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identificatio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8초

시각장애인을 위한 컬러 인식 점자 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color braille system for the blind)

  • 안준환;이순종
    • 감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571-581
    • /
    • 2007
  • 이 컬러 인식 점자 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의 대부분인 후천적 시각장애인들의 색인지를 돕기 위한 시스템으로 이는 후천적 시각장애인들의 대다수가 시력을 잃기 전 색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전 세계적 약속체계이고 색체계 중 가장 범용되는 먼셀 색체계를 기반으로 간단한 인지체계와 조형원리를 활용하여 색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단순히 색상만 인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채도, 명도까지 확인이 가능, 총합 153가지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점자 사용과의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점자의 위치와 돌출 정도만 변화를 준 단순한 디자인으로 실생활에 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이 시각장애인을 위한 컬러 인식 점자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시각장애인들이 색인지를 통해 사회와 소통, 일반인과 동등한 입장에서 문화생활을 누리게 되길 기대한다.

  • PDF

연령증가에 따른 향의 평가 (Evaluation of the Odor with Aging)

  • 강인형;민병찬;전광진;김철중
    • 감성과학
    • /
    • 제5권2호
    • /
    • pp.1-9
    • /
    • 2002
  • 향-냄새에 대한 감수성은 종족, 성에 따라 상이하며 냄새에 대한 인지력과 식별력은 가령화에 따라 쇠퇴한다고 한다. 가령화에 따른 향의 평가에 관한 선행보고들은 그 대상이 유아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제시 향에 단순 알코올이나 단순 초산염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냄새 인지력이나 식별력 둥 지성적인 측면에서의 평가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기능이 정상인 19~68세 50명을 대상으로 6종의 천연향에 대해 안정/폐안 상태에서 ECG, 피부저항, 그리고 주관평가를 실시하여 서로 다른 연령층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20대, 40대의 청\ulcorner중년층은 lemon을, 60대는 Lavender를 긍정적으로 반응\ulcorner평가하였다. 특히 40대 그룹은 평균 RR 간격, 심박수, 피부저항, 주관평가의 결과에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여 후각기능이 가장 성숙한 연령대임이 확인되었다. 제시 향에 대해 연령별로 상이하게 반응/평가한 본 연구결과는 연령별로 차별화된 향장품 개발뿐만 아니라 인공냄새 그리고 맛의 개발에도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주의 깜박임 현상의 검증: 주의 자원의 반시야 독립성과 상호작용 (A Test of Attentional Blink: Hemifield Independence and Interaction)

  • 김정열;이국희;이형철;김신우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127-136
    • /
    • 2017
  • 주의 깜박임이란 RSVP상에서 두 개 이상의 표적을 탐지할 때 먼저 제시 된 표적(T1)에 대해서는 정확성이 높지만 이후 500ms 이내의 표적(T2)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수행이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를 설명하는 이론들은 주의용량결핍 모형과 주의여과지연 모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시각적 주의 용량은 좌우 시각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반시야 독립성으로 인해 다양한 과제에서 양측영역이득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주의 용량의 반시야 독립성을 이용하여 주의 깜박임을 설명하는 두 갈래의 이론을 검증하였다. 실험 1은 T1과 T2를 포함하는 두 개의 RSVP를 양쪽 시야 영역에 나누어 제시하거나 한쪽 시야 영역에 제시하여 주의 깜박임과 양측영역이득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실험 2는 하나의 RSVP에서 T1을 제거함으로써 양쪽 시야 영역에 T1과 T2가 독립된 주의용량을 사용할 때에도 주의 깜박임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두 개의 RSVP를 양쪽 시야 영역에 나누어 제시하였을 때 더 우수한 수행을 보여주었으나 (즉, 양측영역이득) 주의 깜박임과 양측영역이득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T1이 제시되지 않은 RSVP의 T2에서도 주의 깜박임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은 주의 깜박임에 대한 주의여과지연 모형을 지지한다.

