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e ecology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초

농촌전통테마마을 활성화를 위한 내곡리 여산팔경 마을 생태탐방로 노선설정 방안 연구 (Developing Ecological Trails and Route Alignment for Revitalizing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in Naegok-ri)

  • 이승주;한봉호;강현경;이수동;김상범
    • 농촌계획
    • /
    • 제15권3호
    • /
    • pp.61-79
    • /
    • 2009
  • This study discusses developing ecological trails and route alignment in mountainous rural area. Through a process of ecological resources survey, ecological trails and route alignment has been established. Mainly, by focusing on ecological resources in rural areas, it was indifferent to their own ecological resource and charm to make it unique strengths. Based on survey the results, Natural ecology resources, there were the climate factor, surface, geological, terrain analysis. Furthermore, ecological resource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e elements of it, distribution of resources, types, location, semantic analysis. The results are expressed on the map and recorded by taking pictures. Plant ecosystem, there were actual vegetation, land use, flora analysis. Wild animal ecosystem, it was checked and recorded on 1/1,000 map partition the emergence of wild birds, the number of species distributed by foraging guild, the emergence of amphibians, reptile, mammals and insect species. The site is chosen as rural theme village in 2007, base on their own rich ecological and landscape resources. Therefore, we carried out ecological trails and route alignment plan in accordance with analyzed the natural ecological resource and after setting up the basic goal, ecological trail has been composed and planting has done and direction.

남부지방에서 복숭아명나방 Dichocrosis punctiferalis의 월동생태 (Overwintering Ecology of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sis punctiferalis in Southern Regions of Korea)

  • 강창헌;이상명;정영진;최광식;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01-209
    • /
    • 2004
  • 실험실과 밤 재배지에서 2001/2002년 겨울과 2003년 봄에 복숭아명나방 Dichocrosis punctiferalis Guenee (Lepidoptera: Pyralidae)의 월동생태를 연구하였다. 같은 밤 재배지에서 2003년 겨울에 채집 우화시킨 24마리의 암컷과 14마리의 수컷은 모두 과수형이었다. 야외에서 월동유충 개체군의 휴면종료는 1월 하순부터 시작하여 4월 20일 이전에 완성되었다. 휴면종료된 유충의 용화는 5월 상순부터 시작하여 6월 3일까지 $100\%$ 용화하였다. 휴면 종료 후 암컷 유충이 용화되기까지의 기간은 20, 25, $30^{\circ}C$에서 각각 12.5일, 8.9일, 7.5일이었다. 용기간은 세 온도에서 각각 14.7일, 11.8일 ,9.0일이었다. 휴면 후 월동세대 성충의 우화시기는 5월 20일부터 6월 28일까지이었으며, $50\%$ 우화시기는 6월 8일-9일이었다. 그러나 산청, 하동, 진주 세 지역의 성페로몬 트램에 포획된 수컷의 수를 종합하면 $50\%$ 포획시기는 6월 17일이었다.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고사목의 나무좀의 다양성과 풍부도 (Diversity and Abundance of Bark Beetles (Coleoptera, Curculionidae: Scolytinae and Platypodinae) in Deadwoods of Quercus serrata and Carpinus laxiflora)

  • 권태성;이봉우;박신영;변봉규;박상욱;이철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53-362
    • /
    • 2011
  •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분포확산이 예상되는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의 고사목에 서식하는 나무좀의 발생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경기도에 위치한 광릉 숲의 장기생태조사지에서 2007-2008년도에 이루어졌고,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의 고사목에 서식하는 나무좀은 우 화트랩과 유인트랩(깔때기트랩과 윈도우트랩)을 사용하여 채집되었다. 조사결과 2아과 12종 408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출현종 중 광릉긴나무좀이 가장 많았다. 광릉긴나무좀과 오리나무좀은 졸참나무에서 주로 채집된 데 비해 나머지 종(2종의 희귀종 제외)들은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에서 공통적으로 채집되었다. 나무좀의 종풍부도와 풍부도는 우화트랩 보다는 유인트랩에서 높았고, 서어나무 보다는 졸참나무에서 높았다. 부후등급별로는 고사목의 I-II 또는 I-III 단계가 III-IV 또는 IV 단계의 비해 높았다. 나무좀 군집은 연도에 따라 달랐으며, 수종에 관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서울시 생태계 보전지역 3곳에서의 토양 종자은행 (Soil Seed Banks at Three Ecological Preservation Areas in Seoul)

