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vator safety factor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6초

승강기 관리시스템 운영 시 안전요소에 관한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Safety Factors at Elevator Management System Operation)

  • 박주봉;신승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59-162
    • /
    • 2014
  • 최근 추세를 중심으로 특허청 분석에 따르면 12~08년 최근 5년 사이 엘리베이터 안전관련 특허출원이 급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본 논문은 13~09년 사이 승강기 안전 관련 특허자료를 취합 및 분석 후 시대별로 공통적으로 중요시 되는 승강기 안전요인이 안전제어, 비상제동, 도어개폐장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뢰성 분석을 통해 승강기 안전에 있어서 가중치가 높은 항목을 이 세 가지로 정의하고, 특허가 많이 출원된 요인을 시대적 배경을 통해 알아보고, 5년간의 자료를 기반으로 승강기 안전에 대한 사고예방기술을 종합하여 키넥트 장착 스카다시스템 승강기를 향후 승강기 제작 방향으로 제시한다.

승강기 검사주기 조정을 위한 안전품질 등급제 핵심항목 선정 및 중요도 평가 (Determination of Key Factors and Evaluation of Their Importance in the Elevator Safety Quality Rating System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Elevator Inspection Cycle)

  • 노경민;한관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70-78
    • /
    • 2022
  • Recently, elevator inspection and self-examination were strengthen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levator Safety Management Act, but there have been no significant reduction in serious accidents and major failures. Therefore, the government intend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flecting the safety quality rating system, which adjusts the elevator inspection cycle, as a policy to induce safety management of preemptive and active management entities.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and classified the safety quality rating system for elevator inspection cycle adjustment in previous studies, collected expert opinions, and reconstructed the key items into realistic evaluation items, and evaluated and scor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 through the AHP technique.

IOT기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안 (Propose of Elevator System for Effective Management based on IOT)

  • 박주봉;신승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63-167
    • /
    • 2014
  •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사고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안전사고 요인으로 이용자의 과실 부주의가 60%를 차지하여 안전한 엘리베이터 사용을 위한 수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은 현재 엘리베이터 안전점검의 기준 및 사고 발생율을 살펴보고 기존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구조와 자체 결함 감지 및 알림기능의 IOT기반 스마트 관리시스템 구조의 차이를 확인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전문가 집단의 의사결정을 통해 IOT 기반 스마트 관리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기대되는 관리 효과에 대해 신뢰성 검증을 한 뒤 기존 엘리베이터 안전사고의 주된 요인인 이용자의 과실 부주의에 대한 구체적 대안으로 제안한다.

전문가의 의사결정을 이용한 안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안 (A Proposition on Elevator Safety System using Expert's Decision)

  • 박주봉;신승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21-125
    • /
    • 2014
  • 최근 엘리베이터 급발진 사고로 인해 엘리베이터 시스템 안전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이 더욱 집중되고 있고 또한 전통산업의 고도화를 위한 노력으로 IT융합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안전에 대한 개념을 위험요소를 찾아내어 그 요인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설치에 대한 기준 및 관련 법규를 살펴본 뒤, 전문가의 의사결정을 통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용자과실 부주의 및 융합적 오류를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추출하여 IT융합기술을 도입한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기술을 보안책으로 제시할 시 기대되는 효과에 대해 전문가의 의사결정을 통해 신뢰성 검증을 하고 이를 구체적 대안으로 제시한다.

엘리베이터 오버밸런스율 제어와 안전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levator Overbalance-Ratio Control and Improved Scheme for Safety)

  • 이호철;최영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785-2792
    • /
    • 2013
  • 엘리베이터는 도르래와 와이어로프 사이의 마찰력으로 구동된다. 균형추는 카의 반대편에 와이어로프로 연결되어 있다. 도르래를 기준으로 항상 무게의 불균형이 발생되는 이러한 구조는 엘리베이터 구동의 핵심이 된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오버밸런스는 구조적 효율과 안전성 요인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국내의 승강기 검사 기준에는 아직까지 이러한 부분이 명확하게 기준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이러한 무게 불균형율 제어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현재 엘리베이터 유지관리 현황을 분석해 보고 안전을 위한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용 시스템 비계의 구조 성능 평가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ystem Scaffolding for Elevator Installation Work)

