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Labor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41초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C 서비스 프랜차이즈 기업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 C Service Franchise Firm.)

  • 김민주;이정운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6권2호
    • /
    • pp.51-66
    • /
    • 2015
  • As competition for better service between corporations is getting fierce, many efforts to improve service quality are being made endlessly. The quality of service is directly associated with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employee performance of emotional labor is a key factor to attain a high level of customer review and better corporation image. This study examines an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in the context of a service franchise fir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has a negative influence on job stress, and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has a negative influence on customer orientation. Also, job stres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customer orientation. Seco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does no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orientation. Third,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does no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tr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deep acting of service based on an employee emotion can produce the employee's better service attitude by decreasing employees' job stress, but standardized surface acting of service cannot. Therefore, franchisor needs to use employees' deep acting to improve the franchisee service quality.

1/f 수준 별 음악 자극이 감정 노동 종사자의 심장 반응에 미치는 효과 (Heart Response Effect by 1/f Fluctuation Sounds for Emotional Labor on Employee)

  • 전병무;황민철
    • 감성과학
    • /
    • 제18권3호
    • /
    • pp.63-70
    • /
    • 2015
  • 본 연구는 1/f fluctuation의 ${\alpha}$기울기 따라 구성된 사운드를 들었을 때 감정 스트레스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피험자들의 심박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사용자의 심리상태 안정시키는 효과 또는 생리적 안정성에 1/f fluctuation의 ${\alpha}$기울기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f fluctuation 수준을 총 3가지 나누어 제작한 사운드를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는 감정노동 종사자에게 제시하여 그에 따른 심장반응을 측정하였다. 종속변수는 네 가지로 BPM(Beat Per Minute), VLF(Very Low Frequency), SDNN(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s), 그리고 HF(High Frequency) 파워(Power)값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기울기가 3인 1/fluctuation 사운드는 각성효과를 보였다. 기울기 1, 2인 사운드는 이완효과가 있는 것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1/f fluctuation 사운드의 특성을 활용해 감정 노동자들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서비스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카지노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 신혜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415-424
    • /
    • 2012
  • 본 연구는 카지노기업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 및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카지노기업 종사원의 감정노동 요인 중 심층행위는 정서적 탈진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표면적 행위는 정서적 탈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층행위와 감정제어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표면적 행위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심층행위와 감정제어는 비인간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표면적 행위는 비인간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카지노기업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 요인 중 심층행위는 직업환경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표면적 행위는 직업환경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층행위와 감정제어는 종사원의 보상 및 가치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표면적 행위는 보상 및 가치공유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카지노기업 종사원의 감정노동은 공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노동 요인 중 감정제어만이 종사원의 근무환경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전문직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on Job Satisfac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 류영옥;고은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5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emotional labor,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and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14 nurses in S city. The following measurement tools were used: Emotional labor by Morris et al. (1996),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by Yeun et al. (2005), and Index of Work Satisfaction by Stamps et al. (197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8.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Participants' scores for emotional labor,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were $3.11{\pm}0.48$, $3.46{\pm}0.39$, and $3.02{\pm}0.29$ respectively. Emotional labo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r=-.33, p<.001), while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r=.58, p<.001). Emotional labor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The model explained about 39% of the variance in job satisfaction (F=67.40,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manage emotional labor as well as to improve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병원간호사의 폭력경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olence Experienc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Clinical Nurses' Depression)

  • 노진희;나연경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3-161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violence experienc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clinical nurses' depression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care. Methods: This research involved 257 clinical nurses who were working at an acute care hospital with at least 200 beds in S city and 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3 to June 7 in 2014 and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sion 21.0.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98.1% of subjects had violence experience in the past year and the violence experience included 44.4% physical threat, 37.5% verbal violence and 18.1% physical violence. The average scores were emotional labor 3.57, job stress 3.54 and depression 21.16.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violence experience,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depression (p<.01).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o-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violence experience (r=.21, p=.001), between depression and emotional labor (r=.48, p<.001) and between depression and job stress (r=.31, p<.001).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et up guidelines for clinical nurses to manage violenc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in order to create better working environment and to improve quality of patient care.

