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e

검색결과 3,181건 처리시간 0.029초

S/W 개발 관점에서의 창발 기반 객체 모델 (Emergence-Based Object Model in the viewpoint of S/W Development)

  • 고성범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58
    • /
    • 1999
  • Recently, the size and complexity of the system we have to develop and to deal with are expanding quickly. Because of the great size of causally related network in itself, such a system will be very difficult to deal with based on the typical reduction model. One of alternatives for this is to adopt emergence-based paradigm instead of reduction-based paradigm. The first is based on the low level causality and the latter on the high level emergence.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emergence-based object model realizable in terms of engineering. It is the abstracted one from original object model using of such concepts as performance function, interest function and emotional layer. The suggested model allows us to emerge some important concepts which might be useful for implementing the complex system which can hardly be available by reduction paradigm.

  • PDF

사실상의 표준 등장 이후 기업퇴출에 관한 연구: 미국 레이저 프린터 산업을 중심으로 (The Emergence of de facto Standard and Firm Exit: Evidence from US Laser Printer Industry)

  • 강광욱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3호
    • /
    • pp.115-135
    • /
    • 2015
  • 사실상의 표준 등장은 산업의 경쟁적 상황의 변화를 가져오는 주요한 사건이며, 등장 이전의 디자인 경쟁에서 등장 이후 제품 경쟁으로 경쟁상황을 변화시킨다. 이는 사실상의 표준 등장이 산업의 발전과 기업의 전략수립에 주요한 변환점이 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러한 사실상의 표준과 기업 퇴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983년부터 2002년까지 미국의 레이저 프린터 산업을 대상으로 사실상의 표준 등장 이후, 기업퇴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x의 비례위험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제품수준 6650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총 119개 회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실상의 표준 등장 이전에 진입한 기업일수록 퇴출될 확률이 증가하였다. 사실상의 표준 등장 이후, 시장에서 경쟁기업 수가 많은 경우에는 기업의 퇴출 확률이 줄어들었으며, 제품 경쟁이 심해질수록 퇴출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실상의 표준 등장 이후 산업의 독특한 경쟁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실상의 표준 등장에 따른 산업의 경쟁적 환경에 대한 전략적 그리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안동대목 종자의 크기와 등숙 정도에 따른 발아.유묘 출현 및 생장 (Germination, Seedling Emergence, and Growth of Burcucumber Affected by Maturity and Size)

  • 강진호;전병삼;윤수영;이상우;정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52-155
    • /
    • 2003
  • 야생의 안동대목은 종자의 크기 및 충실도에 많은 변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약용 및 박과접목묘의 대목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안동대목 종자의 크기 및 성숙 정도가 발아, 유묘 출현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안동대목 종자의 발아율 및 유묘출현율은 미성숙 종자에 비하여 성숙 종자에서 높았다. 그러나 종자의 크기에 따른 발아율은 성숙 종자와 미성숙 종자 모두 대립종자에 비하여 중립 또는 소립종자에서 높았던 반면, 유묘출현율은 중립종자에서 가장 높고 대립종자에서 가장 낮았다. 종자 크기와 성숙 정도가 유묘 형태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하배축 길이를 제외한 초장, 본엽수, 자엽 및 본엽의 면적은 종자 크기가 클수록 길고 많았던 반면, 종자의 성숙 정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각 부위 및 전체 건물중은 미성숙 대립종자보다는 성숙 대립종자에서, 성숙 유무에 관계없이 종자의 크기가 클수록 많았다

