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Evaluation Method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4초

PPG를 이용한 감성평가 및 바이오피드백 기술 (A Human Sensibility Evaluation and Biofeedback Technology using PPG)

  • 이현민;김동준;양희경;김경섭;이정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2010-2012
    • /
    • 2008
  • This study describes a system for human sensibility evaluation using PPG(photoplethysmogram) signal and biofeedback algorithm to respond the bad(negative) mood. For this objective, PPG signals for two emotional states(positive/negative) are collected. To evoke the test emotions, happy(or joyful) and sad(or irritating) movie files are collected and played in subjects' monitor. From the acquired PPG signal, the heart rate variability(HRV) is calculated. Using the HRV and its FFT spectra, the human sensibility is evaluated. Since the heart is a representative organ which is controlled by the autonomic nervous system(ANS), the ANS may reflect the changes in emotion. The biofeedback algorithm is designed with motion image player interacting with the results of the sensibility evaluation. It was shown that HRV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subject's emotions. Accordingly, the sensibility evaluation test showed feasibility of the our method.

  • PDF

소비자 감성을 고려한 소파 설계 DB 및 Interface 개발 (Development of Data Base and Interface for Sofa Design Considering Consumer Sensibility)

  • 송미진;심정훈;허춘욱;윤훈용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81-8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ata base and interface for sofa consumers and sofa designers. The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method was used to find the consumer needs an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 method was used to extract the designing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sofa production. About 200 words and 100 images were gathered from sofa and furniture related catalogs and internet sites to find the best emotional words and images that can express the various sofa aspect. Among the collected words and images, 34 emotional words were selected for sensibility experiment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experts, relations of closeness and frequency of use, and 50 image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by the diversity. Selected words and images were used for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ith 94 subjects, and sensibility characteristics of sofas were defined through variou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cluding basic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e. In reflecting design characteristics of sofas, design factors of sofas were divided into backrest, seat, armrest, neck support and leg, and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 for design was determined wit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by utilizing the experts' opinions. Based on the results abov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emotional evaluation results and design factors was performed. Also, as various sofa images are presented diagrammatically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tool for the development of sofa design. This study will contribute improving the product quality of sofas as it enables applying consumer needs into the sofa design.

간병요양중인 산재환자의 실태 - 산재환자 기능판정도구를 중심으로 - (Survey on the Occupational Disabled Status using Functional Assessment Tools)

  • 최정명;오진주;김춘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0-189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isabled due to Occupational accidents based on the functional evaluation tool.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 Workers Accident Medical Corporation, 311 subjects between February and August, 2007. The tool comprised of six components including physical function, cognitive function, communication, emotional and disturbing behavior, nursing skills and rehabilitation needs. Results: Among the disabled, the average point of physical function of 5 was found in 61.92% and to express and understand were evaluated as normal in 36.69% and 33.44%, respectively. Also, hearing and vision were evaluated as normal in 53.50% and 37.98%, respectively. 19.01% of the disabled had emotional problems and 13.78% had disturbing behavior. Most disabled were in need of nursing skills with 97.73% ROM and activities. The 78.18% and 76.90% of disabled were in need of rehabilitation because of right and left leg in full movement disorder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evaluation score for the disabled caused by Occupational accidents was diverse showing 10 to 19 points and 140 to 150 points. The result means the care cost should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care needs of the disabled because there is such a diverse range of care needs for them.

심박변이도를 이용한 우울증 환자의 정서개선에 미치는 원예치료 효과 분석 (Evalu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Emotional Improvement of Depressed Patients by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 송미진;김미영;심이성;김완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1066-1071
    • /
    • 2010
  • 자기보고식 설문평가와 컴퓨터 기반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분석평가를 통해 원예치료가 우울증 환자의 정서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자기보고식 설문 평가는 정신적 스트레스, 신체적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 4가지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HRV 분석평가는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s(SDNN), square root of mean squared difference of successive N-N intervals(RMSSD), total power(TP), low-frequency/high-frequency ratio(LF/HF ratio)의 4개 분석지표를 이용하였다. 동일한 병원 소속 우울증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가운데 실험군 15명을 대상으로 주 1회씩 12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에는 실시하지 않았다. 그 결과, 원예치료를 실시 한 실험군의 경우 자기보고식 설문평가는 물론 HRV 분석평가에서도 원예치료 후 우울 정서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특히 자기보고식 평가에서는 정신적 스트레스, 불안, 우울 척도에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며($p$<0.001), HRV 분석평가의 경우 TP 지표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p$<0.05). SDNN, RMSSD, LF/HF ratio 지표 역시 눈에 띄게 호전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비록 HRV의 모든 분석지표들이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이 연구를 통해 HRV 측정으로 원예치료 효과를 객관화된 수치로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를 도입한 본 실험 결과 원예치료가 우울증 환자의 심리적, 신체적 재활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Nurse Presence 도구개발 (Development of Nurse Presence Scale)

