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hool Teachers

검색결과 2,417건 처리시간 0.032초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장애 (Epistemological Obstacles in the Learning of Area in Plane Figures)

  • 박은률;백석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305-322
    • /
    • 2010
  •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장애의 유형은 크게 측정의 속성과 관련된 장애, 단위정사각형 개념과 관련된 장애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측정의 속성과 관련된 장애의 원인은 길이와 넓이 개념 사이의 혼동, 도형 영역과 측정 영역에서 정의하는 방법상의 혼동 때문이며, 둘째, 단위정사각형 개념과 관련된 장애의 원인은 학생들에게 단위정사각형이 넓이의 기본단위로 인식이 잘 안되기 때문이며, 2 차원적 평면의 개념이 불완전하게 정착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넓이에 대한 측정의 속성과 관련된 장애 현상의 교정적 지도 방안은 두 속성간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하고, 측정의 개념으로 넓이를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정렬(array)'의 개념으로 넓이공식을 유도하고, 통합적으로 공식을 적용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단위정사각형 개념과 관련된 장애 현상의 지도방안은 각 단계를 충분히 활동할 수 있도록 넓이를 구하고자하는 도형의 소재 및 형태를 다양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넓이에 대한 연속량적 개념을 인식하도록 교수학적 방안을 구안해야 한다.

  • PDF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수업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Subject's Lesson Plan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 박종선;최지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65-18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해 실과 수업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기초로 하여 창의 인성교육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를 거쳐 수업 과정안을 개발,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평가 후에 수정 보완하여 최종 수업 과정안을 완성하였다. 준비 단계에서는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하고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창의 인성과 관련된 활동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선정된 활동 주제를 중심으로 실과 교육내용과 연계한 소주제 및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수업목표를 진술하고, 수업 과정안을 설계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개발된 수업 과정안에 대하여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증 후 수정 보완하여 개발을 완료하였다. 개발된 수업 과정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수업 과정안은 실과 교육내용을 기반으로 하며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창의 인성이 함양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개발된 수업 과정안은 프로젝트법을 적용하여 수업 설계를 하였으며 활동중심 수업이 되도록 하였다. 셋째, 수업 활동 내용은 '요리하는 사람 알아보기', '건강도시락 만들기', '퓨전음식 만들기', '채소 심고 가꾸기', '직접 키운 채소로 음식 만들기', '요리활동 전시회 열기'의 6가지 활동이며 12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개발된 수업 과정안은 초등학교 정규 실과 교과 시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과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 시행 위치변화에 따른 흉부압박의 질 비교 (Comparison of Qualities of Chest Compression according to Changes of Position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erformance)

  • 권혜란;박대성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6
    • /
    • 2011
  • Purpose : This study is equivalence experiment performed to test practice effects between experimental group from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 of mannequin and control group having practice from only right direction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Methods : Subject of the research were total 71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J province who had not experience to hav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of 35 participants who practic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rom both right and left direction of mannequin on Dec. 27, 2009 and control group of 36 participants who perform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rom only right direction of mannequin on Dec. 28, 200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PC+(version 14.0). Results :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2. According to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 performed from the right direction of mannequin,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results in proper depth (time), insufficient depth (time), too lowered compression position (time) and inexact position (time) than control group(p<.05). In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 from the left side of mannequin,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better results in proper depth (time), insufficient depth (time), inexact compression position (time) and mean chest compression depth(mm) than control group(p<.05) and also in more left-centered compression position (time) than control group(p<.001). 3.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 by experimental group, the right side of mannequin was superior in proper depth (time) to the left side of mannequin (p<.001) and showed better results in insufficient depth (time) and chest compression/recoil rate (p<.05). According to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 by control group, the right side of mannequin showed superior results in proper depth (time), insufficient depth (time), too left-centered compression position (time) and mean chest compression depth (mm) (p<.05) to the left side of mannequin. Conclusion : The group having practice from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mannequin was superior in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 to the group having practice from only right side of mannequin. How to practic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rom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mannequin can be recommended and practice from left side of mannequin is also useful.

