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bayment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8초

장방형 해분내의 세립 퇴적물 퇴적모형 (Modeling Sedimentation of Fine-grained Sediments in a Rectangular Basin)

  • Hyo Jin Kang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8-44
    • /
    • 1991
  • 간단한 box 모형이 장방형 해분에서의 세립 퇴적물의 퇴적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이 모형에 필요한 침식 및 퇴적률의 계수를 조사하여 남해안 가막양만에 적용하여 보았다. 해분이 외해와 연결되어 있고 외해의 부유퇴적물 농도가 일정하면 해분내에서 한 조석 주기 동안의 평균 부유퇴적물 농도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게 되고 조류의 게류시 부근에는 퇴적이 일어나고 최대 유속시 부근에는 바닥 퇴적물의 재부유 및 침식이 일어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가막양만 처럼 퇴적이 우세한 해분에서는 조석 주기 중 퇴적이 일어나는 시간과 최대 퇴적률이 침식에 비하여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퇴적 우세 해분의 부유퇴적물 평균농도는 외해의 부유퇴적물 농도보다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또한. 조류의 유속변화에 따른 해분내기 부유퇴적물 농도변화는 고조의 약 한 시간 전에 최대값을 나타내고 저조의 약 한 시간 후에 최소값을 나타낸다.

  • PDF

한국 서해안 대조차 만(남해포만)에서의 퇴적양상 (Sedimentation Pattern in a Macrotidal Bay (Namhaepo Bay), West coast of Korea)

  • 이상도;박수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2-339
    • /
    • 1991
  • 고정밀 탄성파자료, 퇴적물시료, 조류를 분석하여 한국서해안 대조차 지역인 남해 포만에서의 퇴적 양상을 조사하였다. 만에서의 현생퇴적층의 두께는 약 20 m 에 달하 며 불규칙적인 음향기반암을 덮고 있다. 퇴적물은 주로 사질 실트나 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균입도는 4-5.5 phi의 범위이고 해안선을 향하면서 세립화하는 경향을 보인 다. 이러한 분포양상은 만에서의 조류의 운동방향과 잘 일치한다. 해저면에서의 조류 의 전단속도는 창조시 0.5-3.3 cm/sec 낙조시 0.7-2.5 cm/sec 의 범위를 보이며, 이러 한 전단속도들의 평균값은 만내에 분포하는 실트입자를 재동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임 계전단속도 값을 능가한다. 이러한 자료들은 조류가 만내에 분포하는 퇴적물 입자들의 이동과 퇴적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저면의 표층지형은 주로 조석퇴적작용에 의하여 결정되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체류시간과 교체시간 계산을 통한 가막만의 시·공간적 해수교환 특성 연구 (A Study on Temporal-Spatial Water Exchange Characteristics in Gamak Bay using a Method for Calculating Residence Time and Flushing Time)

  • 김진호;이원찬;홍석진;박정현;김청숙;정우성;김동명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1087-1095
    • /
    • 2016
  • The concepts of residence time and flushing time can be used to explain the exchange and transport of water or materials in a coastal sea. The application of these transport time scales are widespread in biological, hydro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The water quality of the system crucially depends on the residence time and flushing time of a particle in the system. In this study, the residence and flushing time in Gamak Bay were calculated using the numerical model, EFDC, which includes a particle tracking module. The average residence time was 55 days in the inner bay, and the flushing time for Gamak Bay was about 44.8 days, according to the simulation. This means that it takes about 2 months for land and aquaculture generated particles to be transported out of Gamak Bay, which can lead to substances accumulating in the bay. These results s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ransport time scale and physical the properties of the embay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improves understanding of the water and material transport processes in Gamak Bay and will be important when assessing the potential impact of coastal development on water quality conditions.

한국 서안 장구만에 발달한 조간만대의 퇴적상 및 퇴적구조 (Intertidal Flat Sediments and Charateristic Sedimentary Structures in the Changgu Bay, West Coast of Korea)

  • 김준래;박수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49
    • /
    • 1985
  • 서해안 장구만에 발달하는 조간대에서 24개의 표층시료 및 18개의 코아를 채 취하여 퇴적물의 조직 및 퇴적구조를 조사하였다. 이 조간대 지역은 대체로 silt flat, sandy-silt flat, silty-sand flat 으로 구분되며 해안선에서 바다쪽으로 갈수 록 입도가 조립화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코아의 X-ray촬영에 의해 나타나는 퇴적구 조는 bioturbation, current ripple laminae, parallel laminae등이며 지역에 따라 현저 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Bioturbation구조는 1차적으로 형성된 물리적 퇴적구조를 파괴하고 있으며, 만조선 쪽으로 갈수록 그 정도가 증가하고 있다. current ripple laminae 는 bioturbation정도가 비교적 적은 silty-sand, sandy-silt지역에 잘 나타나 며, 몇번의 창조류와 낙조류에 의해 형성된 미세한 사층리를 잘 보여주고 있다. 내 만쪽에 나타나는 parallel laminae는 silt/clay호층의 두께 1mm이하의 층리로이루어 져 있는 반면, 외만쪽에 나타나는 parallel laminae는 sand/silt/호층의 두께 1~5mm 의 층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PDF