  • 조계화;조영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69-379
    • /
    • 200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urse Presence Scale an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Method: The subjects verifying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dult patients being treated in three artificial kidney unit in Pusan and Taegu from August 1 to October 15, 2000.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WIN 8.0 program. Result: A factor analysis and was conducted items that had a factor loading more than .40, and an eigen value more than 1.0 were seleclted. The factor analysis classified a total of seven factors statistically, but the seventh factor was excluded because community was less than 4%. Therefore, there were six factors, and its communality was 62%. The explanation of domain and factors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content are as follows: The first factor was 'interaction' in emotional areas, the second domain was 'empathy' in cognitive areas, the third was 'attention' in emotional areas, the fourth was 'openness' in emotional areas, the fifth was 'sensitivity' in behavioral areas, and the sixth was 'physical assist' in behavioral areas. Cronbach's α coefficient to test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9766 for a total 49 items. Conclusion: The Scale for Nurse Presence developed in the study was identified as a tool with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this scal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the evaluation of nurse presence in clinical settings.

  • PDF

의학교육 시기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정서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otional changes of medical students according to the phase of medical education)

  • 이원경;박경혜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7권3호
    • /
    • pp.86-93
    • /
    • 2020
  •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of emotional changes, including their method of adapting to experiences, and the effect of the experiences in shaping their identities. We interviewed 12 medical students who were finishing their 1-year clinical internship in 2016. Data on their opinions and reasons for emotional changes during their school life were obtained.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applied to analyze the interviews. Their stress came from disappointment in themselves, competitive environment, observing a change in their personalities, meeting their parents' expecta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 interviewees adjusted to the medical study by exercising self-control in their studies and daily lives, by practicing self-acceptance and observing their state of mind, and by breaking free from the competition-driven environment and obsession with grades. In addition, they cultivated endurance and found external support. Finally, they achieved self-efficacy and were comfortable in their identity as medical students. They still had to address the stress from working relationships and the difficulty in balancing studies and life. The medical students' self-evaluation and compulsive tendencies increased during the medical course due to the burden of studies. They evolved by learning self-control and introspection and seeking ways to adapt. Understanding this growth process of medical students will improve student support in medical schools.

사고가 시각을 바꾼다: 조절 초점에 따른 소비자 감성 기반 웹 스타일 평가 모형 및 추천 알고리즘 개발 (Individual Thinking Style leads its Emotional Perception: Development of Web-style Design Evaluation Model and Recommendation Algorithm Depending on Consumer Regulatory Focus)

  • 김건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171-196
    • /
    • 2018
  • 본 연구는 디자인 영역 중 웹 스타일에 대해서 소비자 감성과 만족과의 관계를 연구했다. 기존 웹 스타일 연구들은 웹의 레이아웃과 구조도 등과 색상 등이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구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차별되게 웹의 구성 요소를 배제하고 소비자의 감성 지표만을 갖고 소비자 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검증을 위해 소비자 204명을 대상으로 40개 웹 스타일 테마를 선정, 각 소비자에게 4개씩 평가하도록 하였다. 소비자에게 평가하도록 한 감성 형용사는 18개의 대비되는 쌍을 갖는 감성 형용사로 구성하였고, 요인 분석을 통해 상위 감성 지표를 추출했다. 각 감성 지표들은 '부드러움', '모던함', '명확함', '꽉 참' 이었으며, 감성지표들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판단하여 가설을 수립했다. 분석 결과에 따라 가설 1과 2, 3은 채택되었으며, 가설 4의 경우는 기각되었다. 가설 4의 경우 기각되었지만 정의 방향이 아닌 부의 방향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조절 초점 성향이 감성이라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판단했다. 조절 초점 성향은 조직 행동 및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기도 하며, 정치, 문화, 윤리적 판단 및 행동은 물론 광범위적 심리적 문제와 사고 프로세스, 감정적 반응에도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각 감성 지표에 대한 조절 초점 간 차이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고, 각 감성 지표에 대한 세부 가설을 수립했다. 세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조절 회귀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가설 5는 부분적으로 지지됐고, 가설 5.3만 지지되었고, 5.4의 경우 기각되었지만 가설과의 반대 방향으로 지지되었다. '명확함'의 경우 향상 초점이 소비자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보였고, 예방 초점일수록 '꽉 참'을 더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조절 초점 성향을 향상, 예방, 중간 성향으로 3집단으로 구분, 소비자 감성 기반으로 웹 스타일에 대한 추천을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자동차 실내환경변화에 따른 운전자의 감성변화 (Drivers' Emotional Change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 in the Automobile)