정보통신윤리 의식 강화를 위한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ole-Playing Instruction Model based on Mind Practice for Intensifying Information & Communication Ethics)

  • 백현기;유정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81-188
    • /
    • 2012
  • 본 연구는 정보통신윤리 의식 강화를 위한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정보통신윤리 의식을 강화시키고 실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실천의지를 기르고자 하였다. 즉 마음공부 역할놀이 수업모형은 마음 활동의 과정적 요소와 마음교육의 방법적 요소, 역할놀이 활동 단계를 고려하여 설계하였으며 마음공부를 역할놀이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첫째, 문헌 및 사레연구를 통하여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 초안을 설계하고, 둘째,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서 모형 초안에 대한 강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모형 초안을 수정 보완한 후 완성된 형태의 모형을 설계하였다. 도출된 모형의 초안을 J시 J대학의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하는 교육학과 2학년 학생 총 36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수업모형의 효과성 검증은 현장에 있는 교사 10명과 5학년 24명, 6학년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적용 결과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재미있는가와 관련한 문항에서 자료의 투입 후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90%이상이었다.

  • PDF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병원 기반 조기 집중 중재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Based Early Intensive Interven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South Korea)

  • 이주영;문덕수;신석호;유희정;변희정;서동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4호
    • /
    • pp.213-219
    • /
    • 2017
  • Objectives: Early intensive interventions are very important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hospital-based early intensive interven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Seoul, in order to help develop and implement an evidence-based early intensive intervention model for use in Korea. Methods: Nine hospital-based institutes running an early intensive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in September 2014. They provided a brief introduction to their program, explained its theoretical bases, and reported the number of children, their age, intervention time, duration and so on. Results: In the majority of the institutions,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for over 20 hours every week, and the theoretical bases included various applied behavioral analysis (ABA) methods and other therapies (language and occupational therapy). The therapist-child ratio ranged from 1:1 to 5:3. Various types of therapists were involved, including behavioral analys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or) language pathologists. There was only one clinic where the behavioral analyst was the main therapist. Usually, the intervention was terminated just before the child entered elementary school. The main merit of the hospital-based intervention in our survey was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 plan and its other merits were the accuracy of the diagnosis, its ability to be combined with medicine, and so on. Conclusion: The current hospital-based early intensive intervention programs provide interventions for over 20 hours per week and employ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However, there are very few institutes for children with autism and very few intervention specialists and specialist education courses in the country. We need more educational programs for intervention therapists and have to try to develop policies which encourage the implementation of an evidence-based early intensive intervention program nationwide.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초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설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Practical Problem-Based Learning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 이은영;최지연;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5-175
    • /
    • 2019
  • 본 연구는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설계할 때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업을 설계하는데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를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가 되는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고찰, 수업설계 모형에 대한 문헌 고찰,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단계의 문헌 고찰을 통해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단계와 하위요소 등의 내용을 선정하고, 템플릿을 구안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설계 단계에서 디자인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개발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초안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통해 모형을 수정·보완하고, 최종적으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을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은 '목표 설정하기, 평가 계획하기, 학습활동 계획하기'의 3단계로 구성된 모형의 초안에서 전문가 검증을 거쳐 '실천적 문제 설정하기, 목표 설정하기, 평가 계획하기, 학습활동 계획하기'의 4단계로 최종적으로 모형을 수정·보완하였다.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은 전문가 검증을 통해 교사들이 실천적 문제 중심으로 수업을 설계하고자 할 때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체계적인 템플릿이라고 평가하였다.

수준별 평가를 위한 문제은행 시스템 (An Item Pool System for Leveled Assessment)

  • 홍종기;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98-307
    • /
    • 2002
  • 최근 정보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교육은 그 방법이나 내용 면에서 변화를 강력히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교육에 정보${\bullet}$통신${\bullet}$기술을 적극 수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WBI (Web-based Instruction) 교수모형은 웹의 특성상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교육시간 및 공간 등의 범위를 확대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웹 기반 교수-학습 활동에 있어서 학습자가 학습 목표에 도달되었는지를 온라인 상에서 직접 평가할 수 있는 실시간 평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을 이용한 교수-학습의 결과를 학습 과정 중에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공들여 만든 좋은 문제들을 문제은행에 저장하고 이를 모든 교사가 검색하여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문제은행을 공유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교과-학기-단원의 카테고리를 이용해 문제와 평가지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전통적 문항 분석방법인 문항 난이도를 적용하여 문제은행에 저장된 문항의 양호도를 확보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평가 문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무엇보다도 본 시스템을 진단 평가나 형성평가에 활동한다면,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학습자의 출발점 행동 파악이나, 수준별 학습을 위한 학습자 수준 진단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 PDF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gital Textbook Usage on the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Competency)

