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vation Type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1초

GIS를 이용한 산지의 능선구분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Ridge Distinction Program of The Mountainous Districts using GIS Program)

  • 박영규;권순덕;김태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7-96
    • /
    • 2007
  • 본 연구는 산지관리법의 산지전용허가기준 중 산지표고기준을 개선하기 위해 GIS를 이용하여 능선구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능선구분 프로그램은 산지를 구분하기 위해서 집수면적이 30ha 되는 지점의 유출구를 산자락 하단부로 가정하였고, 산정부를 구분하기 위해서 5부 능선을 적용하였다. 능선구분에서의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임상도를 이용하여 산지가 아닌 지역을 제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현행 산지관리법을 적용했을 경우 약 3%($30,956m^2$)가 5부 능선이상 지역으로 분석된 반면에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약 58%($696,300m^2$)가 5부 능선이상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정부 및 산자락 하단부 기준의 적용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능선구분 프로그램을 시 군에 보급하기 위해서는 산정부 및 산자락 하단부 기준의 객관성을 입증해야 하며, 제도적으로 능선구분개념을 수정해야만 할 것이다.

  • PDF

인터넷 기반의 아파트 리모델링 및 자동 내역산출을 위한 시뮬레이터 디자인 연구 (The Study on the Internet-based Virtual Apartment Remodeling and Auto Estimation Simulator)

  • 서재은;김성곤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91-202
    • /
    • 2002
  • 최근 다양한 가족유형이 일반화되어가면서 현재 웹상의 주거공간 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와 함께 다양하게 표출되는 사용자 요구에 충족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형식의 주거 공간 리모델링 제안이 이루어져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거주자 생활 패턴 변화에 대응하는 주거 공간의 제안과 웹 구조상치 설계 및 리모델링의 과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반 가상아파트 리모델링 지능형 서비스 시스템- 사용 시나리오와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여 리모델링 자동 내역 산출을 위한 시뮬레이터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진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하여 리모델링의 범위 및 유형 분류로 가능하게 된, 전반적인 리모델링 개념과 기존 범람되어지고 있는 용어들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로 본 연구의 기본모델인 아파트의 공간 가변화를 고정 요소와 가변 요소로 분류하여 실제적 가변벽체의 적응성과 유연성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 현장 공사단계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상담, 마감재, 가견적, 실견적의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이다. 그 데이터베이스는 다이아그램 계층구조와, 모델을 리모델링 할때 생성되는 일위대가 및 물량 산출 내역 근거표에 기초하여 소개되었다. 마지막으로 기 개발된 시스템을 활용하여 리모델링 시뮬레이터의 시스템 구조도와 사용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시스템의 디자인 대안을 탐색하고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프로토 타입을 제작하여 기존 온라인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정보 누락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 PDF

벼 장해형 내냉성의 조합능력검정과 선발효과 (Combining Ability Analysis and Selection Effectiveness for Tolerance to Cold-Induced Sterility in Rice)

  • Huhn Pal, Moon;J. Neil, Rutger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2-419
    • /
    • 1988
  • 수도의 냉해는 그 재배기간에 저온이 발생되는 수도재배지역에서 중요한 생산저해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도작기간동안의 기상은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발생되는 냉해양상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냉해는 저수온에 의한 생육의 지연 및 저기온에 의한 불일발생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내냉성 품종육성효율을 높이기 위한 유전정보를 얻고저 내냉성정도가 서로 다른 9개 품종의 이면교잡된 36조합 F$_1$, F$_2$, F$_3$, 상호여교배집단 및 모본집단을 공시하여 장해형내냉성에 대한 조합능력, 작물학적 형질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F$_2$집단의 선발효율을 평가하였다. 불임발생정도로서 평가된 장해형내냉성은 상가적 유전분산이 주종이었으나 비상가적 유전분산 역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내성성이 강한 모본인 M 101과 L201이 일반조합능력(GCA)이 높았는 반면, 약한 품종인 7703008에서 가장 낮았다. 장해형내냉성은 출수기, 간장 및 수당립수와 관계가 있었는데, 출수가 빠를수록, 간장이 클수록 그리고 수당립수가 많을수록 내냉성이 강한 경향이었으며, 특히 출수기의 영향이 가장 높았다. 비교적 내냉성이 강한 M101과 교배된 7조합에서 F$_2$개체 선발이 내냉성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때 내냉성에 대한 평균유전력(Realized heritability)은 0.53이었고 저온불임에 대한 선발효율은 -9.4%였다.

