다양한 형태의 군중 시뮬레이션이 가능함을 보인다.

서비스 종사원의 제주 방언사용이 관광지 이미지 형성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제주특별자치도 중문관광단지 방문 관광객을 중심으로 (Effect of Service Employees' Jeju Dialects on the Formation and Satisfaction of Tourist Destinations: Focusing on Tourists Visiting the Jungmun Tourist Complex in Jeju.)

  • 임화순;남윤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20-52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종사원의 제주방언 사용이 관광지 이미지 및 관광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항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방언은 지역의 특색을 나타내는 문화적인 요소로 볼 수 있으며, 관광객들에게는 자신이 살던 지역에서 벗어나 다른 지역을 방문할 때 느끼는 감정을 확대시켜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연구결과 방언의 언어 커뮤니케이션 중 소통요인은 관광지의 인지적, 정서적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흥미요인은 관광지의 인지적 이미지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적 이미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방언의 과도한 사용이 관광객들의 정서에 반드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방언을 활용하여 관광상품을 개발하고자 할 경우에는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단어나 표현의 사용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디지로그의 특징 (A Study on the Features of Digilog in Contemporary Fashion)

  • 유차향;서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5호
    • /
    • pp.61-77
    • /
    • 2017
  • Fashion companies are increasingly becoming aware of the importance of Digilog as a response strategy to an emotional stimulus, in order to win the hearts of consumers, because the Digilog provides a new type of emotional value. The features of Digilog found in modern fashion ar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Image of Hybrid Nature" expresses nature in a new light or reinterprets existing expressions of nature, by using cutting-edge technology based on the psychological desire to return to, adapt with, and harmonize with nature. Second, the "Fashion Image of Nostalgia," which exhibits past forms of regressive fashion, is a fashion code that can be understood as a social trend. It has a digital exterior, with retro materials and old perfumes that reflect psychological comfort, as its expressive medium. Third, the "Lifestyle through the Technique of Interaction" is the sharing of information through consumer participation and delivery, or its interaction. Fourth, the "Fashion Design through the Technique of Customizing" allows consum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sign process. It reflects the consumer's desire to personally design fashion products. Fifth, the "Emotion Sharing through the Technique of Storytelling," which focuses on intangible values, is based on the sentimen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brand, thereby satisfying the inner values as well as the aesthetic demands of consumers. This study confirmed that digital fashion, which uses digital technology based on analog sentiments, has opened up a new environment for fashion culture and has also widened the boundaries of fashion.

꽃을 소재로 한 상품이미지분석과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 Image Analysis and Design Expression Using Flowers)

  • 김곡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231-236
    • /
    • 2018
  • 꽃은 인간의 표현 욕구를 가장 아름답게 표현하는 자연의 소재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꽃을 상품에 다양하게 응용해서 미적 가치를 높이고 생명력을 표현하는 예술적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형태를 가진 꽃과 우리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상품과의 융합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조형성을 연구하였으며 다양한 상품에 응용된 꽃문양 모티브의 사례를 살펴보고 디자인의 요소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만족을 주는 감성디자인의 중요성과 새로운 디자인 표현기법을 연구하고 디자인 요소로 평가한 연구결과를 통해 꽃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상품의 일반적인 디자인 관점에서 벗어나 자연스러움과 독창적인 디자인 감각으로 상품의 심미적 가치를 추구하고 꽃의 이미지를 이용한 표현장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상품에 꽃 모티브를 접목시켜 디자인 감성을 표현하는 감성 상품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얼굴 표정의 자동 인식을 통한 PDA 상에서의 3차원 얼굴 애니메이션 (3-D Facial Animation on the PDA via Automatic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이돈수;최수미;김해광;김용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7호
    • /
    • pp.795-80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일곱 가지의 기본적인 감정 정보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얼굴을 PDA 상에서 렌더링할 수 있는 얼굴 표정의 인식 및 합성 시스템을 제시한다. 얼굴 표정 인식을 위해서 먼저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얼굴 부분을 검출한다. 그리고 나서 기하학적 또는 조명으로 인한 보정을 위해 정규화 과정을 거친다. 얼굴 표정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Gabor wavelets 방법을 enhanced Fisher 모델과 결합하여 사용할 때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본 표정 분류에서는 일곱 가지 감정 가중치가 결과로 제시되고, 그러한 가중 정보는 모바일 네트웍을 통하여PDA 상으로 전송되어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에 이용되어진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고유한 얼굴 캐릭터를 가진 3차워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하여 카툰 쉐이딩 기법을 채택하였다. 실험 결과 감정 곡선을 이용한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은 선형 보간법 보다 감정 변화의 타이밍을 표현하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욕설의 형성과정에 관한 소고 (On the Development of Swear Words)

