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유역과 경기만 퇴적환경의 연계성

Sedimentologic Linkage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Han River and Kyunggi Bay, Korea

  • 발행 : 2003.08.01

초록

한강 유역에서 하천과 하구-만의 퇴적환경의 연계성과 한강본류의 퇴적환경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230여 점의 표층퇴적물과 70여 점의 부유퇴적물과 수리학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신곡수중보를 기준으로 두 가지 환경(하천, 하구-만)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남한강과 북한강에는 역질 퇴적상이, 한강 본류는 사질과 실트질 퇴적상이 우세하게 븐포하였다. 한강 본류 지역은 신곡수중보에 의한 제한적인 퇴적물 이동과 에너지 환경에 의해 퇴적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하구-만 환경에 있어서, 수로와 외해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조립한 퇴적물이 우세한 반면에, 연안지역은 세립하고 분급도가 불량한 퇴적물이 우세하게 분포하였다. 하천과 하구-만의 연계성은 인공 구조물에 의한 흐름의 제한에 의해서 영향받기 때문에, 평수기에 각 하천은 개별적인 퇴적환경을 나타내며, 하천과 하구-만의 연계적인 퇴적환경은 조석에 영향을 받고, 하구-만의 전이적인 지역은 하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풍수기에 각 하천은 하천 유량의 증가에 의해, 연계적인 퇴적환경을 나타내며, 하천-하구-만의 각각의 전이지역은 외해방향으로 이동함을 시사한다. 보다 자세한 연구를 위해서는 신곡수중보 하류의 하구지역에 대하여 남북한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depositional environment between fluvial and estuarine-embayment in Han River system, including depositional change in main Han River, more than 250 bottom sediment and 70 suspended sediment were analyzed with hydrologic data. Based on the previous data, the study area can be divided into two environment(fluvial and estuarine-embayment) by Singok underwater dam. The gravelly facies occurs in the South and North Han Rivers and sandy and silty facies occupies in the main Han River. Depositional environment of main Han River changed mainly because of limited sediment transport and hydrological condition. In the estuarine-embayment environment, coarse-grained sediments are dominant in tidal channel and of shore whereas fine and poorly sorted sediments are observed in coastal area. During moderate period, relationship between fluvial-estuarine-embayment system is discontinuou s because of flow restriction by artificial construction such as dam and underwater dam, so that each river system characterizes the individual environment. Fluvial and estuarine system is influenced by tide and, thus, transition zone of estuarine- embayment system moves landward. During flooding period, however, each river system is integrated as continuous depositional system by high discharge and, thus, transition zone of fluvial-estuarine-embayment system moves seaward. For further detailed systems about the lower Singok under-water dam, joint research of South-North Korea should be necessary.

