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Guideboo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학습장애 학생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 포함수준 분석 -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Examine the Features of Evidence 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Guidebook For Students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 Only about Number and Operations)

  • 김병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53-370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수와 연산' 영역이 학습장애 학생과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을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제작된 분석기준을 활용하여 초등교사 3명이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학습장애 학생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 포함수준은 전반적으로 중간정도였고, 학년별로 분석해본 결과 1~4학년 수학교사용지도서의 포함수준은 중간정도 5, 6학년 수학교사용지도서의 포함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증거기반 교수의 특징별로 분석해본 결과, '명확한 목표의 제시, 단일한 핵심개념 및 기술의 지도, 구체적 조작물과 반구체물의 사용, 명시적 교수, 관련된 예들의 제공, 충분한 독립적 연습기회의 제공 그리고 학생 진보의 확인'과 같은 요인들의 포함수준은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선수 수학 개념들 및 기술들의 복습, 오류 수정 및 교정적 피드백의 제공, 핵심어휘의 지도 그리고 전략들의 지도'와 같은 요인들의 포함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과 증거기반 교수특징의 포함수준 사이에 부적상관관계 (r= -.343)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교육실습에서의 수학 수업이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ience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 문효영;권성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87-521
    • /
    • 2010
  • 대개의 수학교실에서 교사는 자신의 수학 신념에 바탕을 두고 학생들에게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교사의 수학 신념은 과거의 다양한 수학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만들어지기에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신념은 교육실습을 통해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에 관한 신념이 교육실습 전?후로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분석해 보고, 나아가 이들의 수학에 관한 신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았다.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실습 전과 후의 설문조사 및 소수 대상자들을 교육실습 과정에서 관찰조사 한 결과, 교육실습은 예비교사들의 수학 신념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들이 지닌 신념에 따라 수업의 방향이 달라지고, 지도교사나 수업에서의 성공과 실패 요인 등이 신념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과정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 신념 변화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담고 있다.

  • PDF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 (Types of Mathematical Thinking that Appeared in Challenge Math in the 5th and 6th Grade Math Teacher's Guidebooks)

  • 임영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43-160
    • /
    • 2022
  • 본 연구는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을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수·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 및 육성이 가능한 수학적 사고의 유형을 정리하고,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기 위한 틀을 구상한 뒤,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은 계획 수립, 실행의 단계에서는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지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문제로 구성이 되어있다. 다만 자세한 보조문항으로 인하여 의도된 수학적 사고만이 발현될 것이 우려되며, 스스로 수학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한 경우가 많았다. 둘째, 교사용 지도서의 문제 이해 단계와 반성 단계의 발문이 매우 전형적으로 제시됨으로써 해당 단계에서는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유발하기 어렵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는 수학적 사고에 대한 명시적 설명이 부족하며 추후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수학적 사고에 대한 명시적 설명을 보완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뿔의 외연에 대한 고찰 (A contemplation on the extension of the pyramid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박교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43-5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ll$2009 수학 6-1${\gg}$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뿔의 외연을 고찰하고 있다. $\ll$2009 수학 6-1${\gg}$에서는 전형적인 각뿔의 겨냥도를 예시하는 외연적 정의 방법을 사용해서 각뿔을 정의하고 있다. $\ll$2009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gg}$에서는 빗각뿔을 취급할 수밖에 없다고 말하고 있지만, $\ll$2009 수학 6-1${\gg}$에서 예시하고 있는 각뿔의 겨냥도로 보면, 빗각뿔 그리고 밑면의 모양이 정다각형이 아닌 직각뿔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사실상 나타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시사점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첫째,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각뿔의 외연에 대한 논의와 그 결과에 대한 동의가 충분히 있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의 의도가 교사용 지도서를 거쳐 교과서에서 구현되는 과정에서 각뿔의 외연이 일관되어야 한다. 셋째, 각뿔과 관련해서 초등교사가 알아야 할 지식에 관해 어느 정도 합의가 있어야 한다.

  • PDF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소수 나눗셈에서의 몫과 나머지 취급에서 나타나는 부적절한 관념과 그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per notions appeared in dealing with quotient and remainder in division for decimal numbers in Korean elementary math textbooks and its improvements)

  • 박교식;권석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445-458
    • /
    • 2012
  • 현재의 교과서는 소수의 나눗셈에서의 몫과 나머지와 관련하여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다음의 세 가지 부적절한 관념을 심어줄 수 있다. 첫째, (자연수)${\div}$(자연수)의 계산 결과만이 몫이다. 둘째, 소수 나눗셈에서 몫과 나머지를 구할 때의 몫은 자연수이고, 나머지는 유일하다. 셋째, 소수 나눗셈에서의 몫이 소수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을 때만 몫을 반올림한다. 학생들과 교사들이 이와 같은 부적절한 관념을 가지지 않도록 소수 나눗셈에서의 몫과 나머지 취급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이 요구된다. 첫째, ${\ll}$교육과정 해설서${\gg}$에서 소수 나눗셈에서의 몫과 나머지의 의미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둘째, 교과서에서 이와 같은 부적절한 관념의 생성을 막을 수 있는 충분한 예나 문제 등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지도서에서 소수 나눗셈에서의 몫과 나머지와 관련한 교과서의 교수학적 의도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