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phoretic mobility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6초

Molecular Interactions of a Replication Initiator Protein, RepA, with the Replication Origin of the Enterococcal Plasmid p703/5

  • Cha, Kyung-Il;Lim, Ki-Hong;Jang, Se-Hwan;Lim, Wang-Jin;Kim, Tae-Hyung;Chang, Hyo-Ih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1호
    • /
    • pp.1841-1847
    • /
    • 2007
  • We previously identified the origin of replication of p703/5, a small cryptic plasmid from the KBL703 strain of Enterococcus faecalis. The origin of replication contains putative regulatory cis-elements required for replication and a replication initiator (RepA) gene. The replicon of p703/5 is similar in its structural organization to theta-type plasmids, and RepA is homologous to a family of Rep proteins identified in several plasmids from Gram-positive bacteria. Here, we report molecular interactions between RepA and the replication origin of p703/5. DNase I footprinting using recombinant RepA together with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s confirmed the binding of RepA to the replication origin of p703/5 via iterons and an inverted repeat. We also demonstrated the formation of RepA dimers and the different binding of RepA to the iteron and the inverted repeat using gel filtration chromatographic analysis, a chemical crosslinking assay, and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s in the presence of guanidine hydrochloride. Our results suggest that RepA plays a regulatory role in the replication of the enterococcal plasmid p703/5 via mechanisms similar to those of typical iteroncarrying theta-type plasmids.

Replication origins oriGNAI3 and oriB of the mammalian AMPD2 locus nested in a region of straight DNA flanked by intrinsically bent DNA sites

  • Balani, Valerio Americo;De Lima Neto, Quirino Alves;Takeda, Karen Izumi;Gimenes, Fabricia;Fiorini, Adriana;Debatisse, Michelle;Fernandez, Maria Aparecida
    • BMB Reports
    • /
    • 제43권11호
    • /
    • pp.744-749
    • /
    • 2010
  • The aim of this work was to determine whether intrinsically bent DNA sites are present at, or close to, the mammalian replication origins oriGNAI3 and oriB in the Chinese hamster AMPD2 locus. Using an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and in silico analysis, we located four intrinsically bent DNA sites (b1 to b4) in a fragment that contains the oriGNAI3 and one site (b5) proximal to oriB. The helical parameters show that each bent DNA site is curved in a left-handed superhelical writhe. A 2D projection of 3D fragment trajectories revealed that oriGNAI3 is located in a relatively straight segment flanked by bent sites b1 and b2, which map in previously identified Scaffold/Matrix Attachment Region. Sites b3 and b4 are located approximately 2 kb downstream and force the fragment into a strong closed loop structure. The b5 site is also located in an S/MAR that is found just downstream of oriB.

숙성 마늘 유래 S-allylmercaptocysteine의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S-allylmercaptocysteine Derived from Aged Garlic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712-1717
    • /
    • 2012
  •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산화는 동맥경화의 유발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숙성 마늘 유래 유황화합물인 S-allylmercaptocysteine의 항산화 효과를 실험하였다. S-allylmercaptocysteine의 항산화 효과는 $Cu^{2+}$ 유도 LDL에 대하여 thiobarturic acid substance (TBARS)와 전기영동 이동거리, 공액 이중결합으로 측정하였다. 사람 LDL을 $Cu^{2+}$ 유도로 산화시킬 때 S-allylmercaptocysteine은 용량 의존형으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20{\mu}g/ml$ 일 때 거의 완전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S-allylmercaptocysteine에 대한 전기영동 이동거리로 $20{\mu}g/ml$ 일 때 가장 낮았으며 공액 2중결합 형성도 $20{\mu}g/ml$ 일 때 거의 억제되었다. 한편 S-allylmercaptocysteine을 항산화제인 $d{\ell}-{\alpha}$-tocopherol과 LDL에 대한 항산화력을 비교한 결과 같은 농도에서 S-allylmercaptocysteine이 약간 높았다. 따라서 S-allylmercaptocysteine이 동맥경화의 발병과 진행을 예방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Electrophoretic Mobility to Monitor Protein-Surfacant Interactions

