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y Recovery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4초

불산제조업체에서 발생한 불산화상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Occupational Hydrofluoric Acid Burns in a Hydrofluoric Acid Manufacturing Factory)

  • 임현술;정해관;김지용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4호
    • /
    • pp.587-598
    • /
    • 1993
  • Hydrofluoric acid is one of the strongest irritating, corrosive and poisonous inorganic chemicals. Hydrofluoric acid burns are occurring with ever-increasing frequency due to the wide use of this acid in industries. Hydrofluoric acid burns are characterized by severe progressive tissue destruction and excruciating pain due to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freely dissolvable fluoride ion. The authors reviewed medical records of 32 cases (36 spells) of hydrofluoric acid burns which occurred in a hydrofluoric acid manufacturing factory from Sep. 1, 1990 to June 30, 1993.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leven measurements of air concentrations of hydrofluoric acid by detection tube method from 1990 to 1992 were all below TLV (Department of Labor, R.O. K). 2. There were 19 cases (22 spells) of hydrofluoric acid burns which occurred during the study period among regular employees. The overall incidence density of hydrofluoric acid was 17.8 cases (20.6 spells) per 100 person-year. Incidence density was 19.0 cases (22.0 spells) per 100 person-year among male workers and there were no female cases. Incidence density was 32.9 cases (38.3 spells) per 100 person-year among production workers and 1.9 cases (1.9 spells) per 100 person-years among management workers with the difference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3. Of 32 cases (36 spells) of hydrofluoric acid burns among workers who were regularly employed or temporarily employed, 26 spells (81.2%) were between age 20 to 39. In 15 spells(41.7%) burns occurred between 12:00 and 17:59 with 16 spells(44.3%) having arrived at hospital within 2 hours after the accident. 4. Of 36 spells, the main cause of hydrofluoric acid burns were by splashes (8 spells, 22.2 %). The most frequent site of burns were fingers and pain was the most frequent symptom. Thirty spells (83.3%) of the hydrofluoric acid burns were treated with local injection of antidote (calcium gluconate). Complete recovery without scarring were observed in most of the cases (34 out of 36 cases, 94.4%).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o prevent hydrofluoric acid burns, environmental control and the wearing of hydrofluoric acid resistant protective clothes and gloves are important. It is also stressed that establishment of an emergency management and a transfer system for hydrofluoric acid burn victims is necessary.

  • PDF

중앙행정기관 재난관리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Disaster Management Plan for Central Administration Office)

  • 김무준;김계현;권문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61-69
    • /
    • 2010
  • 지구 온난화와 도시화로 인한 자연 생태계의 악화가 지속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재난이 다양해지고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재해 발생과 피해 규모가 급증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재난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국제적으로 9.11테러와 쓰나미 사건을 계기로 표준화된 재난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졌으며 재난관리표준을 수립하고 활용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재난관리표준(안)을 기반으로 재난관리 업무매뉴얼을 생성하여 재난관리계획 수립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중앙행정기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재난관리 활동을 분석하였고 재난관리 업무, 기능, 조직, 참조, 행동 라이브러리의 설계와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체계적인 재난관리 업무를 지원하고 재난관리 활동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업무매뉴얼 생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업무매뉴얼은 재난 유형별 중앙행정기관에서 수행해야 할 업무와 필요한 긴급지원기능을 적용하고 참조정보와 행동요령 등을 포함시켜 재난관리에 있어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단계별 체계적인 재난관리계획 수립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전투 상황에서 발생한 사지 총상 및 폭발창의 치료 (Treatment of Combat-related Gunshot and Explosive Injuries to the Extremities)