Effect of Recycled Paper Mulch on Yield of Fall-grown Potato

  • Lee, Byun-Woo;Cui, Ri-Xian;Lee, Suk-H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8-73
    • /
    • 2002
  • High temperature during sprout emergence period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is a major limitation to the yield of fall-grown potato in Korea.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yield of fall-grown potato through recycled paper mulching, the changes of soil environment and the growth and yield of potato cv. Daeji as affected by three mulching treatments of non-mulched control, recycled paper mulching (RPM), and black polyethylene film-mulching (BPFM) were examined over two fall seasons at Suwon, Korea. The mulching materials were a recycled mulch paper with 110 g/$m^2$ and a thickness of 0.1 mm, which was manufactured from old corrugated containers for this experiment and a commercial black polyethylene film with a thickness of 0.01mm. On an average throughout the growing period, the soil temperature with RPM at the 5-cm depth was lower by 0.4-1.1$^{\circ}C$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maximum temperature during daytime in RPM was lowered by approximately 1 to 5$^{\circ}C$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 during emergence period, the difference being great on a fine day. The soil temperature with BPFM was much higher than the control. The effect of the mulching treatments diminished as the canopy became developed. The mulching treatments were more advantageous than the control in the conservation of soil water. Moreover, RPM and BPFM efficiently suppressed the occurrence of weeds until the potato harvest. RPM improved the emergence significantly due to lower soil temperature, whereas BPFM showed much poorer emergence than the control. Growth after emergence and yiel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PM than in the control and BPFM. It was concluded that the significantly improved yield in RPM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was mainly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sprout emergence and tuber growth accompanied by lower soil temperature and better conservation of soil water.

Performance of Imported Sweet Corn Hybrids in Korea

  • Seo, Seo-Jung;Yun, Yun-Sang;Lee, Lee-S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05-310
    • /
    • 2002
  • The performance of 7 sugary (su) and 12 shrunken-2 (sh2) sweet com hybrids which are commercially grown in the United States was tested in Korea. The 100-seed weight of su hybrids (16.5-23.6 g) was much heavier compared to that of sh2 hybrids (10.9-17.5 g). The germination rate of su and sh2 hybrids at $25^{\circ}C$ ranged 93.3-100% and 86.7-98.9%, the emergence rate of su and sh2 hybrids in cold test ranged 78.9-97.8% and 62.2-97.8%, and field emergence rate of su and sh2 hybrids ranged 74.4-100.0% and 79.9-98.2%, respectively. In su hybrid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rmination rate at $25^{\circ}C$ and emergence rate in cold test or early growth. In contrast, in sh2 hybrids seed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rly plant growth, while not with the germination rate at $25^{\circ}C$ or emergence rate in cold test and field. Most sh2 hybrids produced larger and more marketable ears compared to su hybrids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hybrids in the same genotype. At harvest (24 days after pollination) soluble solids content of su hybrids (24.3-27.1 Brix %)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sh2 hybrids (13.8-18.0 Brix %), while total sugars of sh2 hybrids (21.4-28.6% on the dry weight basis) was much higher compared to su hybrids (2.4-15.9%). Considering germination and emergence rates, marketable ear production, and total sugar content, 'GCB 70' and 'Sweet Satin' in su hybrids and 'Ice Queen', 'Aspen', 'Sweet Magic', 'Bandit', 'Xtrasweet 82', 'Aspen', and 'Cambella 90' in sh2 hybrids performed better than other hybrids.

The Effects of Transplanting Time and Meteorological Change to Variation of Phyllochron of Rice

  • Ku, Bon-Il;Choi, Min-Kyu;Kang, Shin-Ku;Lee, Kyung-Bo;Park, Hong-Kyu;Park, Tae-Seon;Ko, Jae-Kwon;Lee, Byun-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59-267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at Rice and Winter Cereal Crops Department of NICS during 2007 and 2008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ice leaf emergence and to obtain basic data which can be used for rice growth simulation model by which we can forecast rice growth stage and heading date accurately under different cultivars, transplanting date, and climatic conditions. To confirm leaf emergence rate according to rice maturing ecotype, we surveyed the leaf emergence rate and heading date of Unkwangbyeo, Hwayoungbyeo and Nampyeongbyeo which are early maturing, medium maturing and medium-late maturing cultivars, respectively, according to seedling raising duration and transplanting time. When seedling duration was 15 days, the growth duration between transplanting time and completion of flag leaf emergence on main culm were 51.5~78.3 days in Unkwangbyeo, 55.3~87.9 days in Hwayoungbyeo and 58.4~98.4 days in Nampyeongbyeo, respectively. When seedling duration was 30 days, they were 50.1~75.5 days in Unkwangbyeo, 52.4~84.7 days in Hwayoungbyeo and 56.4~93.8 days in Nampyeongbyeo, respectively. As transplanting time delayed, the emerged leaf number after transplanting decreased in all rice cultivars. The cumulative temperature between transplanting time to completion of flag leaf elongation on main culm were $1,281^{\circ}C{\sim}1,650^{\circ}C$ in Unkwangbyeo, $1,344^{\circ}C{\sim}1,891^{\circ}C$ in Hwayoungbyeo and $1,454^{\circ}C{\sim}2,173^{\circ}C$ in Nampyeongbyeo, respectively. Leaf emergence rate on main culm were precisely represented by equation, y = $y_0$ + a / [1 + exp( - (x - $x_0$) / b)]^c, when we used daily mean temperature as variable.