  • PDF

초기 구강설암 환자에서 부분 설절제술 후 조음변화 (Articulation Changes after Partial Glossectomy in Patients with Early Tongue Cancer)

  • 이길준;염혜연;이강규;이은경;손영익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2-47
    • /
    • 2010
  • Backgrounds and Objects: Carcinoma of the tongue is the most common cancer of the oral cavity. A primary treatment strategy includes surgery and/or radiotherapy. Resection of the tongue often results in speech dysfunction, which depends on the site and extent of resection, type of reconstruction, and the mobility of remaining tongu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articulation errors that were resulted from the partial glossectomy without free flap reconstruction. Materials & Method : Articulation evaluations including speech intelligibility and percent of correct consonants (PCC) were performed for 24 patients who underwent partial glossectomy for their T1 or T2 tongue cancer. Mobility of the tongue, size of the resected tongue, and the history of adjuvant radiotherapy were analyzed for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sults of articulation evaluation. Results: Speech intelligibility score was $6.4{\pm}0.9$ (on 7-point scale) and overall PCC was 96.9%. There wer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size of resection and limitations in the tongue mobility, especially in "protrusion and elevation (r=-0.687)" and "retroflexion (r=-0.775)". Errors in "alveolar fricatives" and "palatal affricates" were also closely related with the size of resection (r=-0.537 and -0.538, respectively). PCC for "liquid sound" /r/ was 83.2%, which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history of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 Overall articulatory function was satisfactory in cases of early tongue cancer after partial glossectomy of a limited volume without flap reconstruction. However, the size of resection and the history of radiation therapy were closely related to the limitations in some types of tongue mobility and the resultant articulation errors.

  • PDF

어느점 내림 현상에 대한 교과서 내용 및 중등 과학 교사들의 개념 분석 (The Analysis of Textbook Contents and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n Freezing Point Depression Phenomenon)

  • 하성자;김범기;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8-97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어는점 내림에 대한 과학교과서의 설명 방식과 과학 교사들의 개념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교과서는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중학교 2학년 과학교과서 7종과 고등학교 화학 II 교과서 5종이었다. 교사들의 개념은 설문지를 통해 얻었으며, 연구 대상 교사의 수는 146명이었다. 교과서의 설명 유형은 '현상을 묘사' 하는 것과 '증기압 내림으로 설명' 하는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대부분의 중학교 교과서와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현상을 묘사하는 수준으로 어는점 내림을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또한 어는점 내림을 설명하는 그래프의 내용도 교과서마다 달랐다. 교사들 역시 어는점 내림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질의 방해로 어는점 내림 현상을 이해하는 교사들도 많았다. 그러나 끓는점 오름 현상을 설명할 때 도입되는 이러한 개념이 어는점 내림에서는 어떻게 관련되는지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어는점 내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엔트로피의 개념을 도입할 필요성에 대해 주장하였다.

MANAGING A PROLONGED STATION BLACKOUT CONDITION IN AHWR BY PASSIVE MEANS

  • Kumar, Mukesh;Nayak, A.K.;Jain, V;Vijayan, P.K.;Vaze, K.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605-612
    • /
    • 2013
  • Removal of decay heat from an operating reactor during a prolonged station blackout condition is a big concern for reactor designers, especially after the recent Fukushima accident. In the case of a prolonged station blackout condition, heat removal is possible only by passive means since no pumps or active systems are available. Keeping this in mind, the AHWR has been designed with many passive safety features. One of them is a passive means of removing decay heat with the help of Isolation Condensers (ICs) which are submerged in a big water pool called the Gravity Driven Water Pool (GDWP). The ICs have many tubes in which the steam, generated by the reactor core due to the decay heat, flows and condenses by rejecting the heat into the water pool. After condensation, the condensate falls back into the steam drum of the reactor. The GDWP tank holds a large amount of water, about 8000 $m^3$, which is located at a higher elevation than the steam drum of the reactor in order to promote natural circulation. Due to the recent Fukushima type accidents, it has been a concern to understand and evaluate the capability of the ICs to remove decay heat for a prolonged period without escalating fuel sheath temperature. In view of this, an analysis has been performed for decay heat removal characteristics over several days of an AHWR by ICs. The computer code RELAP5/MOD3.2 was used for this purpo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Cs can remove the decay heat for more than 10 days without causing any bulk boiling in the GDWP. After that, decay heat can be removed for more than 40 days by boiling off the pool inventory.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ment does not exceed the design pressure even after 10 days by condensation of steam generated from the GDWP on the walls of containment and on the Passive Containment Cooling System (PCCS) tubes. If venting is carried out after this period, the decay heat can be removed for more than 50 days without exceeding the design limits.

