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bayment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4초

대청호 정체수역의 수질예측과 관리 (Management of Water Quality of Embayments in Daechong Reservoir)

  • 이종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3권2호
    • /
    • pp.33-45
    • /
    • 1994
  • Water quality of Chongju and Daejeon Water Intake Tower Region, embayments in Daechong Reservoir was found to be worse than that of main lake after analysis of water which were sampled during April, July, October in 1993. Concentration of COD and SS at those two water intake tower sites were 2.8-5.6 mg/l and 2.2-3.2 mg/l, higher than that of main lake. T-N concentration of those two sites was 1.1-1.9 mg/l similar to that of main lake, and T-P concentration of those two sites was 0.14-0.18 mg/l, higher than that of main lake. This study used water quality model of embayment which can analyse pollutant loads from stream and surrounding land use, advection, decay, and diffusion transport between embayment and main lake. The model can predict water quality of embaym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pollutant load, water elevation of embayment, quantity of water intake in order to suggest water quality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s embayment water quality management alternatives, 1) construction of waste water treatment facilities at embayment and main lake for the decrease of pollutant loading, 2) water intake at main lake less polluted or eutrophicated than embayment, and 3) outflow elevation selection for polluted hypolimnion water outflow during stratification.

  • PDF

한강 유역과 경기만 퇴적환경의 연계성 (Sedimentologic Linkage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Han River and Kyunggi Bay, Korea)

  • 오재경;방기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3호
    • /
    • pp.225-236
    • /
    • 2003
  • 한강 유역에서 하천과 하구-만의 퇴적환경의 연계성과 한강본류의 퇴적환경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230여 점의 표층퇴적물과 70여 점의 부유퇴적물과 수리학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신곡수중보를 기준으로 두 가지 환경(하천, 하구-만)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남한강과 북한강에는 역질 퇴적상이, 한강 본류는 사질과 실트질 퇴적상이 우세하게 븐포하였다. 한강 본류 지역은 신곡수중보에 의한 제한적인 퇴적물 이동과 에너지 환경에 의해 퇴적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하구-만 환경에 있어서, 수로와 외해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조립한 퇴적물이 우세한 반면에, 연안지역은 세립하고 분급도가 불량한 퇴적물이 우세하게 분포하였다. 하천과 하구-만의 연계성은 인공 구조물에 의한 흐름의 제한에 의해서 영향받기 때문에, 평수기에 각 하천은 개별적인 퇴적환경을 나타내며, 하천과 하구-만의 연계적인 퇴적환경은 조석에 영향을 받고, 하구-만의 전이적인 지역은 하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풍수기에 각 하천은 하천 유량의 증가에 의해, 연계적인 퇴적환경을 나타내며, 하천-하구-만의 각각의 전이지역은 외해방향으로 이동함을 시사한다. 보다 자세한 연구를 위해서는 신곡수중보 하류의 하구지역에 대하여 남북한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환경친화적 항만건설을 위한 항내 희석률 예측 (Prediction of a Flushing Rate in an Embayment System for 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ally Sound Harbor)

  • 정미훈;박석순
    • 환경영향평가
    • /
    • 제9권3호
    • /
    • pp.215-228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method to predict a flushing rate in an embayment system, which can be utilized to assess an environmental impact caused by harbor construction. The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Ulsan-Onsan coastal area. The flushing rate was computed on the basis of water quality changes predicted by US Army Corps of Engineers' RMA-2/RMA-4 models. After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to the measured tidal elevation and current velocity, the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flushing rate in the proposed harbor. The water quality was simulated for 96 hours and the flushing rate was compu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harbor would significantly reduce the flushing rate in the Onsan harbor, especially at the small embayment area near the south breakwater. The flushing rate was evaluated for several alternatives, of which the tidal flow channel of 1,000 $m^2$ in the south pier appeared to be the best mitigation measur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prediction of flushing rate would be a novel method to assess a water quality impact caused by harbor construction.