  • 이덕동;백운이;임정옥;허증수;최낙진;서지영;김민정;황태진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5-34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motional change of a driv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humidity, $CO_2$ gas concentration and $C_4H_{10}$ gas concentration in the automobile by electroencephalogram(EEG) spectrum analysi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an automobile simulated shielding room with healthy volunteers(age : 18-31, male : 14, female : 7). The subject's emotion at every different condition was indexed 11-point scale(+5 : most pleasant, -5 : least pleasant). The emotion index at each condition resulted in as follows; in temperature $1.00(23.5^{\circ}C)$, $-2.33(30.5^{\circ}C)$, in humidity 1.50(45%), -1.50(65%), in $CO_2$ gas concentration 0.67(500ppm), -0.57(6,000ppm), in $C_4H_{10}$ gas concentration -0.25(0ppm), -2.75(1,200ppm). From EEG spectrum analysis, the average mean power frequency(MPF) value at each different condition was shown as follows; in temperature $5.48(23.5^{\circ}C)$, $4.06(30.5^{\circ}C)$, in humidity 11.03(45%), 3.03(65%), in $CO_2$ gas concentration 7.16(500ppm), 6.38(6,000ppm), in $C_4H_{10}$ gas concentration 10.21(0ppm), 2.87(1,200ppm). When the environment became unpleasant to the subject, all of the obtained MPF values were decreased. It was found that there is close agreement between subjective evaluation by subject's scaling and objective evaluation by EEG spectrum analysis at different environ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EG spectrum analysis is a proper method to assess emotional response of a driver in the changing automobile environment.

  • PDF

금강 경관의 수면폭 변화에 따른 시각적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Preference of Keum River Sceneries at Different Water Level)

  • 유상완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273-282
    • /
    • 2006
  • 본 연구는 수량에 의한 수면폭의 변화로 인한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이 일정할 때 수량에 의한 수면폭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선호되어지는가?'에 대한 연구의문에서 출발하여 금강경관의 수면폭에 미치는 선호요인을 구명하였다. 1) 수면폭 변화에 따른 금강경관의 시각적 선호요인 변수는 먼저 갑천의 경우 감정적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심미성 인자, 개성적 인자 4개의 변수, 무주의 경우 감정적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2개 변수로서 모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모든 선호요인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시각적 선호의 값도 증가를 가져오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2) 다중회귀모형에서 다른 조건이 불변일 경우, 갑천, 무주 모두 감정적 인자의 값이 증가할 때 전체적인 시각적 선호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물리적 특성 인자가 두 번째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선호요인이 시각적 선호에 기여하는 상대적 중요도는 갑천의 경우 감정적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심미성 인자, 개성적 인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인자는 개성적 인자에 비해 4.3배만큼 중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무주의 경우 감정적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인자는 물리적 특성 인자 비해 1.1배만큼 중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장소 모두 감정적 인자가 가장 중요한 선호요인으로 판명되었다. 수면폭 변화에 따른 금강경관의 시각적 평가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는 하천의 수면 폭 및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 PDF

정신모형과 감성 요소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사용성 평가 모델 개발 (An Evaluation Model for Software Usability using Mental Model and Emotional factors)

  • 김한샘;김효영;한혁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1_2호
    • /
    • pp.117-128
    • /
    • 2003
  • 소프트웨어의 사용성은 소프트웨어 제품 평가시, 사용하기 쉬운 정도, 효율성의 정도, 만족도의 정도 등으로 판단되는 소프트웨어의 특성이다. 이러한 사용성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제품들은 그 자체의 사용성에 대해 평가를 받고 개선지침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제품마다 사용성 요소들의 중요도가 다르고, 같은 요소에 대해서도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환경과 지식으로 인해 엇갈린 평가를 내릴 수 있으므로 사용성 평가는 제품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개선방향을 얻기 위해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개발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만족도 평가와 수행도 평가는 문제점의 원인 발견 평가결과를 수정에 반영하기 힘들고, 모든 영역에 적용되도록 만들어진, 획일화된 평가항목과 내용으로는 평가 대상 제품의 특징을 반영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상 제품의 평가 항목별로 사용자의 정신모형과 감성을 평가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설계자들의 개념 모형과 사용자의 정신 모형의 일치여부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평가방법과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보다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시의 감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하여 평가하고 개선 지침을 추출하는 감성요소론 기반으로 하는 평가방법을 합하여 개발한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 평가 모델에 대한 사례연구로 GUI 프레임워크를 사례로 채택해서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추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 모델은 제품 사용자의 작업분석을 기반으로 추출된 작업항목에 대한 평가요소를 가지고 평가를 수행함으로서, 제품의 특성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수정되어야 할 항목을 정확히 나타내 줌으로서 효과적인 사용성 평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