  • 이정은;이영호;백구현;이경학;조영재;김영철;서길준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6권3호
    • /
    • pp.111-124
    • /
    • 2013
  • Purpose: We should prepare proper medical service for disaster control as South Korea is not free from terrorism and war, as we experienced through the two naval battles of the Yeonpyeong, one in 1999 and the other in 2002, the sinking of Cheonan in 2010, and the attack against the border island of Yeonpyeong in 2010. Moreover, North Korea's increasingly bellicose rhetoric and mounting military threats against the world demand instant action to address the issu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our experience with three patients with combat-related gunshot and explosive injuries to their extremities and to establish useful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ombat-related injuries. Methods: Three personnel who had been injured by gunshot or explosion during either the second naval battle of the Yeonpyeong in 2002 or the attack against the border island of Yeonpyeong in 2010 were included in our retrospective analysis. There were one case of gunshot injury and two cases of explosive injuries to the extremities, and the injured regions were the left hand, the right foot, and the right humerus. In one case, the patient had accompanying abdominal injuries, and his vital signs were unstable. He recovered after early initial management and appropriate emergency surgery. Results: All patients underwent emergent surgical debridement and temporary fixation surgery in the same military hospital immediately after their evacuations from the combat area. After that, continuous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and wound care were performed, and definite reconstructions were carried out in a delayed manner. In the two cases in which flap operations for soft tissue coverage were required, one operation was performed 5 weeks after the injury, and the other operation was performed 7 weeks after the injury. Definite procedures for osteosynthesis were performed at 3 months in all cases. Complete union and adequate functional recovery were achieved in all cases. Conclusion: The patient should be stabilized and any life-threatening injuries must first be evaluated and treated with damage control surgery. Staged treatment and strict adherence to traditional principles for open fractures are recommended for combat-related gunshot and explosive injuries to the extremities.

파라콰트의 환경성 노출 가능성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Paraquat Exposure)

  • 오세현;최홍순;유호영;박준호;송재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4호
    • /
    • pp.218-226
    • /
    • 2011
  •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초제인 파라콰트가 수중이나 토양을 통해 인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중에서 자외선에 의한 파라콰트의 분해 여부를 측정하였고, 토양에 파라콰트 살포 후 인공강우조건을 만들어 파라콰트의 침출 여부를 파악하였다. 또한, 용존산소량에 따라 등급이 다른 세가지 하천수에서 파라콰트의 자외선에 의한 분해양상을 조사하였다. HPLC/UVD를 이용한 토양과 수중에서 파라콰트의 용출 및 분해양상을 살펴본 결과 수중에서 자외선에 의한 파라콰트의 분해는 일어나지 않았고, 토양에서 파라콰트 살포 후, 파라콰트 용출 여부를 한 달간 살펴보았는데 용출은 되지 않았다. 그리고 하천수의 수질에 따른 파라콰트의 자외선에 의한 영향 또한 변화가 없었다. 분석방법에 대한 검출한계는 1.57 ${\mu}g$/L로 검출한계가 낮았다. 그리고 분석의 정밀도 및 정확도를 본 결과 3개의 다른 농도에서 6 % 이내의 정밀도와 약 88 % 이상의 정확도를 갖고 있어서 분석방법이 우수하였다. 토양에 살포된 파라콰트가 강수 등에 의해서 다시 용출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그러나 어떠한 경로이던 수계로 들어간 파라콰트는 오랫동안 잔류되어 인체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험실에서 진행된 것으로 실제 환경매체를 이용한 실증적인 연구와 이를 통한 역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공동관리 등급에 따른 지반함몰 관리등급제에 대한 연구 (Study on Management System of Ground Sinking Based on Underground Cavity Grade)

  • 이기철;김동욱;박정준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3-33
    • /
    • 2017
  • 도심지가 고도화되고 지상 공간이 포화됨에 따라 지하공간 개발 및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동시에 지반함몰 현상, 각종 지하공간 사고 등으로 시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지반함몰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에 발생한 공동을 탐지하고 공동등급을 설정하여 공동복구 순서 및 위험도를 평가해야 한다. 기존의 일본 간선도로 공동관리 등급은 일본 현지의 기준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 지반실정에 적용하기가 적합하지 않다. 최근 국내 실정에 맞게 서울형에서 공동관리 등급이 개발되었으며, 도로 하부지반 및 아스콘 포장층의 상태 등을 추가로 고려하여 공동의 등급을 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igcirc}{\bigcirc}$지역를 대상으로 209개의 공동을 탐사하고, 공동 등급에 따른 공동의 형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일본의 간선도로 공동관리 등급과 새롭게 개발된 서울형 공동관리 등급으로 분류된 결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일본 간선도로 공동관리 등급기준으로 긴급복구로 분류되 공동들은 상당히 보수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일본의 기준이 도로 포장층 두께를 고려하지 않고, 공동의 폭과 토피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가상시나리오 개발 (Development of Response Scenario for a Simulated HNS Spill Incident)

