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4초

연수 추출물과 Kaempferol의 항산화 및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xtract of Stamens of Nelumbo nucifera and Kaempferol)

  • 한두석;전성우;김현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3-33
    • /
    • 2009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xtract of stamens of Nelumbo nucifera and Kaempferol. Methods : Antioxidant effect was measured by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r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for SOD and lipid peroxidation. Anticancer effect was assessed by MTT absorbance for cytotoxicity. Results : Vitamin E, Kaempferol and ethyl acetate extract of stamens of Nelumbo nucifera increased SOD-like activity and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dose-dependently. On the contrary, lipid peroxidation was time-dependently decreased. Furthermore, Kaempferol and ethyl acetate extract of stamens of Nelumbo nucifer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growth rate of C6 glioma cell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yl acetate extract of stamens of Nelumbo nucifera may be a putative antioxidant or anticancer substance.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 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31-636
    • /
    • 2005
  • 본 연구는 3종류의 약용식물(당귀, 목통, 골담초)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여 건강 식품의 제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3종류의 한약재중 물추출물의 수율은 목통($35.63\%$)>골담초($31.36\%$)>당귀($8.98\%$)의 순이었으며 에탄을 추출물의 수율은 목통($31.82\%$)>당귀($14.15\%$), 골담초($5.20\%$)의 순으로서 목통이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한약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 300-1,000 ppm에서 당귀가 $62-88\%$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을 추출물 300-1,000 ppm에서는 목통이 $72-87\%$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pH 1.2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추출물 1,000 ppm에서 $35-40\%$로 골담초가 가장 높았고, 에탄을 추출물 1,000 ppm에서 $33-42\%$로서 목통이 가장 높았다. 3종류의 한약재 중에서 목통은 추출물의 수율이 가장 높고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여 식품에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의 목적으로 첨가할 수 있는 적합한 약재로 생각된다.

황 시용방법에 따른 잇꽃 종실의 품질 (Effect of Sulfur Fertilization Method on Quality of Safflower Seed)

  • 김민자;김인재;남상영;이철희;송범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54-458
    • /
    • 2004
  • 잇꽃 종실의 품질 향상에 효과적인 황 시용방법을 구명하고자 황분말 20 kg/10a와 유안의 시용방법 및 시용량을 달리하여 종실의 영양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질소와 황 함량은 황 무시용구에 비해 시용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황 처리간에는 질소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황 함량은 유안 토양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유안 시비방법 간에는 토양시비 33 kg/10a와 엽면시비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질소/황 비율은 황 시용으로 질소/황 비율이 저하되었고, 유안 토양시비 간에는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유안 49.5 kg/10a 처리시 가장 낮았다. 2. 종실의 조지방과 조단백질 함량은 황 시용시 무시용에 비하여 높았으며, 황 유형 간에는 조지방이 유안 엽면시비에서 가장 높았고, 조단백질이 유안 16.5 kg/10a에서 가장 낮았던 것을 제외하고 차이가 없었다. 3.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황 시용으로 증가하였다. 황 처리 간에는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항산화 활성은 황분말과 유안 33.0 kg/10a 처리에서 다소 높았다.

국내산과 중국산 자화지정(Viola mandshurica)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and Chinese Viola mandshurica Extracts)

  • 최복동;박창수;주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01-1108
    • /
    • 2008
  •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V. mandshurica)의 잎과 뿌리 그리고 한방생약재로 유통, 판매되고 있는 중국산 자화지정의 생리활성을 측정 비교하였다. 중국산 자화지정의 물 추출물의 수율이 30.45 g/100 g으로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102.30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다.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중국산 자화지정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136.16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자공여능은 국내에서 채집된 자회지정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92.69%와 93.61%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국내산 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17.28%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중국산 잎 추출물이 pH 1.2와 pH 3.0의 조건에서 50% 이상의 소거율을 보였으며,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국내산과 중국산 모두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98.67%와 93.80%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중국산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45.04%와 31.36%로 국내산 자화지정 잎과 뿌리보다 tyrosinase 저해율이 매우 높았다. 이상의 결과 추출물의 수율,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 및 아질산염 소거능 그리고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중국산 자화지정이 국내산 자화지정보다 높은 함량과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능 그리고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는 국내산이 중국산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자화지정의 뿌리 추출물은 국내산과 중국산의 자화지정 잎추출물보다 낮은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생리활성 결과는 자화지정이 훌륭한 기능성식품 소재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재배지역에 따른 검정콩 항산화 성분의 함량변이 (Variation in Antioxidant Components of Black Soybean as Affected by Variety and Cultivation Region)