  • Hong, Soon-Tae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43-151
    • /
    • 1998
  • Protein -surfactant interactions have been investigate by measuring ζ-potential of $\beta$-lactoglobulin-coated emulsion droplets and $\beta$-lactoglobulin in solution in the rpesenceof surfactant,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effect of protein heat treatment(7$0^{\circ}C$, 30min). When ionic surfactant (SDS or DATEM) is added to the protein solution, the ζ-potential of the mixture is fou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surfactant concentration, indicating surfactant binding to the protein molecules. For heat-denatured protein,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ζ-potential tends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native protein. The effect of surfactant on emulsions is rather complicated .With SDS, small amounts of surfactant addition induce a sharp increase in zeta potential arising from the specific interaction of surfactant with protein. With further surfacant addition, there is a gradual reductio in the ζ-potential, presumably caused by the displacement of adsorped protein (and protein-surfactant complex) from the emulsion droplet surfac by the excess of SDS molecules. At even higher surfactant concentrations, the measured zeta potential appears to increase slightly, possibly due to the formation of a surfactant measured zeta potential appears to increase slightly, possibly due to the formation of surfactant micellar structure at the oil droplet surface. This behaviour contrastswith the results of the corresponding systems containing the anionic emulsifier DATEM, in which the ζ-potential of the system is found to increase continuously with R, particularly at very low surfactant concentration. Overall, such behaviour is consisten with a combination of complexation and competitive displacement between surfactant and protein occurring at the oil-water interface. In addition, it has also been found that above the CMC, there is a time-dependent increase in the negative ζ-potential of emulsion droplets in solutions of SDS, possibly due to the solublization of oil droplets into surfactant micelles in the aqueous bulk phase.

  • PDF

Enantioselective electrophoretic behavior of lipoic acid in single and dual cyclodextrin systems

  • Le, Thi-Anh-Tuyet;Nguyen, Bao-Tan;Phan, Thanh Dung;Kang, Jong-Seong;Kim, Kyeong Ho
    • 분석과학
    • /
    • 제34권4호
    • /
    • pp.143-152
    • /
    • 2021
  • Capillary electrophoresis (CE) is an effective technique to study chiral recognition because it offers flexibility in adjusting vital factors. Currently, various available cyclodextrins (CDs) can be employed for the chiral separation of numerous analytes. Herein, we investigate the enantioseparation behavior of lipoic acid enantiomers in various types of single and dual CD systems through CE. Additionally, several impacted CE parameters were optimized through the systematic investigation based on the design of experiment (DoE) concept for a single system comprising a heptakis (2,3,6-tri-O-methyl)-β-CD and a dual system cont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single CD with a sulfated-β-CD. Consequently, absolute enantioresolution was obtained within 15 min on a common standard bare fused-silica capillary (64.5/56 cm in total/effective length, 50/365 ㎛ inner/outer diameter), maintained at 15 ℃ and at an applied voltage of 24 kV. The optimal background electrolyte consisted of 6 mM heptakis (2,3,6-tri-O-methyl)-β-CD dissolved in the solution of 58 mM borate buffer at pH 10. Furthermore, the results of apparent binding constant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S-enantiomer-heptakis (2,3,6-tri-O-methyl)-β-CD complex exhibited a stronger affinity than its R-enantiomer counterpart. The obtained electrophoretic mobility values could be utilized to interpret the resolution achieved at various CD concentrations and the mobility behavior of the complexes elucidated the migration order of the enantiomers in an electropherogram.

전기막 시스템에서 유속과 농도에 따른 형광염료의 농축 및 전기영동 이동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concentration and Electrophoretic Mobility of Fluorescent Dyes Depending on Flow Velocity and Concentration in the Electromembrane System)