담수 처리에 따른 잡초성벼의 출현 변화 (Emergence Characteristics of Weedy Rice under Flooding depth)

  • 황운하;정재혁;이현석;박태선;양서영;최인배;최경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3호
    • /
    • pp.171-179
    • /
    • 2018
  • 국내에서 수집되어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된 잡초성벼 유전자원 중 100점을 이용하여 토양 매몰 깊이, 담수 처리 깊이 및 기간, 생육 온도에 따른 출현율을 분석하고 출현하지 못하고 토양 속에 존재하는 종자를 회수하여 종자 상태를 분석하였다. 토양 매몰 깊이가 1 cm로 얕을 시 담수 깊이 5 cm 및 10 cm 처리에서 출현율이 각각 54, 57% 감소하였으며, 토양 매몰 깊이가 5 cm 깊어지면서 담수 처리에 따른 출현율 감소는 담수 5 cm, 10 cm에서 66, 84%로 크게 증가하였다. 잡초성벼 유전자원 별 담수 처리에 따른 출현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토양매몰깊이 1 cm 및 담수 깊이 5 cm에서는 대부분의 유전자원이 60% 이하의 출현율을 보였으며, 토양매몰깊이 5 cm 및 담수 깊이 5 cm에서는 출현율은 크게 감소하여 94%의 유전자원이 10%이하의 출현율을 나타내었다. 출현이 완료된 뒤 출현하지 않고 토양 속에 남아있는 종자를 회수하여 종자 상태를 분석한 결과, 토양 매몰 깊이가 5 cm 일 시, 담수 처리에 의해 발아는 하였지만 출현하지 못하는 비율이 증가한 반면 죽거나 소멸된 종자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생육 온도를 달리하여 담수 처리 기간 동안의 유효 적산 온도에 따른 종자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출현율은 유효 적산 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자 사멸율 및 발아/미출현율은 유효 적산온도에 따라 증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담수 처리에 따른 출현율 변화는 담수 처리 온도 보다는 담수 처리 기간에 따른 차이가 컸으며 담수 처리 기간이 21일 이상일 시 출현율이 크게 감소하였다.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의 측정과 소나무 내 분포 (Measurement and Within-tree Distribution of Larval Entrance and Adult Emergence Holes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Coleoptera: Cerambycidae))

  • 정영진;이상명;김동수;최광식;이상길;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5-321
    • /
    • 2003
  •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경남 진주의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임지 내에서 고사목을 대상으로 솔수염하늘소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 및 번데기방의 크기와 갱도길이 등을 측정하고, 소나무 내 분포를 분석하였다. 소나무 내 솔수염하늘소의 유충 침입공수는 1$m^2$당 수관부가 56.2 개인데 비해 수간부는 27.7개로서 수관부가 훨씬 많았다. 직경이 8-l0 cm인 공시목에 침입공의 27.5%와 우화공의 22.4%가 분포하였고 이보다 굵거나 가는 공시목에는 적었다. 침입공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입구의 표면적은 평균 65.8$\textrm{mm}^2$ 이었다. 성충탈출공은 원형으로서 직경은 평균 7.0mm 이었다. 공시목의 표면에서 번데기방까지의 깊이는 평균 24.8 mm이었고 번데기 방의 부피는 200-2,000 ㎣이었다 성충의 탈출공은 수관부가 수간부보다 많았으며, 공시목의 직경이 8-10cm에서 22.4%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유충 침입공과 성충 탈출공까지의 목질부 표면에서 직선거리는 평균 3.3 cm이었으며, 침입공에서 탈출공까지의 갱도 길이는 평균 46.2 nm이었다.

