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lyte imbalanc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5초

수화기제탕(水火旣濟湯)이 주령별 흰쥐의 혈청과 테스토스테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hwagije-tang Distillate on Serum and Testosterone in Aging Rats)

  • 이정환;구덕모;안택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5-97
    • /
    • 2010
  • 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distilled Suhwagije-tang in aging rats. 2. Methods The SD rat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6, 48 and 68 weeks old. These groups were treated with distilled water(DW), 1% Vitamin C(Vit. C) and 50% Suhwagije-tang(SGT) distillate respectively, once a day for 4 weeks.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heart and the levels of various parameters in serum were analysed. 3. Results and Conclusions (1) At all concentration of SGT, survival rates of liver cell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2) The rate of which the 10W-SGT group gained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s. (3) The levels of albumin in serum of 10W-SGT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arison to those of the DW group. The levels of ALP,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in serum of 52W-SGT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arison to those of the DW group. (4) The levels of testosterone in serum of SGT groups showed no significantly changes in comparison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s. Testosterone levels were naturally decreased with advancing years, so 72W-DW group's testosteron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arison to those of 10W-DW group's. In contrast, 72W-SGT group's level was the highest in comparison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s and those of deviation from 10W, 52W and 72W in SGT groups was also smaller than control groups'. (5) The levels of glucose, total-bilirubin, ALT, AST, BUN, CRP, hs-CRP, homocystein, Na, K, Na/K ratio, Cl and Ca in serum of SGT groups showed no significantly changes in comparison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al administration of Suhwagije-tang distillate should be effective in promoting growth and preventing rapid decline of testosterone in aging rats does not cause any imbalance in liver, kidney and electrolyte.

심한 이첨판 역류를 가진 개에 실시한 이첨판 성형술의 실패 원인 (Failure of Mitral Valve Repair in a Dog with Severe Mitral Regurgitation)

  • 김민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16-421
    • /
    • 2012
  • 10살령의 4 kg 암컷 치와와가 심한 울혈성심부전의 수술적 치료를 위해서 내원하였다. 여러 가지 진단을 통해 이 환자는 심한 이첨판 폐쇄부전과 중등도의 삼천판 폐쇄부전이 확인되었다. 약물에 대한 치료적인 반응이 여의치 않아, 수술적으로 이첨판을 교정하는 치료방법으로 지시되었다. 체외순환을 이용한 심폐순환기하에서 이첨판교정술이 실시되었다. 하지만 이 환자는 교정 후에 마취에서 회복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심장수술에 있어 실패를 유발하는 여러 가지 원인들에는 심폐순환기 운용, 저체온증, 장기부전, 출혈, 저혈압, 전해질과 산-염기 불균형, 그리고 감염 등이 있다. 비록 이 환자는 사망하였지만, 그 원인을 밝혀 내는 일은 수의학 분야에서 중요한 일이다. 이 증례의 사망원인을 고찰해 본 결과, 심한 저체온증에 의한 가스환기와 산소공급의 이상 그리고 심장수술과 관련한 저심박출량 증후군으로 인한 낮은 심박동수를 동반한 저혈압으로 사망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 증례의 원인 규명을 위한 고찰은 이첨판성형술의 성공을 위해서는 좀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됨을 알 수 있게 해주었고, 나아가 앞으로의 수술에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Intravenous Fluid Selection for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Clipping : Balanced Crystalloid versus Normal Saline

  • Kang, Jian;Song, Young Joo;Jeon, Sujeong;Lee, Junghwa;Lee, Eunsook;Lee, Ju-Yeun;Lee, Euni;Bang, Jae Seung;Lee, Si Un;Han, Moon-Ku;Oh, Chang Wan;Kim, Tacke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4호
    • /
    • pp.534-542
    • /
    • 2021
  • Objective : While balanced crystalloid (BC) could be a relevant fluid regimen with buffer system compared with normal saline (NS),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optimal fluid for surgery of an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UIA).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fluid regimens between NS and BC on the metabolic and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UIA.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propensity score matched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and included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UIA clipping. Patient groups were categorized as NS and BC groups based on the types of pre-operative fluid and the amount of fluid administered during surgery. The primary outcomes were defined as electrolyte imbalance and acidosis immediately after surgery. The secondary outcomes were the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and duration from the end of the operation to extubation. Results : A total of 586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ith each of 293 patients assigned to the NS and BC groups, respectively. Immediately after surgery, serum chlo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S group. Compared to the NS group, the BC group had lower incidence rates of acidemia (6.5% vs. 11.6%, p=0.043) and metabolic acidosis (0.7% vs. 4.4%, p=0.007). As compared to NS group, BC group had significantly shorter duration from the end of the operation to extubation (250±824 vs. 122±372 minutes, p=0.016) and length of stay in ICU (1.37±1.11 vs. 1.12±0.61 days, p=0.001). Throughout multivariable analysis, use of BC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 for favorable post-operative results.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tients who received BC during UIA clipping had lower incidence of metabolic acidosis, earlier extubation and shorter ICU stay compared to those who received NS. Therefore, using BC as a peri-operative fluid can be recommended for patients who undergo surgery for UIA.

