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icity Business Act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전기사업법상 기술기준 개편 (Restructuring of Technical Regulation in Korea Electricity Business Act)

  • 김한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전문위원
    • /
    • pp.223-226
    • /
    • 2004
  • The Technical Regulation in Korea Electricity Business Act, shall be obeyed for design,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electric facilities to ensure public safety and reliable supply of electricity. The Technical Regulation will be a basis for securing electrical safety, and also will be a governmental criterion for judging acceptance of the electric facilities from a safety viewpoint.

  • PDF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도입되는 IEC TC64 및 TC99 규격 (International Standards of IEC TC64 & TC99 apply to Technical Regulation in Korea Electricity Business Act)

  • 김광덕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전문위원
    • /
    • pp.220-222
    • /
    • 2004
  • The IEC standards related to the Technical Regulation in Korea Electricity Business Act are classified into the standards/guides for electrical system and the specifications for electrical equipment/materials. IEC Standard 60364 "Electrical Installations of Buildings" and IEC Standard 61936 "Power Installations Exceeding 1 kV AC" prepared by IEC Technical Committee(TC) 64 and TC 99 respectively, are representative standards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of buildings, substations, industrial plants, etc.

  • PDF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합리적 절차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 인허가를 중심으로 (System Improvement Measures for Rational Procedures of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Projects : Focusing on Permits)

  • 강석규;문정갑;조문관
    • 수산경영론집
    • /
    • 제54권2호
    • /
    • pp.59-76
    • /
    • 2023
  •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system for rational procedure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pro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to quickly distribute and develop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the permitting period should be shortened through special laws, the government actively intervenes to support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privat-public councils to ensure residents' acceptance. In this way, it can be competitive in the future energy market. Above all, a special law (proposal) related to offshore wind power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passed as soon as possible. Finall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at manage public waters should provide active administrative support based on system improvement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these permits, and the project's main body should minimize damage to the marine environment and ecosystem. Through these subject-specific roles,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will be able to reduce carbon emissions and help establish a sustainable energy production system.

전기 및 증기 생산시설 최적가용기법 (BAT) 기준서의 이해와 개선방향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of Best Available Techniques for Electricity and Steam Production Facility)

  • 신수정;박재홍;이대균;김대곤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81-293
    • /
    • 2018
  • As the public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increased, the "Act On The Integrated Control Of Pollutant-Discharging Facility" was enacted. Through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act in which 19 industries with large environmental impacts are sequentially applied, pollutants can be managed in a medium-integrated manner and integrated permission of the business unit is possible and BAT can be applied to enable a scientific and proa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overview of BAT reference documents(BREF), BAT setting procedure and method, and then sugges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BAT and BAT-AEL monitoring method of a Electricity and Steam production facility.

Comparative Sustainability Analysis of Two Asian Cities: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Taipei and Almaty

  • Shmelev, Stanislav E.;Sagiyeva, Rimma K.;Kadyrkhanova, Zhanar M.;Chzhan, Yelena Y.;Shmeleva, Irina 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3호
    • /
    • pp.143-155
    • /
    • 2018
  • The article compares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Taipei and Almaty from the point of view of "green" economy, which is able to act as a key tool to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egion. As the comparison of the parameters of ecolog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Taipei and Almaty cities shows, they are similar in population size, but demonstrate completely different trend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conomic performance of the Taipei city is achieved with a decrease in the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production of pollution, while the situation in Almaty is the opposite. Almaty maintains a high level of air pollution due to the use of coal in electricity production, as well as increased traffic and density of construction, including the southern part of the city, which is a zone for the transit of mountain air flows. The article discusses the activities jointly conducted by the Government of Taiwan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on environmental issues, as well as environmental NGOs, which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environmental field. Measures to stimulat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innovations applied in the field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ity of Taipei can be adapted for the city of Almaty, where the environmental situation deteriorates year by year.