  • 이문진;오상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77-684
    • /
    • 2014
  • 해양사고 발생시 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대응훈련 및 이를 위한 시나리오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가상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가상 시나리오는 부산 해역을 대상으로 개발하였으며, 대상해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가상 사고 시나리오와 이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를 각각 개발하였다. 가상 사고 시나리오는 대상해역인 부산해역의 위험평가 및 취약성분석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를 선정하고, 가상 사고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예측하여 구축되었다. 가상 사고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는 가상 사고 시나리오의 피해예측에서 제시된 피해를 수습하기 위한 단계별 조치사항으로서 제시하였다. 부산해역의 위험유해물질 가상 유출사고는 부산 감천항 충돌사고로 인한 자일렌(xylene) 1,000톤 유출사고로 선정하였으며, 이로 인한 피해는 자일렌의 대기확산 및 해양확산 계산을 통해 예측하였다. 또한 가상 사고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는 피해지역의 주민 대피, 자일렌 확산 방지 및 회수, 대응요원 보호조치, 사고지역 사후 관리 등에 대한 단계별 조치사항을 제시하였다.

돌발적난청 (Sudden Deafness)

  • 조중환;류태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6년도 제10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85.3-86
    • /
    • 1976
  • 돌발성난청은 만약청력이 구조될 가망이 있으면 즉각적인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다. 이것은 이과적 비상사태이며 또 진단의 도전자이다. 감각신경성돌발성난청은 광범위한 종류의 병인으로 생길 수 있다. 종합적인 정밀검사를 곧 시행하여 치료를 지체없이 시작해야만 될 것이다. 감각신경성난청환자에 대해서 아무것도 할 것 없다는 관념은 버려야 되겠다. 돌발성난청을 일으키는 어떤 병인은 치료에 순응 않거나 또는 다만 일부만 정상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냥 두면 조금은 회복되거나 또는 스스로는 전연 회복되지 않고, 적절한 치료에는 반응하는 병인들도 있다. 이 병인들을 확인하여 그 처치에 대하며 전심 연구하는 것은 긴요하다. 연령 성별의 비율 및 병변의 편측 또는 양측성은 그 원인에 관련되며, 모은 환자군의 형에 의해서 다르다. 돌발성난청은 개별적으로는 드므나, 모이면 흔한데 외래신이과환자의 약 2.5%에 이르렀으며, 약 70%는 편측성이였다. virus, 세균 및 treponema 감염성은 약 30%였고, 약 16%는 cochlea의 혈관성병변에 의해서였다. 거의 22%는 원인불명(idiopathic)으로 이것은 청년층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감각성이거나 신경성이였다. 12%는 외상성이고, 9%는 이중독성이였다. 기타가 11%였다. 이대중요요소는 병변의 부위와 청력장해의 기간인데 일찍 진단하여 치료하면 그만큼 치료반응이 좋다. 동시에 원인, 병리 및 치료에 대한 고찰을 더 하였다.

  • PDF

Comparison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Operation Waiting Times in Patients Having Traumatic Cervical Spinal Cord Injury; with or without Bony Lesions