좌심실 수축 기능 보전 심부전증으로 인한 흉수에 대한 한양방 복합치료 치험 1례 (A Case of Pleural Effusion in a Patient with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Improved by A Combined Korean-Western Medicine Approach)

  • 하원정;서유나;이영선;조기호;문상관;정우상;권승원
    •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5-56
    • /
    • 2021
  • ■ Background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HFpEF) is a heart failure that appears to have normal contraction function. In the case of HFpEF, no pharmacological therapy has been found to improve clinical prognosis, so it should be approached as an symptomatic treatment, therefore alternatives are needed due to concerns over adverse effects such as electrolyte imbalance caused by medication. ■ Case report A 81 year old female patient with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HFpEF) patient complained dyspnea. Herbal prescription Mokbanggi-tang and Oryeongsan was administered on 6th day and 8th day respectively since the symptoms started. The NYHA Classification and Chest X-ray had been evaluated during the treatment period. Until the 7th day, the patient was classified as Class II, and when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on the 28th day, it gradually improved and was classified as Class II. Chest X-Ray took on 2nd day showed pleural effusion and it was aggravated until 13th day. Follow up Chest X-Ray showed improving state of pleural effusion from 20th day and gradually got better. Mokbanggi-tang treatment continued for 52 days and stopped on 58th day. After Mokbanggi-tang treatment ended, only Oryeongsan treatment was maintained. ■ Conclusion The present case report suggests that Korean-Western medicine approach with Mokbangki-tang and Oryeongsan might be effective to pleural effusion and heart failure symptoms such as poor physical activity shown in a NYHA Classification. This shows that Mokbanggi-tang and Oryeongsan can be a therapeutic option as a treatment for patient with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HFpEF).

신생아 경련의 임상적 양상 및 예후에 관한 고찰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Neonatal Seizures)

  • 김창우;장창환;김행미;최병호;권순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2호
    • /
    • pp.1253-1259
    • /
    • 2003
  • 목 적 : 신생아 경련은 일반적으로 임상적 양상이 소아나 성인과는 크게 다르며 그 빈도도 드물지 않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 및 자료가 부족하여 저자들은 신생아 경련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양상, 치료 및 예후에 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3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신생아 경련으로 치료받았던 41명(남 24, 여 17, 재태연령 $38.4{\pm}3.6$주)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이들의 병력상에 나타난 위험인자, 신경학적 진찰소견, 검사실 소견, 뇌 영상소견, 뇌파소견, 경련의 양상, 치료에 대한 반응 및 예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경련시작 당시의 나이는 $6.1{\pm}4.6$일이었고 경련의 양상은 다발성 간대가 17례(42%), 비정형적 발작이 10례(24%)로 가장 많았다. 병력상 위험인자로서는 비정상적 분만력 및 신생아 가사가 11례(27%), 전해질 이상이 11례(27%), 경련의 가족력이 3례(7%), 뇌의 구조적 이상이 3례(7%), 기타 저혈압 2례(5%) 핵황달, 청색형 선천성 심장병으로 인한 저산소증, 선천성대사이상 등이 3례(7%)였으며 나머지 8례(20%)에서는 위험인자가 발견되지 않았다. 뇌영상 촬영상 21례(51%)에서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였으며 이중 뇌출혈이 9례(22%)였으며 뇌백질연화증이 2례(5%), 뇌경색이 2례(5%)였고 그 외 선천성 수두증, cortical dysplasia, dural sinus thrombosis, 시상부위 음영증가 등의 소견을 보였다. 뇌파는 전체 41례 중 33례에서 시행되었고 17례(52%)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다. 치료는 저혈당이나 전해질이상이 동반된 경우 이를 교정해 주었으며 항경련제로는 phenobarbital을 1차 약제로 사용하였고 반응이 없는 경우 phenytoin을 추가하였다. 경련이 재발하거나 나쁜 예후를 보인 환아들은 많은 수에서 신생아 가사에 의한 뇌손상이나 뇌의 선천성 기형이 있었으며 뇌파상에 비정상적인 배경파나 뇌영상소견상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결 론 : 신생아 경련의 많은 경우가 비정상적인 출산력과 미숙아, 기타 전해질이상과 관련된 문제가 많았고 전반적으로 약물에 대한 반응이 좋았으며 경련 발생 당시의 임상적 소견이나 검사소견 특히 뇌파나 뇌영상 촬영 소견상 큰 이상이 없었던 경우에는 예후가 좋았다. 따라서 신생아 경련의 위험요소를 잘 이해하고 분만 및 경련발생 시 적절한 대처를 해주는 것이 환아의 예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 같다.