  • 윤재학
    • 비교문화연구
    • /
    • 제35권
    • /
    • pp.237-268
    • /
    • 2014
  • Examining swear words found in Korean and English, we aim to answer the following two questions: (i) 'What words develop into swear words?' and (ii) 'Why they do?' The utility of a swear word is frequently recognized as intimidation directed towards an opponent, emotional catharsis, and solidarity building among in-group members (Jay 1992, 2000, Kim 1997). We seek to go beyond this simple enumeration of possible functions of swearing and suggest an underlying mechanism at work to explain how these functions are achieved and why only certain types of words are employed in this pursuit. A close examination reveals that a swear word must contain either taboo or sadism as an essential component. Sexual pleasure adds another dimension to the basic components. Thus, if an expression contains a subset of the component set {taboo, sadism, sex} in its semantics, it becomes available for swearing (one of the underlined components must be included in the set). For example, many religiously sacred expressions and words for excretion are common swear words as they violate social and religious taboo. On the other hand, words referring to social minorities are a convenient target for sadism. Furthermore, words describing sexual activity contain all three components, violating social taboo, evoking sadism, and giving the initiator guilty sexual pleasure. A combination of the components can produce an emotional effect called catharsis for the initiator. When directed towards others, these components, especially taboo and sadism, can be exploited as a verbal attack, an intimidation, preceding or replacing a physical attack. However, solidarity building is analyzed as a secondary function of swearing, achieved by sharing a sense of accomplice when in-group members behave badly together, such as violating social taboo and committing sadism.

사상체질의학의 경험적 인간해명과 장부이론의 재구성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Humans and Reconstructing the Theory of Pathophysiology i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al Theory)

  • 최대우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9-93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al theory(SCM) ar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medical theory by comparing their theories of humans and pathophysiology. Methods The establishments and developments of the traditional medical theory were reviewed. Then the hypothesis tha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CM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raditional medical theory was tested by comparing the traditional medical theory and SCM with respect to the theories of humans and the reconstructed theory of pathophysiology.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heory of SCM reconstructed the traditional medical theory by shifting the paradigm concerning the structure of human existence. 2. The theory for SCM reconstructed the theory of pathophysiology by expanding Confucian moral theory from an experiential perspective. 3. The theory of SCM categorizes humans into four constitution groups according to congenital individuality in emotional expressions and pathophysiological functions. The categorization is based on medical treatment through which it was found that there are congenital individuality in the expression of his moral feelings. 4. The reconstructed pathophysiological theory of the SCM provides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verifiable medical theory.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al Theory is based on the idea that humans do not follow the changes of Nature but pursue morality and wealth in the Sasang system of the Heavenly qi and human affairs. Therefore, the theory is founded on Confucian moral theory but develops its own view of the theory of pathophysiology by way of experiential interpretation.