  • 김민성;김범주
    • 공업화학
    • /
    • 제34권1호
    • /
    • pp.45-50
    • /
    • 2023
  • 마이크로 유체 시스템을 활용한 농축 기술은 저과다 분석물을 특정 위치에 모으거나 추출하는 기술로, 의료 및 바이오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온교환막을 활용한 전기막 시스템(electromembrane system)에서 전기영동(electrophoresis) 현상을 이용해 타겟 샘플을 농축할 때 고려해야 할 변수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시화가 용이한 형광염료로 음전하를 띄는 Alexa Fluor 488과 양전하를 띄는 Rhodamine 6G을 샘플로 사용하여, 타겟 샘플이 포함된 메인 채널의 유속과 메인/버퍼 채널의 농도, 전압 등이 샘플 농축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메인/버퍼 채널 농도비가 같을 경우, 유속이 느릴수록, 샘플이 포함된 메인 채널의 농도가 높을수록, 타겟 샘플의 농축이 훨씬 더 잘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Alexa Fluor 488과 Rhodamine 6G의 전기영동 이동도 값을 실험적으로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인체 폐암세포주에서 NF-$\kappa$B p50/p65 Complex의 활성화 (Activation of the NF-$\kappa$B p50/p65 Complex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 최형석;유철규;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185-194
    • /
    • 1999
  • 연구배경: NF-$\kappa$B는 단백질이 생성된 후의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과 세포내에서의 위치 변화(subcellular localization)에 따라 그 작용이 결정되는 특성을 가진 전사 인자로서 최초에는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실이 알려졌으나 그후 이러한 작용이외에도 급성기 염증 반응, 바이러스의 증식, 세포의 발생과 분화에 있어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최근의 연구들에서 NF-$\kappa$B 전사 인자가 정상 세포로부터 암세포로의 형질전환에 있어서도 어떤 기능을 할 것이라는 사실들이 알려지게 되었다. NF-$\kappa$B가 암세포로의 형질 전환, 나아가 암세포의 생성에 어떤 역할을 제공한다면 이러한 사실은 나아가 향후의 암치료에 있어서도 유용한 지식이 될 수 있다. NF-$\kappa$B 전사 인자가 인체 암세포에 있어서 세포의 형질 변환에 연관될 수 있다는 사실은 몇몇 암종에서 알려져 있으나 폐암에서의 NF-$\kappa$B 전사 인자의 종양 생성기능에 있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배양된 인체 폐암세포주에 있어서 NF-$\kappa$B family 전사 인자들의 발현정도를 western blot를 이용하여 관찰하고 과발현된 NF-$\kappa$B 전사 인자의 세포내 위치가 세포핵인지 세포질내에 존재하는 것인지를 각각의 단백질 분획에서 western blot를 시행하여 관찰하였고 또한 immunocy-tochemistry를 시행하여 그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존재하는 NF-$\kappa$B 전사 인자가 어떠한 복합체의 형태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주의 단백 추출물에서 NF-$\kappa$B family 전사 인자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mmunoprecipitation을 시행하였다. 세포주 단백추출물의 $\kappa$B consensus oligonucleotide에의 결합여부를 보기위하여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를 시행하였다. 결 과: 배양된 인체 폐암세포주에서는 NF-$\kappa$B family의 p50 subunit, p65 subunit가 발현되어 있었고 p50 subunit의 발현은 세포핵내에 국한하여 위치하고 있음을 western blot와 immunocytochemistry를 통하여 관찰할 수 있었다 immunoprecipitation assay는 세포내에서 p50 subunit가 p65 subunit와 복합체를 이루는 상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폐암세포주의 세포핵 추출물은 NF-$\kappa$B consensus oligonucleotide와 결합할 수 있음을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인체 폐암세포주에서 NF-$\kappa$B family 전사 인자의 발현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NF-$\kappa$B family 전사 영자가 인체 폐암 형성에 있어 어떤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인체 Jurkat T 세포에 있어서 세포주기에 따른 MCAK 단백질의 세포 내 위치변화 (Differential Intracellular Localization of Mitotic Centromere-associated Kinesin (MCAK) During Cell Cycle Progression in Human Jurkat T Cells)

