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5초

가열처리 방법에 따른 쑥의 항산화성 및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temisia sp. with Different Heat Treatments)

  • 김충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8-13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약리작용과 기능성, 풍미작용을 지닌 쑥의 품질과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가열시간과 온도에 따라 감소하였고, 무기질에서 P는 덖음의 230 > 80 > $110^{\circ}C$ 순서로 나타났고 데침은 1, 2분 처리에서는 0.50%, 5분 처리에서는 0.38%로 나타났다. Ca는 처리별로 큰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Fe는 100 g 당 0.54~1.02 mg으로 일반채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페놀 화합물은 대조구인 생쑥에서 가장 높았고, 데침의 1분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고 덖음의 $110^{\circ}C$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성인 전자공여능은 덖음의 $230^{\circ}C$ 14분 처리에서 급속히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쑥의 식품으로 이용시 덖음의 낮은 온도나 우리나라 전통방식인 데침을 이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용매에 따른 양송이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garicus bisporus Extracts as Affected by Solvents)

  • 임태수;도정룡;권오준;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83-388
    • /
    • 2007
  • 갈색과 흰색 양송이를 열수, 50% 에탄올 및 100% 에탄올 등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건물 중량의 10배에 해당되는 부피(w/v)일 때,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탐색하였다 전자공여 작용의 경우 갈색양송이의 50% 에탄을 추출물에서 66.54%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갈색양송이의 열수 추출물이 55.42%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Tyrosinase저해활성의 경우 두 종류 모두 100% 에탄을 추출물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며, 갈색양송이가 흰색양송이보다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비교물질인 0.1% L-ascorbate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총 폴리 페놀 함량의 경우 두 종류 모두 열수 추출물보다 50%, 100% 에탄을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한 결과 pH 1.2일 때 갈색양송이와 흰색양송이 모두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쇠비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Helicobacterpylori에 대한 항균 활성 (The Antioxidant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s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on Helicobacter pylori)

  • 박소해;김대광;배지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6-3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쇠비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위궤양 유발 병원균으로 잘 알려진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쇠비름의 유기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총 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TBARS 등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쇠비름의 총 페놀 함량은 약탕기 추출물에서 72.2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자공여능은 ethyl acetate 분획물이 91.8%와 methanol 분획물이 90.6%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2.5 mg/$m{\ell}$의 농도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 17.4%와 petroleum ether 분획물 16.4%로 높게 나타났다. 쇠비름의 TBARS에 의한 항산화 효과는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Paper disc 법에 의한 Helicobacter pylori 항균 활성의 경우, 쇠비름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inhibition zone 크기가 증가하였고, 쇠비름의 petroleum ether 분획물 10,000 ppm 농도에서 가장 큰 활성이 나타났다.

호부추와 실부추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ek Extracts from Allium tuberosum and Allium senescens)

  • 임태수;오현인;도정룡;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01-306
    • /
    • 2006
  • 호부추(Allium tuberosum)와 실부추(Allium senescens)를 열수, 50% 에탄올 및 100% 에탄올 등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건물 중량의 10배에 해당되는 부피(w/v)일 때,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탐색하였다. 전자공여작용의 경우 호부추의 50% 에탄올추출물에서 41.68%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호부추의 열수추출물이 36.33%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의 경우 두 종류 모두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며, 호부추가 실부추보다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비교물질인 0.01% L-ascorbate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두 종류 모두 열수추출물보다 50%, 100% 에탄올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한 결과 pH 1.2일 때 호부추와 실부추 모두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부추의 생리활성을 밝혀 기능성 소재로써 이용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흑미가루를 첨가한 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read Substituted with Black Rice Flour)

