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with mild dementia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6초

알츠하이머병과 경도인지장애에서 헤모글로빈 농도와 인지기능과의 연관성 (Association of Hemoglobin Levels and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박준경;이강준;김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94-101
    • /
    • 2016
  • 연구목적 본빈혈은 노인 환자들에서 흔한 내과적 문제이다. 최근 연구는 빈혈이 인지기능 저하 및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에서 헤모글로빈 농도와 알츠하이머병 치매 및 경도 인지기능 장애와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 법 116명의 대상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평균 연령 : 74.67세, 여성 : 60.3%).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 임상치매평가척도(CDR), 전반적 퇴화척도(GDS)를 사용하여 대상자들을 평가하였고, 혈액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들이 경도인지장애군과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낮은 헤모글로빈 농도와 적혈구 용적율을 가진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헤모글로빈 농도는 MMSE-K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overall CDR 및 GDS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한국 노인들에서 낮은 헤모글로빈 농도는 인지기능손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알츠하이머병 치매는 빈혈과 연관이 있었으며, 이를 통해 낮은 헤모글로빈 농도가 알츠하이머병의 유용한 임상적 표지자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치매에 대한 위험 요소는 더 광범위한 환자 군에서 전향적 종단 연구에 의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경도치매 환자를 위한 그림책 활용 시각화 기억훈련 프로그램의 임상 유용성 연구 (Clinical Utility of Visualized Memory Training Program Using the Picture Book for Mild Dementia)

  • 주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46-152
    • /
    • 2021
  •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시각화 기억훈련 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임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경도치매 환자 5명을 대상으로 총 5회기의 시각화 기억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전후 단어 기억력, 전반적 기억력검사, 및 우울감검사를 시행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시행 후 전반적 기억력의 향상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우울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 기억력에 있어 일부 대상자는 인출 및 재인의 향상을 보였고 일부 대상자는 변화가 없거나 더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은 일부 경도치매 환자의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우울감이 감소하는 정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그룹 인지치료 모델로 널리 활용되길 바라며 더 많은 대상자 수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증치매노인 노인복지시설의 이용행태에 관한 융합연구: 기억학교 이용자만족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age Behavior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 Moderate Dementia: Focusing on Satisfaction with Memory School Users)

  • 안대영;서경도;최인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353-361
    • /
    • 2017
  • 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을 위한 사회복지시설인 기억학교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와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자와 보호자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기억학교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확인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시에서 지정 설치한 기억학교 이용자와 보호자 363명을 대상으로 기억학교 이용 만족도 및 태도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기억학교의 이용이 이용자에게 매우 높은 수준의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동시에 보호자의 부양부담 감소에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의미 있음이 드러났다. 이를 통해 기억학교가 시설의 설치목적에 적절히 부합하는 효과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기억학교의 프로그램 수준, 서비스의 종류 등과 향후 지속성에 대한 만족도 정도가 90% 이상의 상당히 높은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경증치매노인을 위한 사회복지적 대응에 대한, 그리고 이를 위해 기억학교에 대한 기초자료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정방문 인지자극 활동이 치매특별등급(5등급) 노인의 인지기능 및 기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개별대상연구 (Effects of Home-Visit Program with Cognitive-Stimulating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Self-efficacy of an Elderly with Dementia Special Rating : Single Subject)

  • 손보영;방요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47-262
    • /
    • 2019
  • 본 연구는 가정방문 인지자극 활동이 치매특별등급(5등급) 노인의 인지기능 및 기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기간 및 대상은 2019년 2월 11일부터 4월 26일까지 G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여성 1명으로, 개별대상연구의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초기 진단을 받은 치매특별등급(5등급)의 경증치매 노인에게 비교적 접근성이 쉽고, 스스로 생각하고 풀어갈 수 있는 수준의 신체·인지자극 활동을 병행함으로써 지적능력을 반복적으로 자극하여 저하된 인지기능을 완화시켰고,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글자, 숫자, 신체 움직임 등을 이용한 단기기억 및 회상 활동을 지속적으로 훈련함으로써 저하된 기억력과 집중력의 인지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인지자극 활동이 초기 경증치매 노인들에게 센터, 복지관 등의 특정장소를 벗어나 가정에서 손쉽게 접근 가능한 치매예방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인지자극 활동은 치매특별등급(5등급) 노인의 인지기능 및 두드러지는 기억저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효과적 중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기에, 적극적인 실용 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노인에서의 수면 호흡 장애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 the Elderly)

  • 신철
    • 수면정신생리
    • /
    • 제8권1호
    • /
    • pp.11-17
    • /
    • 2001
  • In 2000, the number of people aged 65 and over increased to 3.37 million, accounting for 7.1% of the total population of South Korea. The elderly population will increase up to 19.3% in 2030. Sleep disordered breathing (SDB) seems to increase with age. More than 50-60% of old people complain of SDB-related signs and symptoms including awakening headache,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fatigue, cognitive dysfunction, memory loss, personality changes, and depression. The influence of a mild degree of SDB upon the elderly is unclear, but moderate to severe SDB is well known to be associated with many diseases including hypertension, arrhythmia,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dementia, and sudden death. Therefore, physicians should pay attention to elderly patients who complain of SDB related symptoms and signs that may not be normal signs of aging. Physicians need to become more sensitive to treat SDB in the elderly.