  • PDF

낙동강 하구 만입지의 지형발달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mbayment Area at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 양재혁;조국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49-665
    • /
    • 2011
  • 우리나라 동남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낙동강 하구 만입에는 대규모의 충적지형이 발달되어 있다. 외형적으로 이들은 하천과 해양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델타의 성격을 보이지만 만입 충적물의 퇴적층후는 일반적인 델타와는 다른 층서적 특징을 나타낸다. 이들의 발달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남-북, 동-서 횡단면의 총 108개 지점의 시추 주상도를 검토하고 이 중 53개 지점에 대해서는 층후, 구성물질, 패각의 존재유무, 퇴적상을 도식화하고 연대분석(AMS)을 시도하였다. 지형적 배경, 구성물질의 특징과 규모, 층서적 특징, 연대측정 결과를 고려할 때, 낙동강 하구 만입 충적지는 지구조 운동에 의해 다양한 방향의 산지들이 만입을 형성한 후, 여기에 사면 쇄설성 물질, 하천 퇴적물, 홀로세해진시기의 해양퇴적물($7830{\pm}40BP{\sim}5680{\pm}50BP$)이 시기와 공간을 달리하며 퇴적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 PDF

낙동강하구 연안수역의 세균 생산성과 환경요인의 영향 (Heterotrophic Bacterial Secondary Productivity and Effect of Environmental Parameters is Naktong Embayment Korea)

  • 김미정;윤인길;정익교;권오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5-129
    • /
    • 2000
  • 낙동강 연안 수역에서 세균의 생산성과 생산물량을 측정하여 미생물의 먹이고리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미생물학적 요인과 주요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다. 낙동강 연안 수계는 겨울철 갈수기에 유입되는 부영양화 담수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종속영양세균과 총세균의 개체수는 각각$5.4{\times}10^2 ~ 3.2{\times}10^4, 2.2{\times}10^5 ~ 9.8{\times}10^5 $cells/ml이었으며, 세균의 평균 체적과 생물량은 각각 0.023~0.201$\mu$$m^3$/cell, 0.010~0.140$\mu$g-C/ml로 정점별, 계절별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체적과 총세균수가 반비례하였다. Thymidine pool size는 12.93~44.66nM로, 동계에 비해 하계에 세균이 이용하기 쉬운 pool로 이루어져 하계의세균 이차 생산성 측정치가 과소 평가될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종속영양세균의 이차생산성은 0.12~22.38$\mu$g-C/l/h의 변화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담수 유출부와 인접한 정점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동계에 세균 생산성의 분포는 엽록소 a 및 수온 변화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또한 세균 생산량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조사 수역에서 측정된 세균 생산성의 상당 부분은 식물플랑크톤의 공합성 산물을 이용하는 세균 생물량의 증가임을 알 수 있다.

  • PDF

옥천천 유역의 하천과 만곡부에서 조류 생장 잠재력 측정 (Algal Growth Potential Test (AGPT) in Streams and Embayment of the Okchon Stream Watershed, Korea)

  • 신재기;김동섭;이혜근;맹승진;황순진
    • ALGAE
    • /
    • 제18권2호
    • /
    • pp.169-176
    • /
    • 2003
  • Algal growth potential test (AGPT) bioassay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stream and reservoir water in the Okchon Stream Watershed during May to September 2002. The water quality of the stream water was clean in the upstream, deteriorating toward the downstream. In particular, SRP and $NH_4$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treated wastewater. The average AGPT value of the Okchon Stream watershed was 22.4 mg dw ${\cdot}l^{-1}$, with the range of 0- 195.7 mg dw ${\cdot}l^{-1}$. AGPT value was the highest immediately after inflow of treated wastewater, averaging 91.3 mg dw${\cdot}l^{-1}$. AGPT was highly correlated with SRP, $NH_4$ and TIN factors, with P having the greatest effect on the growth of algae. Among N components, $NH_4$ was preferred to $NO_3$ for the growth of algae. Likewise, AGPT was closely linked to meteological and hydrological effects and development of natural phytoplankton. In survey stations, mesotrophic, eutrophic and hypertrophic conditions accounted for 43%, 21% and 36%,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hypertrophic condition focused on the downstream reaches. AGPT was useful in determining not only the limiting nutrients but also the water fertility for the growth of algae. Based on the AGPT results, the management of point sources for water pollution in treated wastewater was important in the protection of aquatic environment in the stream and embayment.

