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지리산오가피와 흰털오가피 열수추출물의 라디칼 제거 활성 및 대식세포에서의 산화질소 생성능 비교 (Comparative Radical Scavenging and Nitric Oxide Production Capacity of Water Extracts of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and 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

  • 김동민;진보라;김지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37-3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오가피와 흰털오가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FRAP assay를 이용한 환원력을 비교 조사하였고, mouse의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에 LPS를 이용하여 자극시킨 후 생성되는 NO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흰털오가피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으며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과 FRAP 방법을 이용한 환원력에서는 두 오가피 종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염증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확인한 NO 생성양은 지리산오가피가 고농도 처리시 유의하게 항염증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산오갈피, 가시오갈피, 오갈피나무, 오가나무 추출물의 항염증, 피부장벽개선, 항노화 효능 비교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Skin Barrier Improvement, and Anti-aging Efficacy of 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 and various Eleutherococcus Genus Extract)

  • 한지원;남보미;이범석;고진아;황지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73-383
    • /
    • 2022
  • 활성산소로 인한 염증 유발과 그로 인한 장벽손상은 꾸준히 주름생성의 원인으로 지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오갈피나무속에 속해있는 지리산오갈피와 가시오갈피, 오갈피나무, 오가나무 4종의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장벽개선, 항노화 관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를 검증하고자 유효 지표성분 탐색과 효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오갈피나무속 식물인 지리산오갈피와 가시오갈피, 오갈피나무, 오가나무 각각을 50%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 농축, 동결건조 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유효 지표성분탐색을 위해 주요 지표 성분인 eleutheroside E와 오갈피나무속에서 주로 검출되는 폴리페놀류 중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에 대하여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성분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오갈피나무속 중 지리산오갈피에서 eleutheroside E와 chloroge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지리산오갈피에서 가장 높았으며, 항염증 효능의 경우 LPS로 염증이 유발된 대식세포 내 NO 생성 억제 효능은 가시오갈피, 오가나무, 오갈피나무 추출물 100 ㎍/mL에서 각각 25%, 26%, 32% 일 때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100 ㎍/mL는 40% 억제 효능을 보였고 pro-inflammatory cytokine으로 알려진 IL-6 발현 억제 효능은 가시오갈피, 오가나무, 오갈피나무 추출물 100 ㎍/mL 농도에서 각각 20%, 36%, 23% 일 때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100 ㎍/mL는 41% 억제 효능을 보였다. 또한,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100 ㎍/mL에서 피부장벽 관련 인자인 filaggrin, involucrin의 발현이 각각 2.5 배, 1.6 배 증가되었으며, 주름관련 인자인 콜라겐분해효소는 29% 억제 효능을 나타내어 오갈피나무속 4 종 중 지리산오갈피는 피부의 염증 억제와 장벽강화, 주름개선용 화장품소재로써 활용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대암산(大岩山)의 약용식물(藥用植物)(III) (Medicinal Plants on Mt. Dae-Am in KangWon-Do)

  • 성락선;노숙희;김용해;원도희;하광원;장승엽;육창수
    • 생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7-94
    • /
    • 2000
  • Mt. Dae-Am is the branch-range of DMZ located on the $38^{\circ}7'$ N KangWon-Do in South Korea. The resources of important Herbal medicine (medicinal plants) were Phacellanthus tubiflorus (fam.: Orobanchaceae), Ostericum maximowiczii, Dendranthemum zawadskii Herbich f. latifolium, D. zawadskii subsp. acutilobum, D. var. campanulatum, Halenia corniculata (fam.: gentianaceae), Prunus mandshurica var. glabra, Acanthopanax divaricatus f. inermis. A. chiisanense, A. sessiliflorum, Eleutherococcus senticosus, Bupleurum longeradiatum, Heracleum moellendorffii sub-spp. subbipinnatum, Sanicula rubriflora, Spuriopimpinella bracycarpa f. latifolia, Angelico gigas, Artemisia montana, A. stelleriana, Paeonia japonica, Phellodendron amurense, Schizandra chinensis, Menyanthes trifoliata, and Gentiana axillariflora var. coreana, etc.

  • PDF

강원도 동해시·삼척시 일대 고유생육지의 식물상 (A Floristic Study on the Indigenous Habitat of Donghae-si and Samcheok-si in Gangwon-do, Korea)

  • 김중현;김선유;김진석;이병윤;윤종학;남기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911-942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indigenous habitat of Donghae-si and Samcheok-si in Gangwon-do, Korea. The vascular plants were collected 18 times (from March to October 2011), and were identified as 804 taxa; 127 families, 445 genera, 720 species, 8 subspecies, 69 varieties, 5 forms and 2 hybrids. In the flora of this area, the calcicolous plants were 55 taxa; Cheilanthes argentea, Clematis serratifoliam, Quercus variabilis. Epipactis papillosa, etc. The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and protec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law,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were counted to one taxon; Cymbidium macrorhizum. The red list of vascular plants according to IUCN valuation basis were examined, endangered species (EN); Prunus yedoensis and Cymbidium macrorhizum, Vulnerable species (VU); Juniperus chinensis, Pulsatilla tongkangensis, Diarthron linifolium and Swertia wilfordii, Near Threatened species (NT); Paeonia japonica, Allium senescens, Epipactis papillosa and Pogonia minor, Least Concern species (LC); Asplenium ruta-muraria, Platycladus orientalis, Monotropa hypopithys and 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 etc., Data Deficient species (DD);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and Not Evaluate species (NE); Prunus choreiana, Panax ginseng and Polygonatum infundiflorum etc. Korean endemic plants of this area were 26 taxa; Aconitum pseudolaeve, Corydalis hirtipes, Vicia chosenensis, Salvia chanroenica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etc.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130 taxa comprising 11 taxa of grade V, 15 taxa of grade IV, 33 taxa of grade III, 15 taxa of grade II, 56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67 taxa and the percent of naturalized index (NI) was 8.3% of total 804 taxa vascular plants.