  • 김재근;주은정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271-279
    • /
    • 2005
  • 서울시 생태계 보전지역인 진관내동 습지, 방이동 습지와 밤섬에서 2004년 3월 토양을 채취한후 5월부터 10월까지 유묘출현법(seedling emergence method)으로 토양 종자은행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진관내동에서는 총 42종, 5,190개체가 출현하였고, 방이동에서는 총 39종, 2,265개체, 밤섬에서는 총 39종, 1,047개체가 발아하였으며 가장 개체수가 많았던 곳은 진관내동 버드나무군락이었다. 진관내동 습지와 밤섬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인 것은 밭뚝외풀이었고 방이동 습지에서는 부들속 식물들이었다. 진관내동과 방이동에서 실시한 군락별 토양 종자은행 조사 결과 갈대군락, 버드나무군락, 고마리군락, 달뿌리풀군락, 은사시나무군락 등에서 지상부 우점종과 지하부 우점종이서로 다른 반면 애기부들군락과 부들군락에서는 일치하였다. 습윤조건에서 56종, 침수조건에서 25종이 출현하였고, 두 조건에서 다 출현한 종은 18종이었다. 개구리밥등의 부유식물과 물닭개비등의 일부 정수식물은 침수조건에서만 발아하였다. 부들속 식물, 돌피 골풀 등의 정수식물은 습윤과 침수 조건 모두에서 발아하였다. 밤섬에서 채취한 수변으로부터와 거리별 토양 종자은행에서는 수위의 유동성이 큰 수변 3(식생대로부터 거리 $300\sim350m$)에서 가장 많은 수의 종자가 관찰되었다.

올방개 괴경(塊莖)의 맹아(萌芽) 및 출현(出現) 특성(特性) (Sprouting and Emergence Properties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 이한규;이인룡;유갑희;이정운;이은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3-238
    • /
    • 1994
  • 올방개 괴경(塊莖) 눈의 맹아특성(萌芽特性), 중경(中莖)과 뿌리위치(位置)의 변화(變化) 및 재생력(再生力) 등을 구명하여 방제약제개발(防除藥劑開發) 및 사용기술(使用技術)에 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1993년 실내(室內) 및 온실시험(溫室試驗)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대부분(大部分)의 괴경(塊莖)은 보통 1개의 눈만 맹아(萌芽)하고 앞의 눈이 제거(除去)되면 다음 눈이 순차적으로 맹아(萌芽)하는 정아우세성(頂芽優勢性)과 2개 이상의 중경(中莖)이 동시(同時)에 신장(伸長)하지 않는 경합관계(競合關係)가 인정(認定)되었다. 2. 제초제(除草劑)(pyrazosulfuron)처리(處理)에 의해서 정아(頂芽)는 전부 고사(枯死)하였으나 제1, 제2측아(側芽)는 각각 50%와 90%가 생존(生存)하였으며 제3측아(側芽)는 거의 맹아(萌芽)하지 않는 상태(狀態)로 생존(生存)하였다. 3. 토양(土壤) 10-15cm의 심층(深層)에 있는 괴경(塊莖)은 2-5cm 깊이의 표층(表層)에 있는 괴경(塊莖)에 비하여 1주일(週日) 늦게 출현(出現)하였고 출현율(出現率)도 35% 정도 낮았다. 4. 심토(深土)에서 발생(發生)하는 올방개일수록 중경(中莖)과 근부위치(根部位置)가 깊어지므로 발생(發生)깊이에 따라 약제반응(藥劑j反應)이 달라질 수 있었다. 5. 토양(土壤) 10cm와 15cm 깊이의 심층(深層)에서 발생(發生)할 경우(境遇) 중경신장(中莖伸長)이 정지(停止)되어 출현(出現)하지 못한 괴경(塊莖)의 비율(比率)이 각각 25%와 30%로서 심층(深層) 경(莖)의 출현율(出現率)이 낮았다. 6. 식물체(植物體)에서 늦게 떼어낸 괴경(塊莖)일수록 재생(再生)이 늦었으나 초장(草長) 20cm(줄기 6-9개)일 때 떼어낸 괴경(塊莖)일지라도 약 2주후(週後)에는 모두 재생(再生)하였다.

  • PDF

현대패션에 나타난 테크노패션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echno Fashion in Modern Fashion)

  • 이은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3-183
    • /
    • 2004
  • The techno fashion presents the new formative beauty of fashion with a stream of light and dynamic phenomenon on human body. Also it opens the futurism arising from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with fash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trend and external form that techno-fashion aims at, and to analyz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desig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dot}$ The techno fashion created the new formative artifact through the dismantlement and reorganization of form. ${\cdot}$ The techno fashion used the composition of the geometrical abstraction as an expression of beauty symbolizing the modernity. ${\cdot}$ The techno fashion created the diverse colors by using the light along with colors of gold, silver, metal, intense fundamental colors, and artificial rotor. ${\cdot}$ The techno fashion expressed the dynamism, brilliance, youthfulness, futuristic image by using the sense of dazzling brightness by means of metal. ${\cdot}$ The techho fashio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ade the atmosphere of silhouette of clothes different by expanding the category of materials more widely, together with the possibility of continual emergence of new material. ${\cdot}$ The techno fashion expressed the dynamic movement on clothes and gave the sense of periodical rhythm by the reflective action of light when they were clad. ${\cdot}$ The techno fashion grafted wearable technology into the fashion and made the information instruments recognized as a concept of clothes. ${\cdot}$ The techno fashion pursued the values of not only the beauty of the simple geometrical design, but also the values of functionality and expressed the image of high quality of life through the harmony of technology with human.