ARC(Arthrogryposis, Renal Tubular Dysfunction, Cholestasis) 증후군의 발병양상에 관한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rthrogryposis, Renal Tubular Dysfunction, Cholestasis(ARC) Syndrome in Korea)

  • 이순민;김지홍;이재승;한석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2호
    • /
    • pp.222-230
    • /
    • 2005
  • 목 적 : ARC 증후군은 관절구축, 신세뇨관 장애 및 담즙 정체의 동반으로 진단되며, 윈인 유전자(VPS33B)가 확인 된 선천성 질환으로, 전세계적으로 41례 정도가 보고되었고, 국내 보고는 거의 없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신세뇨관 기능부전을 중심으로 7례의 ARC 증후군의 임상 경과를 고찰하여 본질환의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3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한 임상적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7례의 ARC 증후군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남, 녀 비는 4:3이었으며, 출생당시 정상체중아가 6례(85$\%$), 미숙아는 1례(14$\%$)였다. 7례 모두 심한 황달을 동반하는 담즙 정체를 보였으며, Brown 등에 의한 관절구축의 분류 기준상 type III 2례, type IV 2례 type VI 1례, type VII 2례, 미분류 1례(14$\%$)였다. 기타 임상양상은 성장장애 6례(85$\%$), 늘어지고 거친 피부 5례(71$\%$), 거대혈소판 4례(57$\%$), 청력장애 2례(29$\%$)였다. 소변 검사상 단백뇨 6례(85$\%$), 혈뇨 3례(43$\%$), 당뇨 5례(71$\%$), 인산뇨 2례(29$\%$), 칼슘뇨 2례(29$\%$)였다. 전해질 검사상 저나트륨혈증 4례(57$\%$), 저칼륨혈증 3례(43$\%$)였고, 혈중 크레아틴치 상승은 1례(14$\%$)에서 관찰되었다. 신세뇨관 기능부전은 신세뇨관 산증 6례(85$\%$), 신성 요붕증 2례(29$\%$), 판코니 증후군 2례(29$\%$)로 나타났다. 치료는 단순관찰 2례(29$\%$), 지속적 전해질 보충 및 산증 교정 5례(85$\%$), 신대체요법 1례(14$\%$)였다. 가계도 분석에서 가계내 발병은 1례에서만 확인되었다. 추적관찰 결과 사망 4례(57$\%$), 생존 2례(29$\%$), 추적관찰 중단 1례(14$\%$)로 사망 환아는 평균 8.1개월에 사망하였으며, 생존 환아의 평균연령은 11.8개월이었다. 결 론 : 전세계적으로 드물게 보고되고 있는 ARC 증후군은 다양한 양상의 신세뇨관 기능 부전을 동반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신세뇨관 기능 손상 정도가 상대적으로 미약하며, 생존 기간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국외 보고와는 달리 대상 환아의 가계 내 동일질환의 발생례가 적어 산발적인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발병 가능성도 있으나, 예후가 극히 불량한 본 질환의 철저한 차단을 위하여 무엇보다도 환자 발생 가계 내에서의 정확한 산전 유전자 진단이 요구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