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vated Railway Sta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철도선하역사 접속교량의 진동전달 특성 분석 (Analysis of Vibration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pproach Bridges for an Elevated Railroad Station)

  • 최상현;김진호;유용;권세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911-2916
    • /
    • 2015
  • 선하역사는 구조물 상부에 열차가 운행하는 구조로서 타 역사 구조물에 비하여 역사 내의 소음 진동에 취약한 구조이다. 선하역사의 진동 특성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접속교량에서 전달되는 진동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실험 및 해석을 통하여 접속교량에서 선하역사로 전달되는 진동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구조물은 경춘선 금곡역으로 ABAQUS 3차원 수치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받침 변화에 따른 접속교량과 역사의 전달 특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철도교량에 적용되어온 다양한 받침의 역학적 성질을 고려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현장 진동 계측은 열차진행 방향에 따라 접속 교량 및 역사 구조물에 대하여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서울메트로 $1\sim4$호선 고가역(창동역) 고체소음 저감 사례 (The Reduction of Structure-borne Noise in an Elevated Station(Changdong Station) of Seoul Metro Line No. $1\sim4$)

  • 공선용;오희완;김상진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8-443
    • /
    • 2007
  • In the recent railway construction, the concrete slab track is highlighted as the maintenance-free track and the main stream is moving from ballasted track to concrete slab track. However, in spite of many merits of concrete slab track, the higher noise generated from the concrete slab track is a troublesome question to solve and, by this reason, many studies on noise reduction of concrete slab track are carried out. The railway noise can be classified into the reflection noise emitted from wheel/rail contact and the structure-borne noise transmitted through railway structures. In this presentation, we would like to introduce an example of the successful reduction of structure-borne noise at track retrofitting to maintenance-free concrete slab track in elevated Changdong Station which was built with ballasted track on Rahmen structure.

  • PDF

경전철(모노레일) 정거장 규모 최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The plan of minimization to the station of monorail)

  • 안용모;전소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49
    • /
    • 2008
  • The monorail system as new transportation system mostly has being constructed as an elevated construction. In particular, in case of construction to elevated structure in the center of a city, it is important to decision for a monorail station to be considered the minimization. We must purchase the required lands prior to design the monorail stations because of separation of a platform and a waiting room. So We can exclude the problem that it have too close between a monorail station and the other building. Therefore the standard width and elevation of the monorail station shall be considered the efficient execution, economic and transportation. We have many thing to resolve as the plan of minimization to the station of monorail. But we know the ultimate in environmentally friendly transportation, of course, is our monorail system and we are positive as to a popular transportation craze.

  • PDF

선하역사의 슬래브 진동에 의한 소음방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oise Characteristics Induced by Slab Vibration for the Elevated Railway Station)

  • 김진호;장동두;지용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557-3566
    • /
    • 2015
  • 궤도가 역사의 상부에서 연결되는 선하역사 형식의 경우 일반 역사 구조형식과 달리 진동이 직접 전달되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진동 및 소음레벨이 타 형식의 역사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구조물 진동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구조물 기인 소음에 대한 특성 파악과 그 결과를 활용한 저감 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슬래브와 진동을 절연시키는 구조형식의 플로팅 슬래브에 대하여 외력에 의한 가진 시 발생하는 구조적 진동과 이로 인한 구조물 기인 소음의 상관성을 고찰하고자 실험과 해석을 수행하였다. 표준형 및 플로팅 슬래브를 제작하여 가진함으로써 진동응답과 소음을 계측하였고, 수치해석, 유한요소법과 SEA 기법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실험 및 해석을 통하여 슬래브의 동적 구조적 특성, 구조물 진동과 소음의 상관성, 플로팅 슬래브의 저감 효과 등에 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철도 선로 주변의 자연풍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in the vicinity of the railway track)

  • 권혁빈;유원희;하강희;정명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52-1157
    • /
    • 2007
  • Anemometer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wind in the vicinity of the railway track has been installed in two spots, one at the Cheon-Asan station of the Seoul-Busan high-speed line, and the other at the Daechon station of the Changhang conventional railway line in 2006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wind around the railway track to estimate the actual wind speed acting on the train and to develop the wind gust model consisting with the Korean climate condition. The measured data shows that the instant wind velocity frequently exceeds the velocity of train speed restriction, 20m/s, and the actual wind velocities measured in the vicinity of the track are larger than the that measured by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because the anemometers are installed on the highly-elevated bridges.

  • PDF

진동절연재로 보강된 기둥부재의 진동저감효과 및 구조적 거동분석 (Vibration Reduction Effect and Structural Behavior Analysis for Column Member Reinforced with Vibration Non-transmissible Material)

  • 김진호;이나현;허진호;김희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94-103
    • /
    • 2016
  • 궤도가 역사의 상부에 위치하여 열차운행으로 인하여 발생한 진동이 직접 전달되는 선하역사에서 구조물 진동과 이로 인한 구조물기인 소음이 기준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기존 선하역사에 대하여 열차 운행의 중단 없이 진동저감이 가능한 경제적, 효율적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동전달 경로상의 기둥에 워터젯 공법으로 기둥단면에서 피복재 부분을 파쇄한 후 진동전달 절연기능을 가지는 에폭시 소재의 방진재를 보강하여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조진동절연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방진재의 보강체적을 변수로 한 진동절연 시스템을 실제역사 기둥의 1/4축소모형에 적용하고, 충격가진 시험을 통한 진동저감 성능과 횡하중 반복가력시험을 통한 구조적 성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충격가진 실험결과로부터 구조진동절연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고유 진동주기가 하향되어 진동응답 특성이 변화되고 감쇠비는 약 15~30%까지 증가를 나타내어 진동저감 성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복하중 가력에 의한 구조성능 실험에서 하중-변위 및 강성변화에 대한 고찰과 연성도 및 에너지 소산의 증가를 보인 결과로 부터 구조부재로의 기능을 유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열차 하중조건을 고려한 마찰형 방진장치 성능시험 및 마찰특성 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 Tests and Friction Characteristics of a Friction Type Isolator Considering Train Load Conditions)