벼 담수토중직파재배시 종자분의 재료에 따른 입모향상 효과 (Improvement of Rice Seedling Emergence by Seed Coating Materials in Direct Seeding into Flooded Paddy Soil)

  • 원종건;최충돈;이외현;이상철;김칠용;최부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6-291
    • /
    • 1997
  • 벼 담수토중직파시 산화제 종자분의에 의한 초기 출아입모 향상 효과를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화환원전위차는 무처리가 가장 낮게 경과하였으며, KNO$_3$가 대체로 높으면서 산화 기간이 오래 지속되었던 반면 CaO$_2$는 타처리에 비해 약간 낮게 경과하는 경향이었고, 산화제처리로 출아기간동안 종자주위의 토양환원억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2. 토양 pH변화는 무처리에서 7이상으로 가장 높게 경과하여 논토양의 환원된 상태를 보였으며, 산화제 처리구에서는 초기에 낮았다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무처리보다 낮아 일시적으로 토양을 산성화 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3. 입모수는 CaO$_2$가 파종후 8일경에 60%이상의 출아율을 보였고, 특이산성토 처리는 CaO$_2$ 보다는 낮았지만 무처리에 비해 입모율은 많이 향상되었다. 4. 초기생육에서 초장은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엽령차이는 CaO$_2$ 및 특이산성토에서 7.6매로 무처리의 6.2매에 비하여 1.4매 정도 많아 잎의 전개가 더 빨랐으며 근장 또한 CaO$_2$ 분의종자에서 10.2cm로 가장 길었고, 경수는 CaO$_2$와 특이산성토 피복종자에서 가장 많았다. 5. 본 실험에서 CaO$_2$는 입모가 균일하고 출아 소요 기간도 짧아 담수토중 직파재배에서 벼 종자 분의 재료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특이산성토분의에서도 양호하여 그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었다.

  • PDF

팥 포장출현력 예측을 위한 종자세 검사 (Application of Seed Vigor Test for Predicting Field Emergence in Azuki Bean (Vigna angularis Wight))

  • 정관석;나영왕;심상인;김석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41-349
    • /
    • 2014
  • 경실로 인해 다른 두과작물에 비해 포장 입묘가 불량한 팥의 포장출현율의 효과적인 예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인위로 노화 정도를 조절한 종자에 대해 실험실에서 몇 가지 종자세 검사를 실시하여 포장출현력과 비교하였다. 얻어진 종자세 지표들에 대해 포장출현력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예측을 위한 효율적인 지표들을 도출하였다. 팥에서 종자세가 높을 경우에는 표준발아검사에서의 종자활력률이 포장출현력 예측에 효과적이며, 약간 노화된 종자의 경우에는 저온발아검사(CGT)에서의 비정상묘율과 배축의 길이는 포장출현력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기전도도와 CSVT에서의 활력률과 테트라졸리움 검사에서 종자세와 예측발아율은 포장출현력과 5% 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종자세가 낮은 종자에서는 CSVT에서 불발아종자율이 포장출현력과 5% 수준에서 상관을 보였다. 포장출현력 예측에 효과적인 몇 가지 종자세지수를 이용하여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분석을 실시한 결과 테트라졸리움(TZ) 검사에서의 예측발아율은 결정계수($R^2$)가 0.820으로 포장출현력 예측에 가장 효과적인 검사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표준발아검사(SGT)에서의 종자활력률, 저온발아검사(CGT)에서의 정상묘율과 건물중을 회귀방정식에 추가함에 따라 86.9% 까지 포장출현력 예측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