  • 전도연;류석우;김수정;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53-260
    • /
    • 2005
  • 인체 MCAK 단백질을 Escherichia. coli에서 재조합 단백질로 발현하였다. 이를 SDS-PAGE 후 electroelution으로 정제하고 항원으로 사용하여 rat에서 다클론성 항체생성을 유도한 결과, 생성된 항체는 Western blot analysis에 의해 인체 MCAK 단백질 (81 kDa)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었으며, Jurkat T cells과 293T cells에 있어서 MCAK 단백질의 대부분이 핵 내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주기에 따른 MCAK 단백질의 발현양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Jurkat T cells을 Hydroxy urea 또는 Nocodazole의 처리로 $G_{1}/S$ boundary 그리고 $G_{2}/M$ boundary에 blocking하고 이로부터 release 시키는 시간을 달리하여 다양한 세포주기상에 위치한 Jurkat T cells을 확보하였다. 각각의 Jurkat T cells로부터 cell lysate를 얻어서 Western blot analysis를 시도한 결과, MCAK 발현양은 S phase에서 가장 높았으며 MCAK의 SDS-PAGE상의 mobility가 81 kDa에서 84 kDa로 shift됨을 확인하였다. MCAK의 전기영동상의 mobility shift에 의한 slow moving $p84^{HsMCAK}$는 S phase 후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G_{2}/M$ phase에 최대였고 $G_{1}$, phase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세포주기에 따라 MCAK의 단백질의 인산화 양상이 달라짐을 시사한다. 생성된 항체를 이용한 Immunocytochemical analysis의 결과, 인체 MCAK 단백질은 세포주기의 interphase에서는 주로 중심체와 핵에 존재하며, M phase의 각 단계에 따라서 spindle pole, centromere, spindle fiber 또는 midbody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E. coli에서 발현된 재조합 HsMCAK 단백질을 항원으로 하여 rat에서 생산한 다클론성 항체가 HsMCAK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과 또한 HsMCAK 단백질의 인산화를 나타내는 SDS-PAGE상의 mobility-shift가 $G_{2}/M$ phase에 최대에 도달하는 양상으로 세포주기에 따라 변동됨을 나타내며, HsMCAK의 인산화와 HsMCAK의 세포 내 위치간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결과는 hamster 및 Xenopus 등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는 MCAK의 세포주기상의 주요기능이 인체세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산 두류의 Trypsin Inhibitor에 관한 생화학적 연구 (Studies on the Trypsin Inhibitor in Raw Beans of Korea)

  • 박성배
    • 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2-82
    • /
    • 1978
  • This study was undertaken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rypsin inhibitor in raw soybean and antinutritional effect of raw legumes. 1) Among legumes produced in Korea, Glycine max contains a relatively high amount of protein(higher than 40%) compared with kindey bean, sword bean and mung bean and, furthermore, soybean which contains a high amount of protein possesses high trypsin inhibitory activity. 2) Disc electrophoretic pattern exhibited pattern exhibited that the crude protein preparation from Glycine max produced about 9-12 protein bands, and the pattern of electrophoretic mobility was very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only a few protein bands were observed from the crude protein preparation of yard long bean, sword bean, adzuki bean, mung bean and rice adzuki. From the eluate of the sliced gel,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ose bands, only the fastest moving band contains trypsin inhibitory activity. 3) In chicks fed the normal diet the body weight was increased steady from one week and reached to 40% increase for three weeks but in chick fed raw bean diet, there was no body weight gain until two weeks feeding and only 10-20% of body weight gain was observed at the end of three week feeding. On the other hand, in chicks fed raw bean diet the weight of pancreatic tissue per 100g body weight was increased to about two-fold for two or three weeks but there was no change in liver weight. 4) In the case of amylase secretion from the pancreatic fragment, very strong stimulation on amylase secretion from pancreatic tissue of chicks fed a normal diet was produced by one unit of cholecystokin-pancreozymin. However, no stimulation was observed from pancreatic fragment of chick fed raw bean diet.

  • PDF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용 OTFT-하판 제작 연구 (Study on OTFT-Backplane for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 이명원;류기성;송정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7호
    • /
    • pp.1-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플라스틱 기판에 OTFT를 스위칭 소자로 사용하여 유연한 EPD 패널을 제작하였다. OTFT의 채널 폭과 길이의 비(W/L)는 EPD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 15이상으로 설계를 하였다. 게이트전극은 Al, 절연층은 cross-linked PVP, 반도체층은 펜타센, 중간층은 PVA/Acryl를 사용하였다. 플라스틱 기판은 보호층 처리를 통하여 열처리 공정 시 발생하는 입자를 제거하였고, 거친 표면을 평탄화하였다. 반도체층의 크기는 게이트 전극 보다 작도록 제한하여 누설전류를 줄일 수 있었다. EPD-상판과 OTFT-하판 사이에 픽셀전극을 삽입하고 또한 OTFT-하판을 보호하기 위하여 PVA/Acryl로 구성된 중간층을 상빙하였다. 완성된 OTFT-하판에서 OTFT의 이동도는 $0.21cm^2/V.s$, 전류점멸비(Ion/Ioff)는 $10^5$ 이상의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