  • 이은섭;이용선;윤성탁;이혁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80-87
    • /
    • 2009
  •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생리활성성분(isoflavone, anthocyanin 및 tocopherol 함량, 항산화 활성)변이를 구명하여, 생리활성성분 고함유 품종선발과 생리활성성분 축적에 유리한 재배지역을 발굴하여 지역특화작목으로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립중은 품종간에는 차이 없었으나, 지역간에는 2004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 2005년에는 화성이나 진주보다 나주에서 현저하게 가벼웠다. 총 isoflavone 함량은 2004년에는 일품검정콩이 $1,064.9{\mu}g/g$으로 청자콩의 $801.3{\mu}g/g$에 비해 높았으나, 2005년에는 오히려 일품검정콩에 비해 청자콩이 높았다. 재배지역간에는 2004년에는 두 품종 모두 화성지역에서 뚜렷하게 높았으나, 2005년에는 진주지역이 화성이나 나주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총 anthocyanin 함량은 품종 간에는 일품검정콩이 7.22 mg/g으로 청자콩의 6.83 mg/g에 비해 높았으며, 재배지역간에는 진주지역에서 9.16 mg/g으로 나주, 화성지역에 비해 가장 높았다. 총 tocopherol 함량은 품종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지역 간에는 화성, 진주지역이 각각 $217.2{\mu}g/g$, $216.3{\mu}g/g$으로 나주지역 $189.7{\mu}g/g$에 비해 높았다. tocopherol 성분비율은 $\gamma$-tocopherol이 $56.2{\sim}59.9%$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품종간에는 일품검정콩이 청자콩보다, 지역간에는 화성이나 진주보다 나주에서 EDA 값이 55.6%로 가장 높았다.

쇠무릎 잎과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연구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Stems of Achyranthes japonica)

  • 서수정;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972-979
    • /
    • 2014
  • 한방에서 건조된 뿌리를 '우슬'이라는 약재로 이용되는 쇠무릎의 잎과 줄기를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하여 유용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총 함량을 측정한 결과 쇠무릎 잎의 물 추출물인 LWE에서 각각 58.27 mg/g과 42.22 mg/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단백질 함량에서도 LWE에서 16.42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인 SEE에서 11.35 mg/g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자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SEE가 93.41%로 가장 우수한 전자공여 효과를 보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모든 추출물이 10% 미만의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의 1.0 mg/mL의 농도에서 LWE가 94.90%의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H 3.0에서도 LWE가 45.20%로 가장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LWE는 1.0 mg/mL 66.67%로 가장 높은 XO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LEE와 SWE도 각각 31.17%와 32.06%의 XO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쇠무릎 잎은 다량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였으며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능, 아질산염 소거 효과도 줄기보다 우수하며 식용 및 약용식물로 이용되는 여러 식물보다 우수하여 쇠무릎 잎을 식용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의 첨가제나 천연 항산화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양배추의 항산화성 추출물 제조를 위한 마이크로웨브 추출조건 설정 (Pie-establishment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for Antioxidative Extracts from Cabbage)

  • 노정은;최유경;김현구;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2-67
    • /
    • 2005
  • 양배추의 고부가가치 이용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선택적 가열 및 추출특성이 알려진 마이크로파 에너지(50 W, 2,450 MHz)를 이용하여 양배추 추출물의 총 수율과 총 페놀 함량 및 전자공여능의 효율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에탄올$(50\%)$ 용매에서 건조 양배추의 입자 크기는 20 mesh 정도가 적당하였고, 시료와 용매비는 생체시료(수분 $90.2\%$)와 건조시료(수분 $4.5\%$) 모두에서 1:10(5 g/50 mL) 정도가 가장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의 영향에서는 생체시료에서는 $50\%$ 에탄올$>100\%$ 에탄올<물의 순으로, 건조시료에서는 $50\%$ 에탄올>물$>100\%$ 에탄올의 순으로 높은 추출수율을 보여주었다.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추출 3분 이후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생양배추 시료에서는 $100\%$ 에탄올$>50\%$ 에탄올>물의 순으로, 건조 양배추 시료에서는 $50\%$ 에탄올>물$>100\%$ 에탄을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삼백초의 유효성분 함량, 항산화능 및 색도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Content of Active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Color Values of Saururus chinensis Bail)