소옥천유역 토양유실 우심지역 선정 및 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and Measures of the Apprehensive Areas of Soil Loss in the So-ok Stream Watershed)

  • 정동환;김해정;이영준;홍선화;윤조희;최희락;조홍래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5호
    • /
    • pp.617-629
    • /
    • 2012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critical areas of a soil loss and propose feasible measures to reduce the water quality deterioration by a soil lose. As a study area, the So-ok stream catchment locating at the upper area of Daecheong Reservoir is selected and intensive field observation was carried out. RUSLE model is applied to assess the impact of the pollution migration by a soil ross from the critical areas during storms on the water quality of Chusori embayment. As results, total amount of the soil ross assessed against to the critical area on which major type of land use is a orchard for fruits is 54.3 ton/ha/yr and that of an abandoned mine site is about 200 ton/ha/year. In particular as effective measures, a plantation of an appropriate species of fruit trees and an application of ecologic restoration schemes are proposed against to the orchard and the abandoned mine site, respectively.

연평도의 해안지형 경관 분석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landforms in Yeonpyeong Island)

  • 서종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23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정학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중요성을 가지는 연평도에 대해 해안지형을 중심으로 지형과 경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평도는 접근성이 제한되어 있고 군사적인 위험 때문에 자연 환경은 잘 보존되어 있지만 기존의 연구 성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4일간의 현지 답사와 실내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한 것이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0개 주요 조사 대상 지형 중 60%인 12개가 1등급으로 판정되어 전체적으로 연평도의 지형적인 가치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연평도는 해안지형은 파식대와 해식애가 특징적인 암석 해안, 만입부에 형성된 퇴적 해안과 해안 충적지, 갯벌지대와 부속 도서 등의 3가지 지형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연평도의 지형은 파랑의 영향으로 인해 북쪽과 서쪽이 높고 동쪽과 서쪽이 낮은 비대칭형이다. 4) 최근 연평도 남단의 갯벌지대에서 행해지는 각종 공사는 우수한 갯벌의 질을 저하시킬 것이다.

  • PDF

가막만에서 분리한 유해성 침편모조류 Chattonella merina (Subrahmanyn) Hara et Chihara (Raphidophyceae)의 성장에 미치는 수온, 염분 및 빛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Harmful Algae Chattonella marina (Subrahmanyn) Hara et Chihara (Raphidophyceae) Isolated from Gamak Bay, Korea)

  • 노일현;윤양호;김대일;오석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87-494
    • /
    • 2006
  •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harmful algae Chattonella marina isolated from Gamak Bay in South Sea, Korea were investigated. C. marina was able to grow in temperatures of $15-30^{\circ}C$ and salinities of 10-35 psu.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0.64/day) was observed with combination of $25^{\circ}C$ and 25 psu. Optimal growth (${\ge}70%$ of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was obtained with all salinities of the above $20^{\circ}C$. This result indicated that C. marina is a stenothermal of the high water temperature and euryhaline organism. C. marina was did not grow at irradiance ${\le} 10{\mu}mol$ photons/($m^2\;s$). Photoinhibition did not occur at $300{\mu}mol$ photons/($m^2\;s$), which was the maximum irradiance used in this study. The irradiance-growth curve was described as ${\mu}=0.78(I-11.4)/(I+34.1)$ at $25^{\circ}C$ and 25 psu. The half-saturation photon flux density (PFD) ($K_s$) was $56.9{\mu}mol$ photons/($m^2\;s$) and compensation PFD ($I_c$) was $11.4{\mu}mol$ photons/($m^2\;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C. marina has advantag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to the interspecific competition at the embayment and costal areas of South and West Sea, Korea in summer.