뉴스초점 - 한국 토종 원자로 'SMART"의 오늘과 내일 (News Focus - Today and Tomorrow of the Korea-made NPP, SMART)

  • 김학로
    • 기술사
    • /
    • 제44권6호
    • /
    • pp.40-44
    • /
    • 2011
  • Nuclear energy in Korea began in 1958, when the Korea's atomic energy act was formulated and the relevant organizations were founded. Since then, notwithstanding the two catastrophe like TMI and Chernobyl accident, Korea made a wise decision to expand the peaceful uses of the nuclear energy as well as to localize the essential nuclear design technology of fuel and nuclear steam supply system. This decision resulted in the success of export of nuclear power plants as well as research reactor in 2010s. The Korea's nuclear policy, which well utilized 'international crisis in nuclear business' as 'opportunity of Korea to get. nuclear technology', is believed nice policy as a role model of nuclear new-comer countries. Based upon the success story of localization of nuclear technology, Korea had an eye for a niche market, which was a basis of development of SMART, Korea-made integral PWR. The operation of a SMART plant can sufficiently provide not only electricity but also fresh water for 100,000 residents. Last two years, Korea's nuclear industry team led b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completed the standard design of SMART and applied to the Korea's regulatory body for standard design approval. Now the Korea's licensing authority is reviewing the design with the relevant documents, and the design team is doing its best to realize its hope to get the approval by the end of this year. From next year, the SMART business including construction and export will be explored by the KEPCO consortium.

  • PDF

LNG발전소 입지선정에 관한 주민 수용성 제고연구 (On the Social Acceptance of Site Selection for a LNG Power Plant)

  • 박동규;이재헌
    • 플랜트 저널
    • /
    • 제18권3호
    • /
    • pp.41-51
    • /
    • 2022
  • 최근 LNG발전소 건설이 늘어나고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건설 추진과정에서 주민과의 갈등으로 인한 건설사업 지연으로 전력수급 안정화를 저해하거나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에 주민 수용성 강화방안을 연구하여 추후 발전소 건설추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이 연구를 하였다. 여기서는 주민들의 반대가 가장 심한 단계이며 사업 지연으로 인한 경제적·사회적 손실발생은 물론 극단적일 경우 사업취소까지 연결될 수 있는 입지선정 단계에 한해서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 이내 준공한 LNG발전소 준공지연사례를 통해 수많은 발전소가 당초 계획보다 짧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몇 년씩 준공이 지연된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음성천연가스발전소와 대구LNG발전소 건설 준비중 갈등사례를 분석하여 주민 수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첫째 발전소 입지 선정 시 주민의견 수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둘째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정비 등 법규 개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셋째 발전설비 최신기종 선정 등 환경 친화적 설비구성에 최선을 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R&D와 규모의 영세성이 산업별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R&D and Smallness of Scale on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by Industry)

  • 김정환;이동기;이부형;주원
    • 벤처창업연구
    • /
    • 제2권4호
    • /
    • pp.71-102
    • /
    • 2007
  •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는 R&D 투자를 포함한 기술진보 요인이 TFP의 결정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실증연구는 많았으나, 산업 분석에 있어서 규모의 경제가 TF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이 많지 않고 또 이들 연구들의 대부분이 비모수적 멤퀴스트 생산성지수 분석이나 확률적 변경생산함수 모형을 사용함으로써 개별 독립변수가 TF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성장회계방정식 요인 분해를 통해 산업별 TFP 증가율을 도출하고, 산업별 TFP의 영향 요인으로 R&D 투자와 규모의 경제(산업별 영세성)를 고려한 실증분석 모델을 구축하여 TFP 결정요인에 대해 실증 분석하였다. 우선 전체 15개 산업 기준 TFP 증가율을 보면 1993${\sim}$1997년 연평균 약 3.8%에 불과했으나, 외환위기 이후 1999${\sim}$2000년 연평균 7.8%로 상승하였다. 한편 1993${\sim}$2000년 사이의 산업별 TFP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IT 제조업 부문인 전기전자기기제조 부문이 11.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구 및 기타 제품 제조는 -0.4%를 나타냈다. 서비스산업의 경우에는 운수 창고 통신 부문이 7.3%로 전기 수도 가스 2.9%, 도소매 음식 숙박-3.7%보다 훨씬 높은 TFP 증가율을 보였다. TFP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R&D와 TFP와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는 유의성이 검증되지 않은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나, 전체 종사자 중 자영업주 및 무급가족 종사자수를 산업별 영세성을 나타내는 대리변수로 사용한 모델에서의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산업별 고유의 규모의 영세도를 대리하는 변수들의 추정 계수의 부호는 일관되게 한 산업의 규모의 영세도가 높을수록 그 산업의 TFP 증가율이 낮아짐을 나타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조경용 식생매트의 열전도율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for Planting Mats of Landscaping)