키워드

참고문헌

  1. 북한강, 안성천 유역 유량측정보고서 건설교통부
  2. 한강(하류) 및 임진강 유역 유량 측정 보고서 건설교통부
  3. 한국수문조사연보(우량편) 건설교통부
  4. 남한강 유역 유량 측정 보고서 건설교통부
  5. 지구과학회지 v.5 서해 경기만에서 주요 수질변수들의 분포특성 김나영;김기현;박경
  6. 대한토목학회지 v.2 한강종합개발사업공사 보고서 김재경
  7. 광산지질학회지 v.3 경기만 해저지층구조에 대하여 김철민
  8. 한강수로측량 용역보고서 대한조선공사(KSEC)
  9. 환경지질학회지 v.6 영종도 비고화 퇴적물의 점토광물 조성 및 기원에 관한 연구 문지원;문희수;송윤구;이규호
  10. 대한지질학회지 v.4 한강하류의 현생퇴적물에 대한 고찰 박용안
  11.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강하구역에서의 점토광물에 대한 연구 박정기
  12. 한국해양학회지 v.4 한강하구 및 경기만에서의 점토광물에 대한 연구 박정기;오재경
  13.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남한강 중.상류 분지의 지형연구 박희두
  14. 한국해양학회지 v.3 경기만에 발달한 조류성사퇴의 역사 및 특성 방효기;이호영;장정해;이치원;오재경
  15. 인하대 석사학위논문 부유퇴적물 이동량에 따른 한강하구 염하수로의 퇴적작용에 관한 연구 백정윤
  16. 광산지질학회지 v.3 한강유역의 현생퇴적물에 관한 연구 소칠섭;이기형
  17. 인하대 석사학위논문 경기만 남동 해역에서의 표층퇴적물에 대한 퇴적학적 연구 송성문
  18.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평수시 한강과 임진강에서의 조석전파 특성연구 신영재
  19. 한국과학기술재단 보고서 경기만 주변에서 1차적 퇴적구조와 조직의 조사에의한 퇴적환경적 연구 오재경
  20. 황해연구 v.2 한강개발 이전 한강하구와 경기만에서의 퇴적환경 오재경
  21. 한국지구과학회지 v.1 한강 하구 염하수로에서 부유퇴적물의 퇴적작용 오재경
  22.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3 경기만 퇴적물의 중금속 분포 특성 이종현;이정석;김범수;이창복;고철환
  23. 한국 서.남해연안 조간대의 종합 조사연구(Ⅰ) BSPG0073-227-5 유흥룡;한상준;홍기훈;이희준;신동혁;안충현;이경국;윤호일;제종길;지상범;석봉출;홍제상
  24.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남한강의 하안단구에 관한 연구 임창주
  25.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경기만에서 수치모델링을 이용한 한강수 유입 연구 임효혁
  26. 연안환경도 작성연구(경기만:해양지질분야) 장순근;이창복;석봉출;정태몽;유흥룡;김성열;이경신
  27. 인하대 이학석사 학위논문 한강종합개발 이후 한강하구 및 경기만에서 퇴적환경의 변화 장현도
  28. 한국해양학회지 v.1 한강종합개발 이후 한강하구 및 경기만의 퇴적환경 장현도;오재경
  29.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에서의 퇴적학적 연구 전종승
  30. 광산지질학회지 v.3 남한 충적층의 통계학적 지질연구 정봉일
  31. 한강 수로 조사 용역 보고서 한강관리사업소
  32. 서울-남천점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33. Estuaries. Am. Assoc. Adv. Sci. Circulation and diffusion Bowden,K.F.;G.H.Lauuff(ed.)
  34. Estuaries: Aphysical introduction Dyer,K.R.
  35.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Folk,R.L.
  36. J. Sed. Pet. v.2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 Follk,R.L.;W.C.Ward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37. J. Oceanol. Soc. Korea v.27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K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Lee,C.B.;H.R.Yoo;K.S.Park
  38. J. Coastal Re. Spec. Iss v.25 Variation of the Resuspension Coefficients in the Lower Chespeake Bay Maa;J.P.Y.;Lee,C.H.
  39. J. Sed. Pet. v.4 The effects of sediment transport on grain size distribution McLaren,P.;Bowles,D.
  40. Esturaine hydrography and sedimentation Suspended sediment McCave,I.N.;K.R.Dyer(ed.)
  41. Landward transport of bottom sediments in estuaries of the Atlantic Coastal Plain Meaed,R.H.
  42. J. Sed. Pet. v.47 Response and recovery of an estuary following a river flood Nichols,M.M.
  43. Coastal sedimentary environments(2nd. ed.) Estuaries Nichols,M.M.;Biggs,R.B.;R.A.Davis,Jr.(ed.)
  44. Mar. Geol. v.40 Physical dynamics of estuarine suspended sediments Officer,C,B. https://doi.org/10.1016/0025-3227(81)90039-6
  45. Am. A.P.G. v.41 Texture as characteristics of clastic deposition Passega,R.
  46.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50 Influence of Atchafalaya River Discharge and Winter Frontal Passage on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and Flux in Fourleage Bay, Louisiana. Perez,B.C.;Day,J.W.Jr,;Rouse,L.J.;Shaw,R.F.;Wang,M. https://doi.org/10.1006/ecss.1999.0564
  47. Estuaries. Am. Assoc. Adv. Sci. Sediment transport and sedimentation in the estuarine environment Postma,H.;G.H.Lauff(ed.)
  48. Sci. Total Environ. v.194;195 Rivers and coastal research in the Land Ocean Interaction Study. Wilkinson,W.B.;Leeks,G.J.L.;Morris,A.;Walling,D.E.
  49. China. catena v.38 Grain-size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ediment in the Yellow River Xu,Jiongxin
  50. 한국과학기술재단 보고서 한강종합개발 이전의 한강하구에서 퇴적환경과 광물자원에 관한 연구 오재경
  51. J. Sed. Pet. v.14 Sediment transport in a coastal plain estuary Nichols,M.M.;P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