언어와 감정-셸리의 『프랑켄슈타인』과 루소의『언어의 기원론』 (Shelley's Frankenstein and Rousseau's Essay on the Origin of Languages)

  • 김상욱
    • 영어영문학
    • /
    • 제54권4호
    • /
    • pp.483-509
    • /
    • 2008
  • For the last decades, criticism on Frankenstein has tried to make a link between Victor's Creature and Rousseaurean "man in a state of nature." Like the Rousseaurean savage in a state of animal, the monster has only basic instincts least needed for his survival, i.e. self-preservation, but turns into a civilized man after learning language. Most critics argue that, despite the monster's acquisition of language, his failure in entry into a cultural and linguistic community is the outcome of a lack of sympathy for him by others, which displays the stark existence of epistemological barriers between them. That is to say, the monster imagines his being the same as others in the pre-linguistic stage but, in the linguistic stage, he realizes that he is different from others. Interpreting the Rousseaurean idea of language, which appears in his writings, as much more focused on emotion than many critics think, I read the dispute between Victor and his Creature as a variation of parent-offspring conflict. Shelley criticizes Rousseau's parental negligence in putting his children into a foundling hospital and leaving them dying there. The monster's revenge on uncaring Victor parallels the likely retaliation Rousseau's displaced children would perform against Rousseau, which Shelley imaginatively reproduces in her novel. The conflict between the monster and Victor is due to a disrupted attachment between parent and child in terms of Darwinian developmental psychology. Affective asynchrony between parent and child, which refers to a state of lack of mutual favorable feelings, accounts for numerous dysfunctional families. This paper shifts a focus from a semiotics-oriented perspective on the monster's social isolation to a Darwinian perspective, drawing attention to emotional problems transpiring in familial interactions. In doing so, it finds that language is a means of communicating one's internal emotions to others along with other means such as facial expressions and body movements. It also demonstrates that how to promote emotional well-being in either familial or social relationships entirely depends on the way in which one employs language that can entail either pleasure or anger on hearers' part.

카카오톡 이모티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Factors of KakaoTalk Emoticon)

  • 이종윤;윤주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1호
    • /
    • pp.361-390
    • /
    • 2018
  •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자들은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감정표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카카오톡(Kakao Talk) 이모티콘을 이용하고 있다. 이모티콘에 담겨진 디자인적인 요소(보조, 색채, 형태, 모션)들과 스토리텔링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자신의 감정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카카오톡 이모티콘이 지니고 있는 스토리텔링 및 디자인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로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감정 표현 수단으로 선호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모티콘의 스토리텔링적인 측면에서는 악어, 복숭아, 개, 오리, 사자, 두더지, 토끼들로 평범한 과일과 동물들로 구성하였다. 대부분의 이모티콘들은 각자 개성있는 성격의 소유자로 스토리가 구성되었으며 하나씩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는 스토리를 지니고 있어 이용자들이 친근하게 다가가고 사용할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다양한 보조요소(불꽃, 땀, 눈물, 콧물, 성난 눈 등)를 사용하여 화남, 간절함, 초조함, 애원, 기쁨, 슬픔 등을 표현하였다. 색채요소는 희, 노, 애, 락의 감정에 관계없이 이모티콘 캐릭터가 지니고 있는 고유의 색채(초록, 빨강, 노랑, 분홍, 하양, 검정, 밤색 등)로 대부분의 난색 계열로 구성되었다. 형태 요소는 기쁨, 슬픔 등의 요소를 표현하는 경우 둥근형의 형태로 구성되었다. 반면에 FRODO, NEO가 슬픔과 분노를 표현하는 경우에는 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모션요소로는 APPEACH, NEO, TUBE, JAY-G의 슬픔, 분노, 애원의 감정 표현에는 수평/수직/사선으로 표현하고 APEACH, TUBE, MUZI & CON등의 기쁨, 슬픔의 감정 표현은 수평/수직/사선과 방사/앞뒤/회전의 역동적인 느낌을 나타내고 있다. TUBE, FRODO의 분노는 수평/수직/사선과 방사 모션을 나타낸다. 본 연구결과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감정을 차별화할 수 있는 스토리를 각 이모티콘 캐릭터에 맞게 구성하였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보조요소 불꽃, 땀, 눈물과 같은 감정의 대표적인 요소를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색채 요소는 감정의 차이와는 관계없이 난색 계열의 캐릭터 고유색을 사용하였다. 형태 요소는 각 감정 표현을 위해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커뮤니케이션 측면, 감성디자인 측면, 산업적인 측면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논문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스토리텔링의 분석틀과 보조요소에 대한 기호학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을 연구의 한계점으로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