  • PDF

현대 에스닉 패션(Ethnic Fashion)의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the Present Ethnic Fashion's Major Characteristics)

  • 최영옥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481-493
    • /
    • 2005
  • Reason for contemporary ethnic-look's remarkable world popularity is viewed as due to counteraction of disordered world conditions such as war, terror, and economic depression. These conditions led people to desire the returning to primitive human society where freedom and peace are preserved. The background of ethnic look emergence is influences of post-modernism, eastern and western culture hybrid, and ecology. This study will mainly focus on the analysis of present ethnic fashion trend and, with following to this, their images will be analyzed and categorized. The result of ethnic trend, especially that of Asian's and African's, from 2000 to 2005 is like this: representative Asian ethnic fashion tendency is focusing on Japanese and Chinese. In Japanese style, oversized silhouette was derived by Kimono and wide belt was appeared by influence of Kimono's Obi. Chinese ethic style are analyzed as adapting feministic silhouette and details from Chinese traditional clothes, Chipao. Additionally, in some of the Chinese ethnic-look, there are mixtures with Japanese, North American, and African's images. Mixing with pop images and ancient ones are also emerged. In the African ethnic look, people used colorful cloth and new materials which is considered as integration of primitives and modern science. From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current modern ethnic fashion can be defined as blends with one country's image to the other, mixture with new technology, and acceptance to the multi-national folk fashion. These trends are widely revealed and extended in the world fashion. In the following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four outstanding images lying underneath in the present ethnic-look. That is eclectic, traditional, natural, and mysterious images.

물달개비의 생물학적 방제인자 물달개비바구미의 생활사 및 기주특이성 (Life Cycle and Host Specificity of Tanysphyrus (Tanysphyroides) major Roelofs (Coleoptera : Curculionidae), a Possible Candidate Agent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 박진영;박재읍;이인용;권오석;박종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3-111
    • /
    • 2011
  • 물달개비는 한국의 논에서 문제되는 난방제 잡초중의 하나이다. 물달개비의 생물학적 방제 인자로 물달개비바구미를 선발하였다. 생물학적 방제에 이용하기 위해 2006년과 2007년 계대사육을 실시하여 형태적, 생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이 종은 1년에 한세대만 경과하며 성충으로 월동하고, 성충은 6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발생한다. 물달개비바구미는 알에서 성충까지 $22{\pm}0.7$일이 소요된다. 주요 농작물과 수생식물 60종을 대상으로 기주특이성을 조사 결과 물달개비의 생물학적 방제 곤충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Distribution patterns of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in Korea

  • Kwon, Tae-Sung;Lim, Jong-Hwan;Sim, Sang-Jun;Kwon, Young-Dae;Son, Sung-Kil;Lee, Kooi-Yong;Kim, Yeon-Tae;Park, Ji-Won;Shin, Chang-Hoon;Ryu, Seok-Bong;Lee, Chong-Kyu;Shin, Sang-Chul;Chung, Yeong-Jin;Park, Young-Seuk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543-550
    • /
    • 2006
  • Distribution patterns of two pine sawyer species (Monochamus alternatus which is the main vector insect and M. saltuarius which is the potential insect vector of the pine wood nematode) were investigated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at 89 study sites which were chosen to cover the whole region of South Korea. The selected pine trees were killed in early April and left for I year in the pine stands to be egg-laid by the pine sawyers. Emergence of the beetles from the dead pine trees was checked from early April to late July. M. saltuarius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mid to northern areas of South Korea, whereas M. alternatus in Jeju-do, southernmost island of Korea. Considering temperature distribution patterns in areas where the two species occur, their thermal distribution boundary may be formed around $13.2^{\circ}C$ of annual mean temperature. The hypothesized distribution map of the two Monochamus species under the invasion of pine wilt disease is suggested on the base of thermal distribution of Korean peninsula.

온대지역에 서식하는 잠자리의 적정 조사 시기 제안 (Proposition of Dragonfly's Appropriate Survey Period Inhabited in Temperate Zone)

  • 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27
    • /
    • 2019
  • 습지의존종이면서 습지생태계의 질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종인 잠자리목의 조사 시기를 제안하고자 산청군내 7개소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2015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29회에 걸쳐 잠자리 종과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1~3월과 11월, 12월에는 잠자리목이 관찰되지 않아 조사 시기에서 제외하였다. 군집을 분류한 결과, 4~6월, 6~8월, 9~10월이 각각 다른 군으로 분류되었으나 4월, 6월, 10월의 경우 강우, 기온 등의 영향으로 연도별 변화가 예상되어 조사 시기를 대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온대 지역의 잠자리 조사 시기에는 5월, 7~8월, 9월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종의 변화는 봄철에는 참실잠자리, 등검은실잠자리가, 여름철에는 고추잠자리, 등검은실잠자리, 먹줄왕잠자리, 배치레잠자리, 큰밀잠자리 등이, 가을에는 큰청실잠자리, 흰얼굴좀잠자리 등의 출현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