Flora of a Cool Temperate Forest Around Restoration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Yeongyang

  • Kim, Seongjun;Lee, Chang-Woo;Park, Hwan-Joon;Lee, Byoung-Doo;Hwang, Jung Eun;An, Jiae;Park, Hyung Bin;Baek, Ju Hyeong;Kim, Pyoung Beom;Kim, Nam Young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1호
    • /
    • pp.70-75
    • /
    • 2021
  • The present study aimed to clarify flora living at the area of Restoration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in Yeongyang, Gyeongbuk Province. In May, August, and September 2019 and in May and July 2020, all of vascular plants were recorded, and endangered, Korea endemic, and exotic plant species were further identified. The study site contained a total of 418 floral taxa (98 families, 261 genera, 384 species, 4 subspecies, 27 variations, and 3 formations), in which Magnoliophyta accounted for larger proportion (95.2%) than Pteridophyta (3.6%) and Pinophyta (1.2%). In addition, 1 endangered (Cypripedium macranthos Sw.) and 5 Korea endemic species (Aconitum pseudolaeve Nakai, 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 [Nakai] C.H. Kim & B.-Y. Sun, Lonicera subsessilis Rehder, Paulownia coreana Uyek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 Bailey) were detected. The number of exotic species was 33, consisting of 4 invasive-exotic, 4 potentially invasive-exotic, and 25 non-invasive species. Compared to a previous assessment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er (in 2014), there were increases in total floral taxa (from 361 to 418), endangered species (from 0 to 1), and exotic species (from 26 to 33). These results possibly reflect temporal changes in floral community, which should be confirmed through subsequent long term monitoring.

제주지역 특산식물의 현황 및 활용방안

  • 고정군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5-5
    • /
    • 2010
  •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지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44과 75속 63종 17변종 13품종으로 총 93분류군에 대한 자생지 환경, 개체군 동태, 생육특성 및 위협요인 등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중 세계적으로 제주지역에만 분포하는 제주특산식물은 긴다람쥐꼬리(Huperzi integrifolium) 등 27과 46속 36종 12변종 8품종으로 총 56분류군으로 분석되었으며, 제주도를 포함하여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한국특산식물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등 20과 28속 24종 4변종 4품종으로 총 32분류군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조사대상 특산식물 중 바위좀고사리(Asplenium sarelii var. anogrammoides) 등 5분류군은 분류학적 검토와 함께 특산식물여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개나리(Forsythia koreana)는 조경용으로 식재된 종이므로 제주지역에 자생지가 확인된 특산식물은 39과 70속 59종 16변종 12품종으로 총 87분류군으로 볼 수 있다. 제주지역의 특산식물은 해안지대에서 확인된 갯겨이삭(Puccinellia coreensis)부터 한라산 정상에서 자라는 한라솜다리(Leontopodium hallaisanense)까지 제주도 전역 분포하고 있으나 종에 따라 서로 다른 분포특성을 보였다. 특히, 한라산 해발 1,400m 이상 아고산대에 집중 분포하는 특성을 보였다. 특산식물의 자생지내 개체군의 동태를 보면 대부분의 식물이 개체수 및 분포범위가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지리산오갈피(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는 2개체만이 확인되어 종보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한라솜다리, 모데미풀(Megaleranthis saniculifolia), 한라각시둥굴레(Polygonatum humile var. humillimum) 등 상당수의 식물 종이 수십 개체 이내로 매우 적은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었다.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은 인위적 또는 자연적 요인으로 인해 많은 자생지 면적감소나 개체수 감소 등의 위협요인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산간 이하에 자라는 특산식물은 접근성 등이 용이하여 도채 등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한라산국립공원 내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은 인위적 훼손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자연적 요인 즉, 식생변화 등으로 인해 자생지 및 개체수 감소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체계적인 종 보존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제주지역 특산식물 중 자생지가 확인된 식물 종을 대상으로 근연종 분석 등을 통해 유용성을 분석하면 식물체 일부가 약용으로 가능한 식물 종이 개족도리(Asarum maculatum) 등 전체의 67.1%를 차지하였고, 관상용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식물 종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등 전체의 60.2%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대부분의 종이 희소성의 가치가 있어 모든 특산식물이 관상용으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주지역에서 확인된 특산식물 중 전체적으로 90.9%가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아직까지 유용성에 대한 정보가 미흡한 종도 자원적인 연구접근에 따라 다양한 자원으로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