  • 서순식;서정희;황소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63-271
    • /
    • 2009
  • 문제해결력은 21세기를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21st Century Skills) 또는 생애 능력(Life Competency) 중 핵심 역량이며, 2009년부터 적용되는 개정교육과정에서도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첨단 디지털 사회에서 대안 교과서로 제안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의 영향력을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측면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 사용과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 경험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 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디지털교과서와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을 독립변수로 선정하고 두 개의 독립 변수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판단하고자 이원 분산분석과 학생 면담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집단이 사용하지 않은 집단보다 문제해결력이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을 처치한 것이 처치하지 않은 것보다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교과서 사용과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 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교수 설계에서 교사들의 교수행위에 대한 고려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 PDF

물질의 입자성 학습에서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새로운 입자모델 교수전략의 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n the New Teaching Strategy Facilitating Reflective Thinking in the Learn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 김도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00-61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입자모델 교수 전략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잘 변화하지 않는 학습자의 신념체계인 연속적인 물질관을 입자적인 물질관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입자모델 교수 전략으로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입자모델 교수 전략을 고안하였다. 고안된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입자모델 교수 전략을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처치한 후,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입자모델 교수 전략의 효과를 전통적인 입자모델 교수전략과 비교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입자모델 교수전략의 문제점으로는 1) 입자모델을 실제물과 연결시켜 생각하지 못하는 문제점, 2) 입자모델을 학습할 때 무조건 암기하는 학습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이 높은점, 3) 입자모델을 수없이 학습한 후에도 연속적 물질관을 입자적 물질관으로 변화시키지 못하는 학생의 비율이 매우 놓은점, 4) 물질을 학습할 때 과학적 상황으로 학습하므로 물질에 대한 사고가 과학적 상황에 제한되어 있어 일상적 상황으로 연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전통적인 과학적 상황의 입자모델 교수전략과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일상적 상황의 입자모델 교수전략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일상적 상황의 입자모델 교수전략이 개념이해측면, 흥미측면, 입자적 물질관 형성정도, 기억측면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과학교육에의 중요한 시사점은 일상적 상황의 입자모델 교수전략 방법이 과학을 과학적 상황(실험실 상황)에서만 국한되어 사고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 과학 수업시간에 학습한 과학을 일상 상황과 연관시켜 사고할 수 있도록 해 준다는 것이다.

  • PDF

창의적 산출물 평가에서 평정자의 지식 및 평가 도구 유형에 따른 일치도 분석 (Consistency in Assessment of Creative Products in Terms of Evaluators' Knowledge of Creativity Assessment Criteria and the Type of Assessment Tools)

  • 이수진;최호성;박경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677-69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산출물 평가의 대표적 도구인 O'Quin과 Besemer(1989)의 '창의적 산출물 분석행렬(CPAM)'과 '창의적 산출물 어의 척도(CPSS)'의 두 가지의 산출물 평정 척도를 적용하여 동일한 산출물을 평가하는 데 있어 평가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적 산출물 평가에서 평가자의 암묵적 지식은 존재하며, 암묵적 지식과 명시적 지식에 기반한 평가의 평정결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자에게 명시적 지식이 쌓여 갈수록 산출물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점수는 낮게 나타나 더 엄격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상대적으로 세분화된 채점기준을 가진 CPSS로 평정하였을 때는 창의성의 하위 차원에서 점수가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평가자가 산출물에 대한 첫인상이나 개인적 평가 기준이 너무 확고한 경우에는 평정도구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은 창의적 산출물 평가에서 전문가들과 유사한 평가를 하고 있었으며 산출물 평가 도구를 사전에 충분히 숙지하고 산출물을 지도하거나 평가한다면 보다 새롭고, 유용하고 적절하며, 해결성이 높은 창의적인 산출물이 생성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