  • 고용성;이찬영;지용수;김재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694-702
    • /
    • 2017
  • 선하역사의 경우 차량-궤도에서 발생하는 하중 및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발생하는 구조체 전달 형태의 진동과 소음레벨이 다른 역사형식 대비 월등히 높음으로 인하여 역사 내 상업 및 업무시설 이용객과 종사자들의 불편과 민원이 증가하고 있다. 선하역사에 발생하는 소음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대책중 하나로 알려진 플로팅 궤도의 경우 궤도 하부에 고무 마운트나 패드 요소를 적용한 장치가 주로 설치되어 댐퍼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장치의 경우, 열차 운행 시 발생하는 비선형 하중에 대하여 정확한 강성 및 감쇠비를 설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로팅 궤도에 적용 가능하며 정확한 강성 설계가 가능한 마찰 쐐기형 방진장치를 소개한다. 또한, 방진장치 강성 설계값과 시험값을 비교 분석하고 마찰 쐐기형 블록 배치에 따른 감쇠비를 열차 하중조건에 따라 도출하였다. 방진장치의 성능시험은 DIN45673-7 규정에 의거하여 진행하였으며 시험항목인 정적 및 동적하중 시험을 모두 포함한다. 성능시험 하중조건은 DIN 규정에 따라 열차 및 궤도 중량을 고려하여 적용하였으며 수직 하중 및 수평 하중에 대한 시험을 진행하여 방진장치 적용에 따른 궤도의 구조안전성을 확보한다. 더불어, 하중재하속도에 따른 마찰재의 마찰계수 변화 양상을 확인함으로서 다양한 하중재하속도 조건에 대한 마찰쐐기형 방진장치의 진동저감 성능을 확인한다.

도시철도 영업운행열차 내 소음에 관한 고찰 (A Study on Noise Characteristics in the Running Train of the Urban Railway)

  • 김효산;이창헌;김광은;이규천;박진동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9
    • /
    • 2008
  • The SeoulMerto, operating subway line No.$1{\sim}4$, was constructed in the metropolitan Seoul with the highest population. When it was built, the design was challenged to sharp curved tracks considering the protection of buildings, cultural assets, the connection to ground roads and rivers as well as to elevated railway in some parts. Lots of residential apartments and business complex have gradually increased in the area around subway stations and railway lines according to the urban development. Consequently, Requirements of better quality of lif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caused the citizen complain for the noise. It has become one of serious social issues. In this paper, Noise level was analyzed using noise map measured in the running train of all routes. The analysis on the noise level was conducted according to railway type, track components type, seasonal type, retirement degree of the vehicle and subway station. Especially, Nois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noise level data measure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rain with geometry types of the concrete track. This study will contribute fundamental data for the "The Development of Sound-Absorbing Block on Concrete Track" promoted on The National R&D Project.

  • PDF

열차 진동 저감을 위한 마찰쐐기형 방진장치의 거동 시험 (A Behavior Test on a Frictional-Wedge-Type Vibration Isolation Device for Vibration Reduction of a Railway Track)

  • Lee, Chanyoung;Choi, Sanghyun;Lee, Yooin;Kwon, Segon;Koh, Yongsung;Ji, Yongso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45-54
    • /
    • 2015
  • 도심지에 건설되는 철도역사, 선로구조물 등 철도시설물의 경우 소음 및 진동 저감 설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선하역사는 구조물 위에 선로가 놓이게 되므로 철도 진동과 이로 인한 2차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진동 제어 대책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수직형 방진장치는 열차 운행으로 인한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선하역사 등 철도시설물의 진동 저감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수평형 장치에 비하여 개발이 미진한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열차에 의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해 개발 중인 마찰쐐기형 방진장치를 소개하고, 동적성능 검증을 위한 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방진장치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시제품을 적용한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강제 가진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를 통해 방진장치의 방진성능 및 동특성을 검증하고 방진장치 개선사항을 검토하였다.

차량-궤도 상호작용 해석을 통한 사전 제작형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동적 안정성 검토 (Evaluation of Dynamic Stability of Precast Floating Slab Track with Vehicle-Track Interaction Analysis)

  • 장동두;김진호;권세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62-568
    • /
    • 2017
  • 기존 선하역사의 소음 및 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사전 제작형 플로팅 슬래브 궤도는 길이 5m 정도의 슬래브 패널을 공장에서 제작하고 방진장치를 설치하여 일체화한 궤도이다. 이를 통해 별도의 열차 운행 중단 없이 급속 시공이 가능하여 신설역사 뿐 아니라 기존 선하 역사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패널 길이가 5m로 짧아 실제 시공 구간 길이에 따라 다수의 패널이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궤도의 불연속 구간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작동 원리 상 일반 궤도에 비해 차량 운행으로 인한 과도한 변위가 발생할 여지가 있고 기존 궤도와의 접속부에서의 지지강성 차이로 인해 동적 불안정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 제작형 플로팅 슬래브 궤도에 대해 차량-궤도 상호작용 해석을 수행하여 윤중변동율, 차체가속도, 레일응력 및 상압력의 검토를 통해 동적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검토 결과 플로팅 궤도 구간 내에서의 동적 안정성은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존 궤도와의 접속부에서는 일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진장치 배치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