  • 김민자;김인재;남상영;이철희;윤태;송범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3
    • /
    • 2006
  • 삼백초의 유효성분과 선도유지에 적합한 건조방법을 구명하고자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건조시킨 후 건조방법별 유효성분 함량과 선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방법별 건조시간은 양건에 비해 열풍건조와 동결건조시 $88{\sim}93%$ 단축되었다. 건물수율은 동결건조 > 양건 > 열풍건조 순으로 높았고, 건조후 수분 함량은 양건 > 열풍건조 > 동결건조 순으로 높았다. 2. 총페놀성 화합물과 quercetin 관련물질 함량은 동결건조 > 열풍건조 > 양건 순으로 높았으며, 열풍건조후 볶음 또는 건조전 증자 처리를 함으로써 감소되었다. 항산화 활성은 동결건조에서 가장 높았고, 열풍건조와 양건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열풍건조후 볶음 또는 건조전 증자 처리를 함으로써 증가하여 총페놀성 화합물과 quercetin 관련물질 함량과는 다른 경향을 보였다. 3. 적색도 (a)는 동결건조 < 열풍건조 < 양건 순으로 낮았다. 4. 열풍건조시 부위별 총페놀성화합물과 quercetin 관련물질 함량은 꽃 > 잎 > 세절 > 줄기 순으로 높았으며, 항산화 활성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부위별 적색도는 잎 < 세절 < 꽃 < 줄기 순으로 낮았다. 5. 삼백초의 유효성분과 선도유지에 적합한 건조방법은 세절하여 동결건조하거나 잎과 꽃만을 열풍건조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열수추출 및 효소처리에 따른 감귤 과피 추출물의 기능성성분 수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Yield of Functional Components of Citrus Peel Extracts using Optimized Hot Water Extraction and Enzymatic Hydrolysis)

  • 노정은;윤성란;임애경;김혜정;허담;김대익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1-55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peel extracts with different hot water extraction and enzymatic hydrolysis conditions. Enzymatic hydrolysis was also employed using Viscozyme L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optimized hot water extract.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under different parameters; the sample to solvent ratio(1:20, 1:15, 1:10), extraction time(2, 4 hrs), extraction temperature(85, $95^{\circ}C$) and enzymatic hydrolysis(0, 1%) and the subsequent extracts were used for determining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total yield,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With the increase in the sample to solvent ratio and extraction time, total yield,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EDA increased. But extraction temperatur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hot water extract. As hot water extract was hydrolyzed by the enzyme, total yield and active ingredients increased rapidly. In the result of total yield,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EDA, the activity of enzyme-treated extract was higher than those of enzyme-untreated extract. Based upon the overall hot water extraction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20 times volume or 120 min at a time at $95^{\circ}C$ after enzyme treatment was optimal.

Anti-oxidization Effect of Extracts from Oriental Medicine and Cereal Medium Where Tricholoma matsutake Mycelia were Cultured

  • Kim, Hae-Ja;Lee, Ki-Nam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72-677
    • /
    • 2008
  • In order to explore the anti-oxidization effect of oriental medicine and cereal medium(OCM) where Tricholoma matsutake mycelia were cultured, measurement of hot water extract and UMPM(extraction method using ultra sonic waves, micro waves, micro bubble) extrac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crude polysaccharide from each extract, SOD-like activity,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conduct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each extract was found to be 16.36% for hot water extract(HE) group and 15.73% for UMPM extract(UE) group and the amount of crude polysaccharide precipitated into ethanol of extracts was found to be 8.79% for UMPM ethanol extract(UEE) group and 6.48% for hot water ethanol extract(HEE) group. As a result of measurement of SOD-like activity by concentration of each extract, it was found to be 96.17% for UE group, 91.23% for HE group, 91.33% for UEE group, and 87.11% for HEE group at 20 mg/mL. In the case of EDA, it was found to be 47.55% for UE group, 44.93% for HE group, 25.38% for UEE group, and 18.36% for HEE group. And in the cases of the rates of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s the concentration of each extract increased, the inhibition rate increased accordingly.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hot water extract method and UMPM extract method using extracts obtained from oriental medicine compound medium where Tricholoma matsutake mycelia were cultured, all of the extracts were judged to have a high anti-oxidization effect. In particular, UMPM extracts were found to have higher polyphenol content, SOD-like activity, EDA,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to hot water extract method. In this regard, extracts obtained from OCM where Tricholoma matsutake mycelia were cultured are considered to have high availability as functional material when and if they are prepared using UMPM extract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