  • 황종문;이기열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61-68
    • /
    • 2023
  • This study performed a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system scaffolding for elevator installation work developed in previous studies. The structural performance was evaluated via a structural test conducted to apply the working load specified in the design standard. The deflec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stress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system scaffolding were measured. Consequently, the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including structural behavior and required performance was performed using the deflection and stresses measured from the structural test. The structural test and safety evaluation results based on the heavy working load corresponding to the design load indicated that the deflection, which is the performance criterion of the horizontal member, did not exceed the allowable value. Further, each member's stress, which is a safety evaluation indicator, did not exceed the allowable strength for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members with bending behavior and fordable bracing with tensile behavior, while also satisfying the required safety factor. In addition, the results confirmed the safety against deformation, partial damage, and destruction owing to excessive and maximum load. Therefore, the system scaffolding developed in this study satisfies both the structural performance and safety required by the design standards; thus, it can be applied to elevator installation work sites.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유량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for the Flow Coefficient of Elevator Shaft)

  • 김학중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48-157
    • /
    • 2012
  • 최근 건축물이 대형화, 복잡화되면서 건축물내 거주자의 피난안전성이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주상복합건물을 비롯하여 초고층 건물의 건축이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초고층건물의 경우 화재 발생 시 계단을 통한 피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장애인의 경우 계단을 통한 피난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이에 거주자의 피난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엘리베이터를 피난에 이용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연기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엘리베이터 운행 시 엘리베이터와 승강로 사이의 유량계수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유량계수는 엘리베이터 피스톤효과를 계산하는 주요 인자로서 본 연구의 결과는 엘리베이터 피스톤 효과에 대한 연구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 가능하다. 유량계수 시뮬레이션은 상용 CFD 프로그램인 FLUENT를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평균 유량계수 값은 0.93이며, 엘리베이터 샤프트 표면이 매끈하게 모델링되어 있으므로 손실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0.88이라는 유량계수 값을 얻었다. 현장 실험을 통하여 얻은 유량계수 결과값은 0.86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실험 결과 값이 보수적임이 검증되었다. 침투 저항성은 약 80~90%의 성능을 보여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왔다.

사고분석 및 카이제곱 통계량을 이용한 승강기 안전성제고 방안 (A Study on the Safety Improvement Methodology of Lifts using Chi-Square Statistics)

  • 권순걸;김창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56-163
    • /
    • 2015
  • The number of the lifts installed and used in Korea totals up to 526,676 units as of the end of December 2014, due to the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of this country. Since the lift is one of the convenience facilities and especially a kind of essential transportation facilities used by a majority of passengers everyday, it is necessarily required to manage the lift safe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5 factors(kinds of lifts, ages of victims, causes of accidents, seasons in accidents, usages of buildings) affecting the types(caught in, trip over, falling, collision) and the injury levels(death, serious injury, minor injury) of the lift acci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otal victims of 1,514 people due to the 1,146 accidents which have occurred for the past 15 years, and to find the frequency and ratio of each factor in the accidents, and to make a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s that there exis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가속열화시험 데이터를 활용한 엘리베이터 와이어로프 수명 예측 (Life Estimation of Elevator Wire Ropes Using Accelerated Degradation Test Data)

  • 김승호;김상부;김성호;함승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10호
    • /
    • pp.997-1004
    • /
    • 2017
  • 엘리베이터 와이어로프의 수명은 제품의 매우 중요한 특성 가운데 하나로서 사용자의 안전 및 장비의 정비 정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엘리베이터 와이어로프의 수명을 사용조건에서 측정하는 것은 매우 비경제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엘리베이터 와이어로프 (8x19W-IWRC)의 가속열화시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와이어로프의 수명을 추정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굽힘피로시험기를 이용하여 가속열화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가속변수로는 인장하중을 사용하였다. 와이어로프의 수명은 대수정규분포를 가정하였고, 선형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가수명을 구한 후 가속수명모형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의 수명을 추정하는 방법과 고장 확률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두 모형의 수명 추정결과를 비교하였다.

하중 분산형 엔드리스 와인더와 통합형 제어반을 적용한 육상 해상 풍력타워 승강기 개발 (Development of Onshore Offshore Tower Elevator with load distribution endless winder and integrated control panel)

  • 이상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711-719
    • /
    • 2019
  • At present, wind power is the fastest growing technology in the world. The domestic market depends heavily on imports for wind tower lift. so it manage through the overseas maker. The lift manufactur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utility is increasing, localization development of one wind tower lift is necessary with domestic fundamental base technique. In this paper, we will study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onshore offshore wind tower elevators, which are currently dependent on total imports, in line with the high growth of the wind market and the enlargement of the wind power generators. First of all, endless winders and cabins, which are the core components of the offshore wind tower lift, were examined for the components that affect the structural safety.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on Sheave, which is responsible for most of the lift lifting loads, and Block Stop, a safety device that prevents the cabin from falling in an emergency. The structural suitability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the safety factor. In addition, the on-board control panel combines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and the drive motor driving the endless winder for efficient control of the offshore wind tower lift. The addition of features improves ride comfort at depar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