  • 차욱진;양건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5-96
    • /
    • 2018
  • 선진국들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1997년 '교토의정서' 채택이후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배출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7% 줄이기 위해 산업부문, 수송부문,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을 감축하여야 한다. 정부에서는 에너지 소비량 감축을 위한 각종 법령 및 행정규칙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을 감축하기 위하여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에 따른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시행하고 있다. 실내온도를 $28^{\circ}C$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량은 벽면녹화 및 옥상녹화 등으로 녹화된 건물이 녹화되어지지 않은 건축물에 비해 평균 30%의 전력사용량의 감소효과가 있다. 이렇듯 조경녹화에 대한 에너지 절감의 효과는 입증되고 있으나, 이러한 입증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적합한 방법이 아니기에 에너지 절감의 실효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 조경용 녹화가 에너지 절감에 따른 실효성을 가지려면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14조'의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의 단열재료에 대하여 구성재료의 열전도율로 열관류율을 계산하여 '별표 1'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3종류의 벽면녹화용 식생매트와 1종류의 복합매트(내부단열재+식생매트)를 제작하여 다양한 열전도율 측정 실험을 수행하고, 에너지 보존식을 이용하여 내부단열재 두께 등에 대하여 이론적인 계산을 하였다. 3종류의 식생매트의 열전도율은 0.130~0.157W/mk 정도로서 목재의 열전도율(0.170w/mk)보다 낮아 단열의 기능을 가지는 매트로써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복합매트는 내부단열재(그라스포, 폴리우레탄 등)의 두께를 조절하면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단열기준 0.051W/mk에 적합한 식생매트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탄력적 근로시간제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exible Working Hours)

  • 권용만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3호
    • /
    • pp.57-70
    • /
    • 2022
  • 현대의 산업자본주의는 근로의 제공과 임금의 수령이라는 관계가 사회를 규율하는 중요한 원리로 자리 잡고 있다. 근로계약에 따라 자신의 노동력에 대한 처분권을 사용자에게 맡기고 제공받는 임금은 직접적인 보상이 되고 있으며, 적절한 휴식의 보장으로 인간다운 삶의 보장과 재생산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자유계약에 의한 근로관계의 구축은 근로자 보호에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근로자에 대한 최소한의 권리로 근로시간의 최대치를 정하고 최소휴식의 기준을 설정·부여하고 있다. 근로시간의 단축은 근로자의 삶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효율적인 기업활동에 있어서도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2020년 기준 연간 근로시간이 1,908시간으로 장시간 근로를 하고 있으며, UN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조사한 행복지수에서 OECD 37개국 중에서 하위 3번째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근로시간 단축의 필요성은 인정되어, 2018년부터 1주의 최대 근로시간이 52시간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력을 유지하고, 근로자의 다양한 니즈에 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법적으로 다양한 근로시간의 예외를 두고 있으며,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은 3개월 이내의 탄력적 근로시간제와 3개월을 초과하는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와 근로시간의 연장을 허용하는 연장근로의 제한을 두어 이를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2021년 개정된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적용하는 것과 최근 논의되고 있는 정산 단위기간의 확대에 대한 논의에서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문제점과 이에 때한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미리정한 기준에 따라 특정일 또는 특정주에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하더라도 근로기준법에서 정하고 있는 근로시간에 위배되는 것이 아님과 동시에 초과한 연장근로에 대한 가산임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제도로 주로 계절별 시기별 업무량 편차가 심한 제조업, 판매서비스업, 연속사업이나 장기간 조업을 위한 전기·가스·수도, 운수업 등에 있어 교대근무형태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운용에 따라 보다 짧은 근무일 설정을 통한 휴일 확대 등 근로시간 단축의 방편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정산 단위기간을 확대할 경우 근로자가 수령할 수 있는 가산임금을 수령하지 못하게 되어 근로자에게 불리하다. 따라서 첫째,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정산 단위기간 확대를 하려면 현행 기준에서 확대되는 기간에 대하여 추가임금 지급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개별근로자에 대한 적용을 개선하여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에 있어 개별근로자와 충분한 협의를 하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고, 셋째, 정산 단위기간 동안 연장 근로의 허용시간을 명확히 하여야 하며, 넷째, 1일 최대근로시간이 정해지지 않고 있어 근로시간의 한도를 최대 근로시간으로 제한하거나 연속휴식에 대한 적용이 필요하며, 추가적으로 근로자대표의 서면합의가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적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므로 근로자대표의 대표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