연수시설 단지의 계획특성 연구 - 2000년대 이후 국내 현상공모를 통해 계획된 연수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raining Facilities Complex - Focusing on Training Facilities Planned through the Domestic Competitions after 2000s -)

  • 박훈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3-24
    • /
    • 2018
  • Planning and designing training facilities has been developed from educational facilities, and increasingly diversified society has raised a need for facilities dedicated to training and education in a differentiated space separate from the one for regular works. This particular need of our times has led to the expansion of training facilities nationwide although they have something to be desired when it comes to planning and designing with sustainability associated with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as well as the unique types of facilities taken into account.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will examined a variety of training faciliti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since 2000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conduct intens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ning aspects to suggest their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and to present the overall meanings and ramifications of planning approaches in consideration of new challenges modern training facilities are faced with, which have been revealed through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s in recent years. The relevant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one of the locational advantages of training facilities, which is commanding beautiful scenery of the surrounding area, can be considered as intent to stress the aspect of a resort, one of the functions of any training facilities. As this study has demonstrated, many training facilities are located near around a beach or a lake. Second, training faciliti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in terms of their location: urban, suburban and resort and such locational characteristics are directly related to intended programs and differentiated links with target users. Third, the architectural styles of training institutes are differentiated in terms of harmonious arrangement between beautiful natural scenery and buildings in consideration of the layout characteristics of major facilities and the distance of ramps in and out of the facilities along with architectural features, including the transparency of building elevation and the type of slopes of roof structure. Fourth, the individual lodging buildings feature a variety of types depending on the design concept with different roles depending on the directional aspects such as the connection of ramps and the relations with the outside. Fifth, outdoor space plans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intended purpose of training facilities. When it comes to gym facilities, for example, different outdoor space plans are found to be made depending on the original design concept such as outdoor playground-centered planning or golf facilities.

호흡기 질환 환자에서 자전거 타기와 답차를 이용한 운동 부하 폐기능 검사의 비교 (Comparison of Exercise Pulmonary Function Test Using by Treadmill and Bicycle Ergometer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 박지현;이흥범;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386-393
    • /
    • 1999
  • 연구배경 :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폐질환 환자에 대하여 답차 및 자전거 운동을 시행하여 각각의 운동 부하 방법에 따른 심폐기능의 변화의 차이점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호흡곤란을 동반한 남자 17명과 여자 4명을 대상으로 1주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무작위로 Sensor Medics사의 model No. 2900 자전거 작업계 (bicycle ergometer)와 Sensor Medics사의 Vmax29 treadmill을 이용하여 각각 incremental exercise를 실시하였다. 결 과 : 답차를 이용한 운동부하 폐기능 검사상 자전거 운동에 비하여 $VO_2max$, VEmax, 혐기성 역치값은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며, 호흡 및 심박수 예비력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결 론 : 운동부하 검사 방법에 따라 호흡기 질환 환자에서 심폐기능 검사치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므로 어떠한 운동 부하 방법을 사용하였는지에 따라 결과 해석에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공간통계와 GIS를 이용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분포패턴 (Distribution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Stand in Korea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GIS)

  • 이종수;이우균;윤정호;송철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663-671
    • /
    • 2006
  • 본 연구는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공간분포 패턴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간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수치 임상도와 현존식생도를 활용하여 $100m{\times}100m$ 격자 단위로 전국 단위의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 분포도를 제작하였다. 또한 $100m{\times}100m$ 래스터 격자 단위의 지형, 기후, 토양 관련 주제도를 제작하였다. 이상의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분포도와 주제도간의 GIS 기반 공간 분석을 실시하여 지형, 기후, 토양 등의 환경 인자에 따른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공간분포 특성을 활용하여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출현빈도모델을 제시하였다. 소나무림의 경우 참나무류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표고가 낮고 경사도가 완만하며 기온이 높은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나무림은 양토, 보통 이하의 얕은 토심지역이며 배수가 양호한 화성암 지역에 주로 분포한 반면, 참나무류림은 사양토, 보통 이하의 얕은 토심지역이며 배수가 양호한 변성암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지리형태학적 인자에 따른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공간분포 패턴을 회귀식으로 도출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형, 기후, 토양 등의 환경 요소를 고려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 임분의 합리적인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제주연안지역 건설시설물의 영향 분석 (Analysis on Effect of Construction Facilities depending on a Scenario of Sea Level Rise around Jeju Coastal Area)

  • 이동욱;부양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D호
    • /
    • pp.267-274
    • /
    • 2011
  • 한반도에서 기후변화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해수면 상승(서귀포 5.6 mm/yr, 제주 5.3 mm/yr)에 따른 해수면 상승고와 대조평균고조시 대형화된 태풍이 내습할 경우에 대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수치표고모델 생성 및 GIS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침수면적, 도로 및 시설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침수면적은 2040년 2.9 $km^2$, 2070년 4.1 $km^2$, 2100년 최대 5.4 $km^2$으로 나타났다. 도로종류별 침수영향은 군도의 침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침수시설물은 대부분 단독주택이 차지했으며, 화북동은 단독주택의 침수영향이 높게 나타나 재해에 따른 인명피해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주요시설로서 항만시설의 침수는 물류 및 해운활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건설 분야의 영향분석을 통해 정부 산하기관의 전략적인 대응방안 및 정책수립에 활용될 기초자료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