  • 임지순;이영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03-908
    • /
    • 2010
  • 일반 쌀가루에 활성 글루텐, gum 및 유화제를 첨가하여 쌀 빵을 제조시에 흑미가루의 부분적인 대체(10~30%)가 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쌀 식빵의 부피는 일반 쌀가루로만 제조한 100% 쌀가루 식빵에 비해 흑미가루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흑미가루를 첨가한 쌀 식빵의 내부색은 흑미의 어두운 색상에 의해 L값이 현저히 감소하여 어두워졌으며, 적색도는 증가하고, 황색도는 약간 감소하였다. 흑미가루 첨가 쌀 식빵의 저장 중 텍스쳐에서 대조구 쌀 식빵과 비교하여 흑미가루 10~20% 첨가 쌀 식빵은 3일간 저장 기간 중에 식빵의 경도에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흑미가루 30% 첨가 쌀 식빵에서는 경도가 현저히 높게 증가하였다. 흑미가루 첨가 쌀 식빵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흑미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흑미 첨가 쌀 식빵의 항산화 활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용매에 따른 뽕잎과 오디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주민정;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42-448
    • /
    • 2009
  • 뽕잎과 오디를 물, 50% 에탄올, 100%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여 microwave로 추출하여 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뽕잎과 오디의 전자공여작용의 측정결과 모두 용매별 차이를 보였으며, 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65.22{\sim}81.77%$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Tyrosinase는 $20.25{\sim}21.13%$로 20% 내외의 결과를 보였으며 용매별 차이는 없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뽕잎과 오디 모두 에탄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물 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작용의 경우 모든 추출물에서 뽕잎보다 오디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작용, tyrosinase저해작용, SOD 유사활성 모두 물과 50% 에탄올 추출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ACE 저해 작용의 경우 100% 에탄올 추출구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의 증가에 따라 그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뽕잎과 오디 추출구의 경우 SOD 유사활성,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ACE 저해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에서는 낮은 결과를 보였지만 어느 정도의 활성을 보였으며, 우수한 전자공여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추출 시 시료의 양이나 추출물의 농도를 조금씩 높여 준다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Lepista nuda)

  • 이양숙;박동철;주은영;신승렬;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42-947
    • /
    • 2005
  • 민자주방망이버섯의 항산화력을 알아보기 위해 환류 추출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물과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각 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농도에 따른 전자공여능,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ppm농도에서 마이크로웨이브 물추출물(MWE)이 $87.73\%$로 가장 높았으며, 마이크로웨이브 에탄을 추출물(MEE)은 $84.84\%$로서 환류 추출방법을 이용한 환류 물추출물(RWE)의 $60.47\%$와 환류 에탄올추출물(REE)의 $60.13\%$보다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1,000ppm 농도에서 REE$(42.03\%)$, RWE$(38.21\%)$는 MWE$(29.24\%)$와 MEE$(24.58\%)$보다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1.2 조건의 1,000ppm 농도에서 MWE$(29.77\%)$, MEE$(25.47\%)$는 RWE$(25.12\%)$와 REE$(22.94\%)$보다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 민자주방망이버섯은 MWE에서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높았으며, SOD 유사활성은 REE가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향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동석;정승현;이성갑;손종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사단법인 창립총회
    • /
    • pp.87-87
    • /
    • 2003
  • 정향을 물, 메탄올, 에테르로 각각 추출하여 각 추출물별로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과산화물가와 에멀젼 시스템에서의 항산화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Follin-Dennis법으로 구한 물, 메탄올 및 에테르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2.34, 6.98, 5.83 mg/100g으로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큰 함량을 보였다. 정향의 물, 메탄올 및 에테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86%, 78%, 68%이었다. 리놀레인산 기질에서의 항산화효과는 메탄올 및 에테르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에멀젼 시스템에서는 물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략)

  • PDF

양파껍질과 양파육질의 용매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n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Onion Peel and Onion Flesh)

  • 조정순;방현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4권1호
    • /
    • pp.14-19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onion as a natural antioxidant. Onion was distinguished as yellow onion peel and onion flesh. Onion samples were extracted with 5 different kinds of solvents such as water, 70% ethanol, 99.9%ethanol, 99.9% methanol, and 96% butanol in order to select optimal extraction solvents, In this part of study linoleic acid was used s an model system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antioxidant activities. The optimal extraction rate of various solvents containing onion sample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extraction yield,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thiobarbituric acid(TBA), and thiocyanate, which are common methods for measuring activity. As a result 70% ethanol was shown as the most effective solvent.

  • PDF

현미가루를 첨가한 증편반죽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eung-pyun Dough Containing with Different Amounts of Brown Rice)

  • 정상열;박미정;이숙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17
    • /
    • 2011
  •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lished rice flour, brown rice flour, and Jeung-pyun dough were studied. The protein, lipid, dietary fiber, pH of brown rice flour were higher than those of polished rice flou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of brown rice flour (83.60 mg%, 2.44%,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of polished rice flour (56.91 mg%, 1.43%,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gelatinization of brown rice flour higher than that of polished rice flour. The counts in Jeung-pyun dough were not significantly decreased brown-rice flour. The addition of brown rice flour decreased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evoluted from Jeung-pyun dough. The pH values of brown rice Jeung-pyun dough generally decreased fermentation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