이미지의 사실성과 학습자의 전문성이 학습용 에이전트의 의인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mage Realism and Learner's Expertise on Persona Effect of Pedagogical Agent)

  • 류지헌
    • 감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47-56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용 에이전트의 사실성 수준과 학습자의 전문성 수준이 학습 성취 및 에이전트에 대한 의인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생 68명(남학생= 19명, 여학생 = 49명)이 실험에 참여했으며, 전문성 수준은 사전검사의 평균을 기준으로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사실성 수준 은 에이전트 이미지를 단순화하는 정도에 따라서 구분하였다. 이 연구의 종속변수는 학습 성취와 의인화 효과에 대한 지각점수이다. 의인화 효과는 학습 촉진, 신뢰성, 인간다움, 학습 개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학습 성취에서는 에이전트 사실성 수준에 의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의인화 효과에 대 한 설문에서는 학습 개입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범주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단순 주 효과 분석에 따르면, 이런 상호작용의 효과는 전문성 수준이 높은 학습자가 정밀한 이미지의 에이전트를 제공받았을때 의인화 효과가 올라갔다. 이 결과는 학습자의 전문성 수준에 따라서 의인화 효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전문성 수준이 높은 학습자는 에이전트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 전문성 수준이 높은 학습자에게는 사실성 수준이 높은 에이전트를 제공하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하였다.

  • PDF

커피 전문점의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Brand Individuality of Specialty Coffee Shops on Brand Loyalty)

  • 김준석;최성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4-141
    • /
    • 2011
  • 우리나라의 식문화는 크게 변화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외식화는 가장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요인에는 외식 기회의 확대와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소비의식 및 소비내용의 변화, 가처분소득의 증가, 여성의 사회진출 등의 요소와 더불어 여러 가지 관련된 산업이 발전한 데 그 원인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패스트 푸드 업계는 다소 성장이 둔화된 반면 패밀리 레스토랑과 테이크 아웃 커피 업계는 매장을 늘리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매출을 점차 확대시키려는 공격적인 경영을 하고 있는 추세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커피 전문점 시장에서 소비자의 브랜드 개성과 만족도가 커피전문점 브랜드 신뢰, 브랜드 감정, 브랜드 일체감, 브랜드 애호도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살펴보려 한다. 둘째, 선호하는 커피전문점의 종류와 경험 횟수, 그리고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커피전문점에서 소비자의 브랜드 개성과 만족도가 신뢰, 감정과 브랜드 일체감,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개성과 고객 만족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 만족도와 브랜드 신뢰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 만족도와 브랜드 감정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신뢰도와 브랜드 일체감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 감정과 브랜드 일체감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브랜드 일체감과 브랜드 충성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충성도를 형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브랜드 개성의 차원을 제시 하여 그 영향력을 유의함을 밝혔다는 점이다. 따라서 브랜드 충성도를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한 브랜드 개성을 개발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커피 전문점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브랜드 개성의 차원과 고객 만족도의 관계를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브랜드 일체감고 브랜드 충성도의 영향관계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의 이론들을 뒷받음을 못 하고 있다.

  • PDF

자폐아를 위한 표정 훈련 디지털 치료제 (Facial Expression Training Digital Therapeutics for Autistic Children)

  • 박지연;이경원;엄성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581-586
    • /
    • 2023
  • 최근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있는 변호사를 주인공으로 하는 TV 드라마가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키면서 그 영향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이 겪는 어려움에 관한 관심도 높아졌다. 자폐 스펙트럼은 조기에 발견해 교육과 치료를 제대로 받으면 예후를 좋게 할 수 있어 그 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자폐 스펙트럼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부작용이 있는 경우가 많아, 그에 비해 부작용이 없고 대량 공급이 가능한 디지털 치료제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폐 스펙트럼을 가진 영유아를 위한 감정 및 표정 학습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자 디지털 치료제인 '아이모션(AEmotion)'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은 훈련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손쉬운 적용 테스트를 위해,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되었다. 머신 러닝 기법을 활용하는 본 시스템은 표정 카드를 통해 감정을 학습하는 '감정 학습' 단계, 감정과 표정을 잘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감정 식별' 단계, 그리고 감정과 알맞은 표정을 짓는 '표정 훈련' 단계 등 총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 표정 인식과 감정처리가 익숙하지 않아 사회적 상호작용이 어려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의 표정 훈련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패션에 나타난 동서양 문화 퓨전 이미지의 미적 가치에 대한 연구 (Aesthetic Value of Orient-West Culture Fusion Image in Fashion)

  • 유현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5-5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ing of east-west culture fusion in fashion since 2000 years, to play a guideline's role in the development on fashion designs study.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cademic literatures as well as practical study through case studies about actual works. Tendency of east-west culture fusion in fashion since 2000 years is shape and performance, pattern, accessary. Shape and performance are reinterpreted through east folk fashion transforming on west fashion, pattern shows traditional pattern of each nations, but letters of typical of each nations appears for new pattern which expresses nation identification. Accessary is in the harmony with east -west fashion culture like that without transform. Aesthetic value of east-west culture fusion in fashion since 2000 years is summerised opening, co-ownership, and amusement. First, opening is positiveness of acception and acknowledgment for other. Second, co-ownership turns towards humanism, and proves participating in globalism and really global village. Third, amusement is to express freedom, and to reveal privately emotion concealing in public area.