시큐리티 요원의 근무경력에 따른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Customer Orientation by Service Career of Security Agents)

  • 김의영;이준우;조성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37호
    • /
    • pp.269-293
    • /
    • 2013
  • 시큐리티 산업의 질적 향상은 시급하다. 고객과 접촉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시큐리티 요원의 감정표현이 시큐리티 산업을 전반적으로 평가될 수 있거나 자신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래서 고객 요구에 대한 감정조절이 무엇보다 필요한 직업군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큐리티 요원들의 감정조절을 대표적으로 설명하는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시큐리티 요원의 근무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여 시큐리티 요원의 서비스 교육에 유효한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 및 충남 소재의 시큐리티 회사의 요원을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27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때 조사도구는 국내 외 선행연구를 기초로 재구성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큐리티 요원의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시큐리티 요원의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고객지향성은 낮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시큐리티 요원의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근무경력이 차이를 보였다. 즉 시큐리티 요원의 근무경력이 낮을수록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고객의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력이 낮은 시큐리티 요원들의 감정노동을 조절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신입사원의 감정노동은 근무환경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시큐리티 요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PDF

감정노동자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지역 대형숙박서비스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of Emotion Workers -Focused the large accommodation services on the Gangwon Province-)

  • 이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54-164
    • /
    • 2016
  • 본 논문은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감정 노동자의 이직의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서비스 산업에 종사하는 감정 노동자의 서비스 품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이직 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조사 분석한 것이다. 독립 변수로 설정한 감정 노동자의 직무특성 및 직무환경, 조직문화, 감정노동행위 등이 종속 변수인 이직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독립 변수들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감정 노동자의 이직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으로는 주로 강원권의 대형 숙박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감정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직무특성 및 직무환경 요인 중에서는 직무다양성 요인과 내외적 보상 요인이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조직문화 요인으로는 인적 자원 문화, 개방 체계 문화, 위계 질서 문화 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감정노동 행위 중에서는 표면행위, 진심행위 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실증적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직무만족을 매개로 한 가설검증에서는 직무다양성 요인 등 몇몇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향후에는 독립변수 요인으로 정규직 비정규직 여부를 하나의 요인으로 두고 실증조사를 해보면 좀 더 유익한 결론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감정노동과 인권보호 - 항공사를 중심으로 (Emotional Labor and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case of airlines)

  • 신동춘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7-108
    • /
    • 2014
  • 항공기 승객을 포함하여 소위 악성소비자에 의한 감정노동자의 피해는 소비자의 권한 남용이 노동자의 인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많다는 이유로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감정노동은 공개적으로 얼굴과 신체를 나타내며 만들어 내는 감정 조절의 한 형태이며, 또한 노동자에 의한 감정의 관리가 시장에서 교환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내는 직업에서의 감정의 관리에 해당한다. 감정노동을 요구하는 직업의 예로서 간호사, 의사, 대기 직원 및 TV 배우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경제가 제조업으로부터 서비스업으로 이동함에 따라 더 많은 노동자들이 다양한 서비스의 직업 환경에 처해 있는데 과거에 비해 고용주의 요구에 따라 그들의 감정을 관리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감정노동으로부터 오는 증상의 하나는 소위 스마일증후군인데 마코토 나츠메교수는 노동자가 계속되는 부자연한 웃음의 결과로 우울증과 신체적 질병을 발전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직장에서의 심한 정도의 감정 통제는 종사자의 심한 정도의 감정 고갈 및 낮은 수준의 직업 만족도로 연결되어진다. 대부분의 경우, 감정노동자는 구매한 상품 및 서비스와 관련하여 공급자에게 대하여 불만을 제기하여 악의적으로 보상을 받으려는 악성소비자에 의한 권리 남용으로 상처를 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한국 정부는 "소비자보호법"을 폐기하고 2006년 "소비자기본법"을 제정하였는데, 소비자는 보호를 받기도 하지만 동시에 의무와 책임을 가질 것을 규정하고 있다. "항공안전 및 보안에 관한법률"은 항공기 승객이 여행 중에 기내난동 등 금지되는 행위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감정노동자의 인권은 예절과 품격 및 근로 환경의 문화적인 향상이 이루어질 때 더욱 보호될 수 있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감성지능의 효과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 백다원;염영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1-28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382 nurses from four hospitals located in Seoul or Gyu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a) emotional labor had a positive effect on burnout, while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negative effects on burnout; (b)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nd (c) social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whereas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high levels of support had a buffering effect and mitigated the negative effects of the emotional labor on burnout. Therefore, strategies to enhance social support for nurses are needed and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refine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