  • Heo, Jeong;Min, Woo-Kie;Oh, Chang-Wug;Kim, Joon-Woo;Park, Kyeong-hyeon;Seo, Il;Park, Eung-Kyoo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2권2호
    • /
    • pp.80-85
    • /
    • 2019
  • Purpose: To compare the time intervals to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surgical treatment in patients having traumatic cervical spinal cord injury (SCI) with and without bony lesions. Methods: Retrospectively analyzed adult patients visite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cervical SCI within 24 hours. The patients who were suspected of having cervical SCI underwent plain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CT) upon arrival. After the initial evaluation, we evaluated the MRI findings to determine surgical treatment. Waiting times for MRI and surgery were evaluated. Results: Thirty-four patients were included. Patients' mean age was 57 (range, 23-80) years. Patients with definite bony lesions were classified into group A, and 10 cases were identified (fracture-dislocation, seven; fracture alone, three). Patients without bony lesions were classified into group B, and 24 cases were identified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16;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eight). Mean intervals between emergency room arrival and start of MRI were 93.60 (${\pm}60.08$) minutes in group A and 313.75 (${\pm}264.89$) minutes in group B, and the interval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group A than in group B (p=0.01). The mean times to surgery were 248.4 (${\pm}76.03$) minutes in group A and 560.5 (${\pm}372.56$) minutes in group B,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scale at the time of arrival showed that group A had a relatively severe neurologic deficit compared with group B (p=0.046).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it seems to be good neurological recovery, if we start treatment sooner among patients treated within 24 hours (p=0.198). Conclusions: If fracture or dislocation is detected by CT, cervical SCI can be easily predicted resulting in MRI and surgical treatment being performed more rapidly. Additionally, fracture or dislocation tends to cause more severe neurological damage, so it is assumed that rapid diagnosis and treatment are possible.

디지털트윈 시스템 적용을 위한 공동구 복합재난 시나리오 구축 (Establishment of Complex Disaster Scenario on the Utility Tunnel Study for Digital Twin System Application)

  • 정연하;김소담;서현정;이호준;송태정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861-872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공동구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재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복합재난 시나리오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재난 간 상관관계를 포괄적으로 고려하기 위해 재난 원인요소와 피해요소의 조합으로 복합재난 시나리오를 도출했고, 위험성 평가 기반의 시나리오 우선순위를 도출했다. 연구결과: 공동구 재난사례를 기반으로 피해 중심의 복합재난 시나리오 방안을 마련하였다. 화재, 침수, 지진 등 단일재난요소 및 다중재난요소들을 준정량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복합재난 시나리오를 구체화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복합재난 시나리오는 재난의 전조증상이 감지된다면 피해 예방·대비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결과물은 긴급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복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전략 방안 마련과 복합재난 대응 기술 마련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이 기대된다.

지형정보 기반 조난자 행동예측을 위한 마코프 의사결정과정 모형 (MDP(Markov Decision Process) Model for Prediction of Survivor Behavior based on Topographic Information)

  • 손진호;김수환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2호
    • /
    • pp.101-114
    • /
    • 2023
  • 유사시 종심 깊숙한 곳에서 적을 타격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항공기의 경우 격추될 위험에 항시 노출되어 있다. 현대전의 핵심 전투력으로써 최첨단의 무기체계를 운용하는 공중근무 요원은 양성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 국가 예산이 소요되며 그들이 가진 작전 능력과 군사기밀이 매우 중요하기에 공중근무 요원의 생환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지에서 비상탈출한 조난자가 장애물을 피해 목표지점까지 도피·탈출을 시행할 경로를 예측하는 경로 문제를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비상탈출한 조난자의 무사 생환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경로 문제를 네트워크 기반 문제로 접근하여 TSP, VRP, Dijkstra 알고리즘 등으로 문제를 변형하여 최적화 기법으로 접근한 연구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 환경을 모델링 하기에 적합한 MDP(마코프 의사결정과정)를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GIS를 이용하여 지형정보 데이터를 추출하여 활용함으로써 모형의 객관성을 높였으며, MDP의 보상구조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기존 연구 대비 모형이 좀 더 현실성을 가질 수 있도록 보다 상세히 지형정보를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난자가 지형적 이점을 최대한 이용함과 동시에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도출하기 위하여 가치 반복법 알고리즘, 결정론적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실제 지형정보와 조난자가 도피·탈출 과정에서 만날 수 있는 장애요소들을 추가하여 모형의 현실성을 더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조난자가 조난 상황에서 어떠한 경로를 통해 도피·탈출을 수행할지 예측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보상구조의 재설계를 통해 여러 가지 다양한 작전 상황에 응용이 가능하며 실제 상황에서 조난자의 도피·탈출 경로를 예측하고 전투 탐색구조 작전을 진행시키는 데 있어 다양한 요소가 반영된 과학적인 기법에 근거한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