  • PDF

말소리와 성격 이미지 (Speech sound and personality impression)

  • 이은영;유혜옥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59-67
    • /
    • 2017
  •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 listeners tend to assess speakers' personalities based on the sounds of the speech they hear. Assessment criteria, however,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o indicate whether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acoustic cue of produced speech sounds and perceived personality impression. If properly investigated,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will provide crucial insights on the aspects of human communications and further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Since human communications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simultaneity and complexity, this investigation would be the identification of minimum essential factors among the sounds of speech and perceived personality im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identif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e speech sounds and perceived personality impression of speaker by the listeners. Twenty eight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eight acoustic parameters were extracted by using Praat from the recorded sounds of the speech. The subjects also completed the Neo-five Factor Inventory test so that their personality traits could be measur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 that four major factors(duration average, pitch difference value, pitch average and intensity average) play crucial roles in defining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암환자의 우울, 자기효능 및 대처간의 상관관계 (Depression, Self-efficacy and Coping in Patients with Cancer)

  • 류은정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0-81
    • /
    • 2001
  • The relationships among self efficacy, depression and coping with cancer were examined in 194 outpatients who had received a diagnosis of cancer. The sample for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consisted of people who were at least 19 years old and had been treated for cancer at 6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eople who attributed cancer to heredity/family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of self efficacy. People who attributed cancer to smoking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of depression. and coping.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ausal attribution and depression and between causal attribution and coping. 3.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depression(r=-.301, p= .000), wherea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coping (r=.195, 0=.006). Finally, it is evident that identifying clear perceived causes, self-efficacy, depression and coping in patients with cancer continues to challenge researchers. Based upon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research have a longitudinal design that allows for the identification of changes in perception, emotion and coping and, possibly, different relationships over time.

  • PDF

수반자극과제에서 정서가 초점주의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motion on Focused Attention in a Flanker Task)

  • 박태진;박선희
    • 인지과학
    • /
    • 제22권4호
    • /
    • pp.385-404
    • /
    • 2011
  • 정서가 초점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배경자극으로 제시된 그림자극의 정서가가 수반자극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반자극이 표적자극과 상이한 경우와 동일한 경우의 반응속도 차이(부합성효과)는 수반자극 처리에 의한 간섭, 즉 표적자극에 대한 초점주의의 실패를 의미하는데, 부합성효과에 미치는 배경 그림자극의 정서가(긍정, 중립, 부정) 효과를 분석하였다(실험 1). 그 결과, 부합성효과의 크기는 표적자극과 수반자극간 거리(시각 0.5도, 1도, 1.5도)뿐만 아니라 배경 그림자극의 정서가의 영향을 함께 받았는데, 중립과 긍정 그림 배경에서는 거리가 멀수록 부합성효과가 감소한 반면(거리효과), 부정 그림 배경에서는 거리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배경 그림자극과 표적/수반자극 간 SOA(100ms, 2800ms)와 거리(시각 0.5도, 1.5도)를 변화시켜 부합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정서가에 따른 거리효과가 SOA에 따라 상이하였다(실험 2). SOA가 긴 경우, 중립과 긍정 그림 배경에서는 거리효과가 관찰되었으나, 부정 그림 배경에서는 거리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부합성효과가 모든 정서가에서 먼 거리와는 달리 가까운 거리에서만 유의미했다. 반면, SOA가 짧은 경우에는 모든 정서가에서 거리효과가 관찰되었으며, 부합성효과가 중립과 긍정 그림 배경에서는 두 거리조건 모두에서 유의미했지만 부정 그림 배경에서는 먼 거리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전반적으로 부정정서에 의한 시각적 주의범위의 축소와 긍정정서에 의한 주의범위의 확산을 시사하는데, 특히 후자가 전자에 비해 더 일시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