  • PDF

지역사회 거주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한의치료의 보고: 인지기능을 중심으로 (Result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Focusing on the Change in Cognitive Ability)

  • 김윤나;배준상;엄윤지;이경석;윤현민;조성훈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5-198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mong a group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Methods: Two-hundred and twenty-nine elderly living in a community and diagnosed with MCI were recruited. Participants were evaluated with various instruments such as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and the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Korean medicine treatment consisted of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pharmacoacupuncture. The change in cognitive ability was assessed by using the MMSE-DS and the MoCA-K.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22.0 using the paired t-test, and the ANOVA. Results: The MMSE-DS and the MoCA-K score generally increased after six month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the differences in both instrum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some consecutive participants maintained long-term cognitive improvement. When analyzed specifically by herbal medicine group based on syndrome differentiation and pharmacoacupuncture group, most showed improvement in the MMSE-DS and the MoCA-K but not all dat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atisfaction score was mostly high and most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re-participate in the program. Conclusions: Korean medicine treatment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prevention of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However, further systematic research based on large scale sample data and standardized protocols is needed to uplift the welfare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Comparison of Feasibility of Touch-Based Cognitive Training Games in Community Elderly and Elderly with Minor Dementia

  • Jung, Seung-Hwa;Oh, Seon-Jin;Park, Hyun-Ju;Park, Dae-Su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54-164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 cognitive training game that can evaluate five cognitive domains and to study their validity with existing cognitive evaluation tools. Design: Methods: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2nd questionnaire for 30 experts to select games suitable for training 5 cognitive domains. Five cognitive training games and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 Korea(MMSE-K), and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CIST) were conducted for 82 elderly in the communit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of the three tests. The ROC curve was used to calculate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game results for the screening evalu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Delphi survey was less than 0.50 in most game items. The 'correct answers' and 'level' of the five final selected game item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IST and MMSE-K scores. CIST score and 'time' of all game items except 'number making_tim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Conclusions: The validity of the cognitive training program using smart devices was evaluated, and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cognitive domain and distinguish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gnitive impairment were confirmed.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이 경도 혈관성 치매환자의 과제 수행능력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개별실험 연구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Training With Errorless Learning and Spaced Retrieval on Task Learning and Satisfaction of People With Mild Vascular Dementia: Single Subject Research)

  • 이은영;박혜연;김종배;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51-62
    • /
    • 2018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이 경도 혈관성 치매환자의 과제학습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치매 진단을 받은 경도 인지 수준의 환자 3명을 대상으로 ABA' + follow-up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기간동안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훈련을 적용하였으며, 매회기마다 과제학습 정도를 측정하였고, 중재 전과 후에 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분석은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과 막대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 후 모든 대상자의 과제수행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중재 후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초기 혈관성 치매환자에게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이 과제학습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임상적 적용을 위한 근거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일부 농촌 지역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Senile Dementia in a Rural Area)

  • 장인순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권
    • /
    • pp.60-7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level on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in a rural area and to choose priority care group, thereby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reduce the caregiver's burde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aire from June 10 to October 8, 1994. The instruments for data collection were Caregiver Burden Inventory by Novak(1989) and Zarit et al(1982), severity of dementia by Hughes Scales (1982), ADL by Lawton (1971), patients' family caregiving activity by pre-survey and reference review(Lee, 1993 ; Jang, 1990 ; Yoo, 1982). The subjects were 60 family caregiver of senile dementia in a rural area. The data was analysed by the use of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otal burden was evaluated over average, the mean of family burden was 61.24. 2. Significant variables which were correlated to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were the severity of dementia(F=30.52, p<0.001), ADL(F=5.43, p<0.01), PADL(F=6.14, p<0.01), caregiver's health status(F=6.05, p<0.01), a view of patient's prognosis(F=4.08, p<0.05), the number of hours per day spent on caregiving(F=19.64, p<0.001), level of intimacy of caregiver and patients(F=7.16, p<0.001), the frequency of caregiving activity(F=5.31, p<0.01). 3. ADL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to family caregiver burden(R2=0.6611). In addition to this, the severity of dementia, level of intimacy of caregiver and patient,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accounted for 79% of family caregiver burden. 4. The criteria of priority care group were as follows ; the mean of family caregiver burden was above 58, above of moderate ADL, the number of hours per day spent on caregiving above of 8 hours, above of moderate dementia. By the the severity of dementia, number of priority care group, mild dementia was 10(43.4%), moderate dementia 23 (92.0%), sever dementia 12(100.0%).

  • PDF

경증치매노인을 위한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Brain activation Intervention Programs for Mild Dementia)

  • 주경복;임동영;이명남;정나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12-322
    • /
    • 2018
  • 본 연구는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을 경증치매노인에게 적용하여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행동심리적 증상,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20명으로 총 40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서울시 노원구에 소재한 치매지원센터에서 2016년 11월 1일부터 2017년 3월 31일까지 자료가 수집 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23.0K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ANCOVA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경증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을 8주간의 강의 및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 대상자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우울감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으로 인지기능의 향상으로 일상생활에도 도움을 줄 수 있고, 치매노인의 우울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차후에 지역사회 프로그램에 활용되도록 하는 기초자료로 지역사회에서 연계하는 프로그램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