Depositional Processes of Fine-Grained Sediments and Foraminiferal Imprint of Estuarine Circulation by Summer Floods in Yoja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Lee, Yeon-Gyu;Jung, Kyu-Kui;Woo, Han-Jun;Chu, Yong-Sh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5권2호
    • /
    • pp.109-123
    • /
    • 2000
  • Depositional processes of fine-grained sediments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sediment transport vector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s in Yoja Bay, southern coast of Korea. The bay is a semi-enclosed embayment where extensive mud flats occur with a width up to about 4 km. Most surface sediments are poorly sorted (sorting values: 1.9-3.0 ${\phi}$) mud and silt (mean grain size: 6.0-8.7 ${\phi}$), except for the tidal inlets with basement rocks locally exposed. Grain-size distribution shows a fining tendency toward the basin center near the Yoja Island, implying a possible existence of turbidity maximum and relatively rapid settling of fine-grained sediments. The agglutinated foraminiferal taxa are dominant in the inner bay and decrease in abundance toward the mouth of the bay. Species diversities are higher in the outer bay, due to mixing of the offshore faunas with those of the bay. Four groups of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s, identified by cluster analysis, represent the bay. Biofacies I and ll with relatively lower diversities are dominated by Ammobaculites exiguus and Ammonia beccarii, suggestive of influx of fresh water. In contrast, biofacies III and IV with relatively higher diversities include increased amounts of calcareous genus Elphidium and Quinquelocuzina, accounting for strong influence of sea water from the offshore. The fluvial discharge in summer floods appears to develop a bay-wide, clockwise lateral circulation in Yoja Bay, a typical of well-mixed estuaries. Accordingly, the foraminiferal assemblages of the surface sediments well show a sign of this circulation. The dominant inflow of the offshore water into the western part of the bay has resulted in more extensive muddy tidal flats compared to the eastern narrower counterpart.

  • PDF

양향성 대륙붕의 대륙붕파 (III): 강제파와 황해에서의 바람에 의한 해수순환 (Coastally Trapped Waves over a Double Shelf Topography(III) : Forced Waves and Circulations Driven by Winds in the Yellow Sea)

  • 방익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57-473
    • /
    • 1992
  • 양향성 대륙붕에서 1차 파동방정식은 양 해안경계에서의 바람응력과, 대륙붕폭에 걸친 바람응력의 회전효과를 갖는다. 황해에서 바람응력 회전효과는 대륙붕파를 발생시키는 힘으로서 무시될 수 있다. 켈빈파는 대륙붕파보다 약화될 때까지의 거리가 매우 크기 때문에 황해 북쪽만(별)을 거의 약화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파동특성을 따라 적분하는 수치방법은 반대방향으로 전파되는 파동을 수용하기 위해 조절되었다. 보다 실제와 가까운 해안선을 사용한 결과, 모델재생이 해류에서는 개선되었으나 해수면에서는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 이것은 해수면을 주로 결정하는 켈빈파가 해저지형의 변화에 영향을 극히 적게 받음을 의미한다 보다 개선된 해수면 재생을 위해서는 동지나 해에서 황해로 전파되는 켈빈파의 에너지를 알 필요가 있다. 해안을 따른 순풍류와 골을 따른 역풍류의 기본구조는 계절풍에 의해 발생하는 황해의 계절순환을 뒷받침한다.

  • PDF

Relative Microalgal Concentration in Prydz Bay, East Antarctica during Late Austral Summer, 2006

  • Mohan, Rahul;Shukla, Sunil Kumar;Anilkumar, N.;Sudhakar, M.;Prakash, Satya;Ramesh, R.
    • ALGAE
    • /
    • 제24권3호
    • /
    • pp.139-147
    • /
    • 2009
  • Microalgae using a submersible fluorescence probe in water column (up to 100 m) were measured during the austral summer of 2006 (February) in Prydz Bay, East Antarctica (triangular-shaped embayment in the Indian sector of Southern Ocean). Concurrently,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and nitrogen (nitrate, ammonium, urea) uptake rates wer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is relatively high due to availability of high nutrients and low sea surface temperature. Phytoplankton community is dominated by diatoms whereas cryptophytes are in low concentration.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total chlorophyll is 14.87 ${\mu}g\;L^{-1}$ and is attributed to upwelled subsurface winter water due to local wind forcing, availability of micro-nutrients and increased attenuation of photosynthetically available radiation (PAR). Concentration of blue-green algae is low compared to that of green algae because of low temperature. Compar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yellow substances is due to the influence of Antarctic melt-water whereas cryptophytes are low due to high salinity and mixed water column. Varied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at different times of Fluoroprobe measurements suggest that the coastal waters of Prydz Bay are influenced by changing sub-surfac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ue to subsurface upwelling induced by local winds as also melting/freezing processes in late summer. The productivity is high in coastal water due to the input of macro as well as micro-nutr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