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Dictionary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17초

MP3Player의 변화에서 나타나는 재매개적 특성 II: 외형적 변화와 문화, 사회적 패러다임을 통한 재매개성 (Remediation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Change of MP3Player II: Re-mediation through Appearance Changes, Cultural and Social Paradigms)

  • 이진혁;이영천;구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69-78
    • /
    • 2013
  • 최근 국내의 MP3P는, DMB, 영상재생, 라디오, 전자사전, 저장장치, 인터넷이 제공되는 그야말로 통합 멀티미디어 기기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들이 모두 한 번에 매개되어 제공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들을 확보하거나 탑재하기까지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그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원인은 무엇이었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매체를 통한 매체의 변화요인을 접근하는 것이다. 결국 이 연구의 핵심 논점인 MP3P의 변화를 통해 문화, 사회적인 변화의 요인들을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매체를 통한 사회상을 연구하는 방법론적 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MP3Player의 계보적 변화에 따른 재매개성을 접근한 것이다. MP3Player의 재매개성을 통한 매체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한 사회적 맥락성의 변화도 접근하였다. 하나의 매체가 변화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MP3Player의 변화에는 기술적 변화 외에도 각 매체간의 재매개성이 존재한다. MP3Player의 재매개성을 통한 변화에는 '기기간의 재매개성'과 '사회 맥락적인 재매개성'이 있다고 하겠다.

Sentence BERT를 이용한 내용 기반 국문 저널추천 시스템 (Content-based Korean journal recommendation system using Sentence BERT)

  • 김용우;김대영;서현희;김영민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37-55
    • /
    • 2023
  • 전자저널의 발전과 다양한 융복합 연구들이 생겨나면서 연구를 게시할 저널의 선택은 신진 연구자들은 물론 기존 연구자들에게도 새로운 문제로 떠올랐다. 논문의 수준이 높더라도 논문의 주제와 저널 범위의 불일치로 인해 게재가 거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의 저널 선정을 돕기 위한 연구는 영문 저널을 대상으로는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한국어 저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저널을 대상으로 투고할 저널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첫 번째 단계는 과거 저널에 게재된 논문들의 초록을 SBERT (Sentence-BERT)를 이용하여 문서 단위로 임베딩하고 새로운 문서와 기존 게재논문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저널을 추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초록의 유사도 여부, 키워드 일치 여부, 제목 유사성을 고려하여 추천할 저널의 순서가 결정되고, 저널별로 구축된 단어 사전을 이용하여 선순위 추천 저널과 유사한 저널을 찾아 추천 리스트에 추가하여 추천 다양성을 높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축된 추천 시스템을 평가한 결과 Top-10 정확도 76.6%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추천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를 요청하고 추천 결과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각 단계가 추천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국문 학술지 추천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제안된 기능을 문서와 저널 보유상태에 따라 변경하여 손쉽게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의를 가진다.

인간언어공학에의 활용을 위한 이종 개념체계 간 사상 - 세종의미부류와 KorLexNoun 1.5 - (Mapping Heterogenous Ontologies for the HLP Applications - Sejong Semantic Classes and KorLexNoun 1.5 -)

  • 배선미;임경업;윤애선
    • 인지과학
    • /
    • 제21권1호
    • /
    • pp.95-1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인간언어공학에서의 활용을 위해 매우 이질적인 세종전자사전의 의미부류(SJSC)와 KorLexNoun 1.5(KLN)의 상위노드 간의 사상을 목표로, '의미 입자(sense grain)가 작은 개념체계(fine-grained ontology)' 간 귀납적이며 상향적인 수동 사상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동시에 이종 자원 간의 사상에 있어 각 의미체계의 이질성 때문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도 제안하였다. 두 이종 개념체계 간의 사상 방법은 SJSC의 단말 노드와 KLN의 Least Upper Bound(LUB)를 기본단위로 하여, 첫째, 어휘 분포를 이용하여 사상 후보군을 결정하고, 둘째, 계층 관계와 정의문과 용례를 이용하여 후보군들 간의 정확한 의미구분을 하며, 셋째, 상 하위-자매노드에 SJSC의 적정술어 및 정의문을 적용하여 LUB의 단계를 결정하고, 넷째, 양 의미체계의 계층관계를 비교함으로써 SJSC의 단말 노드와의 사상 여부를 판단하며, 마지막으로 KLN의 오류 및 전문용어 후보군은 사상에서 제외하였다. 이와같이 본 연구에서는 단계별 사상 준거의 설정에 있어 각 의미체계에 기술되어 있는 다양한 언어정보를 적극 이용하였는데, 이는 세밀한 수동 사상의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사상한 결과, SJSC의 474개의 단말 및 비단말 노드와 KLN의 신셋(synset) 간에는 중복을 제외하고 6,487개의 LUB가 사상되었으며, 각 LUB의 하위노드를 포함해서는 모두 88,255개의 KLN 신셋이 사상되어 전체적으로는 97.91%가 사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교한 한국어 통사 및 의미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