작은 만에서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생산력 변화에 대한 외부 물의 정기적인 침입 효과의 모델링 (Modeling the Effects of Periodic Intrusions of Outer Water on the Variation in the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 in a Small Embayment)

  • Ougiyama, Shu;Koizumi, Tsuneyoshi;Takeoka, Hidetaka;Yuichi, Hayami
    • 생태와환경
    • /
    • 제37권4호통권109호
    • /
    • pp.455-461
    • /
    • 2004
  • 본 연구는 Kitanada 만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의 변동기구에 대한 세기와 주기성이 다른 두 가지 형태의 외양수유입 (급조(急潮) 및 bottom intrusion)의 영향을 만의 환경조건을 고려한 수식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외양수 유입의 간격이 길어지고 진폭이 작아짐에 따라 만 내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이 커졌으나, 이와는 반대로, 유입간격이 짧아지고 진폭이 커질수록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률은 높아졌다. 이 결과는 유입이 약해짐에 따라 만의 해수교환이 감소하고 만내의 식물플랑크톤이 높은 밀도로 축적됨을 시사하였다. 또한, 외양수유입에 의해 해수교환이 활발해짐에 따라 빛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률이 향상되었다.

인천항 선거내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Inchon Dock, an Artificially Closed Marine Embayment Facing the Yellow Sea, Western Korea)

  • 김세화;이진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6-382
    • /
    • 1994
  • 인공적으로 폐쇄된 생태계인 인천항 선거내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출현 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9년 12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매월 5개 정점(선거내 4개 정점 및 선거밖 1개 정점)에서 정량 채집을 하였다. 늦은 가을과 이른 겨울에 원생동물이 대량 출현한 것을 제외하면 요각류가 선거 안팎 모두에서 우점하고 있었다. 우정종은 Oithona davisae, Acartia bifilosa, Paracalanus crassirostris, Noctiluca scintillas and Tintinnopsis tubulosa 등이었는데 1990년 여름에는 산소부족으로 인 하여 선거내에서 A. bifilosa를 제외하고는 모두 소멸하였다. 1990년 여름을 제외하고 는 선거 안팎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량 차이가 뚜렸하지 않았으나 선거밖에서 연중 출현 종수가 많았는데 특히 Centropages abdominalis, Pseudodiaptomus marinus, Tortanus forcipatus, T. spinicaudatus 등 4종의 요각류는 선거 밖에서만 출현하였다.

  • PDF

10여년간의 서남극 아문젠해 관측과 연구: 방사성탄소동위원소 값을 중심으로 (Decadal Observation and Studies in the Amundsen Sea, Antarctica: Insights from Radiocarbon Values)

  • 김민경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83-97
    • /
    • 2022
  • The Amundsen Sea in West Antarctica is one of the most affected regions by climate change, but it is one of the least studied realms due to difficulties in access.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KOPRI) launched a research project in the Amundsen Sea in 2010 using the icebreaker research vessel (IBRV) Araon and has been conducting various research initiatives. In this paper, previous researches derived from the Amundsen Sea Embayment by Korean researchers are introduced. Through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have been able to interpret the environmental and biogeochemical changes according to the inflow Circumpolar Deep Water (CDW) and provide information for climate models. In particular, researches using radiocarbon isotopes (14C) were introduced to understand the physical and biogeochemical mechanisms of the carbon cycle in the Amundsen Sea. Opportunely, with the construction of a second icebreaker research vessel, the direction for systematic and long-term polar data acquisition can b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