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Suicide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3초

저소득 재가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Health Status on Suicide Ideation of the Low-income Elderly: Considering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 한숙정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2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low-income elderly and their suicide idea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201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in two cities who were receiving home health services from public health centers.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October in 2013 to April in 2014.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Subjects' perceived health status had a direct effect on increasing self-esteem and reducing depression. Subjects' self-esteem and depr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suicide ideation. Perceived health status had an indirect effect on suicide ideation that was mediated by self-esteem and depression.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o prevent suicide of the elderly, it is critical to increase their health status.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to construct and implement strategies to strengthen self-esteem of low-income elderly in order to decrease depression.

후기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Latter-aged Elderly Suicide Attempt)

  • 이광숙;최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44-25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을 적용하여 경험의 본질에 집중하여 현상의 구조를 밝히고 기술하였다. 자살시도 경험을 가진 서울 지역 75세 이상 노인 8명을 대상으로 하여, 개방적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결과, 후기고령노인의 자살시도의 경험의 의미구조는 '지속적인 고통의 삶과 죽음의 기로에서 편안함을 갈망하는 내려놓음'이었다. 통합된 일반적 구조로 6개의 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최종 도출된 6개의 구성요소는 '모진 세월의 회한', '절망적이며 처량한 신세', '무가치한 삶', '참을 수 없는 통증과 무기력', '의지할 곳 없는 고독', '마지막 선택'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기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노인자살률의 지역별 편차: 가족불안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1995-2005 (Regional Differentials in Elderly Suicide Rate: The Focusing on Effects of Family Instability, 1995-2005)

  • 유정균
    • 한국인구학
    • /
    • 제31권2호
    • /
    • pp.21-44
    • /
    • 2008
  • 이 논문은 가족의 불안정성이 노인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거주 지역, 가족불안정성, 사회경제적 수준을 설명변수로 인과구조의 분석모형을 만들었다. 자료는 1995년, 2000년, 2005년의 사망원인통계와 시 군 구 지역단위통계, 그리고 인구동태통계를 활용하였다. 이혼을 통해 가족불안정성을 측정하였으며, 이혼이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살피기 위해 노인과 20-50대, 그리고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자살률을 분석에 같이 사용하였다. 기존 문헌검토를 통해 가족불안정성과 노인자살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세 시점의 자살률을 제시하였고, 거주 지역 및 이혼에 따른 노인자살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혼율은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중부 내륙지방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다. 일부 지역에서만 높은 수치를 보이던 노인자살률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높아져, 최근에는 남서해안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최근 10년간 농촌지역에서의 노인자살률이 급격하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농촌지역에서의 노인 문제가 심각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급증한 이혼은 가족불안정성으로 이어져 자살률을 높이는 효과를 보여준다. 노인자살률과 20-50대 자살률에 미치는 이혼의 효과는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노인의 경우 더 강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혼이 자살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는데, 여자노인보다 남자노인자살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분석결과들을 통해, 가족불안정성이 특히 남자노인자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인자살의 이해와 일차적 예방 (Sociological Understandings of Elderly Suicide and Its Primary Prevention)

  • 김형수
    • 한국인구학
    • /
    • 제23권2호
    • /
    • pp.167-187
    • /
    • 2000
  • 우리사회에서 노인 자살자의 수와 자살율이 지난 십 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한국 노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경제적 불안정, 조기퇴직, 건강악화, 가족부양체계의 약화, 정서적 고립 등)의 심각성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노인자살에 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노인자살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자살의 배후에 있는 노인문제 혹은 생활조건을 확인하여 노인복지 차원에서 일차적 예방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자살위험이 높은 특정 노인인구집단을 중심으로 자살예방 대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 나라 노인문제의 구조적 상황과 노인자살과의 관련성을 사회학적 시각(교환이론과 사회통합이론)으로 조망해 본 후 이를 기초로 노인자살을 유도하는 노인생활의 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노인복지과제를 제시하여 한국노인의 자살율 증가를 예방하고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 PDF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과 삶의 질이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Elderly's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and Quality of Life on Their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 오창석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9-191
    • /
    • 2012
  • The study thus examined and analyzed 1,478 people aged 65 or older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2010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ces in the elderly'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 suicide ideation and in thei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and quality of life on their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uicide ideation were also caused by such quality of life variables as ill in bed, exercise capacity, self-management, daily activity, pain and uncomfortableness, and anxiety. The logistic analysis results of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show a significant finding that the better health perception they had compared with their very poo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the lower the odds ratio became. In the category of quality of life, only experience of uncomfortableness caused significant results on suicide ideation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of great use as basic data to intervene in the suicide route of the elderly and take measures to prevent suicide.

자살 고위험군 노인: 원인 파악 및 예측 모델 개발 (High Suicidal Risk Group of Elderly: Identification of Causal Factors and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

  • 박가연;신우식;김희웅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59-81
    • /
    • 2023
  • 한국의 노인(65세 이상) 자살 문제는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급격한 인구 고령화 흐름에 따라 이러한 고령층의 자살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노인 자살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것이 개인 뿐만 아니라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 생각의 원인 요인을 파악하고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 한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조사에서 제공하는 7개년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자살의 대인 관계 이론(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과 사회 해체 이론(social disorganization theory)을 바탕으로 노인 자살의 잠재 원인 요인들을 선정한다. 다음으로 노인의 자살 생각에 대한 원인 요인 파악을 위해 패널 로짓 모형 분석을 진행하고 노인 자살 생각의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해 딥 러닝과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본 연구는 계량 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한 주요 원인 요인들을 활용하여 노인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노인 복지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예측 모델은 자살 고위험군 노인을 선별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는 혼합방법론의 시너지를 보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시사점을 가진다.

Factors That Affect Suicidal Attempt Risk Among Korean Elderly Adults: A Path Analysis

  • Ro, Junsoo;Park, Jongheon;Lee, Jinsuk;Jung, Hyemi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8권1호
    • /
    • pp.28-37
    • /
    • 2015
  • Objectives: Among the Korean elderly (those 65 years of age and older), the suicide rate is 80.3/100 000 people, which is ten times higher than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verage. Because South Korea is rapidly becoming an aging population, this high elderly suicidal rate will only get worse. Although the size of the elderly suicide problem is quite large, previous research in South Korea has surveyed restricted areas and not the entire country. Even though the factors that affect elderly suicide are complicated,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to these influencing factors. Thus, this research uses the national survey data (Community Health Survey) that was obtained in 2009. Additionally, we analyze factors affecting elderly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as well as the paths of these effects. Methods: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obtain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 2009 was used for this study. We additionall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suicide with chi-squared tests, t-tests, Pearson's correlation test, and path analysis. Results: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re the only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suicidal attempts. Demographic, behavioral, and physical activity factors have indirect effects on suicidal attempts. Conclusions: Depression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Demographic, behavioral, and physical activity factors affect suicidal attempts mostly through depressive symptoms. In addition, there is a path that suggests that demographic, behavioral, and physical activity factors affect suicidal attempts not through depression symptoms but only through suicidal ideation. This means that the elderly who do not have depression symptoms attempt suicide according to their own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베이지안 모형을 활용한 국내 노인 자살률 질병지도 (Bayesian Analysis and Mapping of Elderly Korean Suicide Rates)

  • 이자연;김달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2호
    • /
    • pp.325-334
    • /
    • 2015
  • 한국의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노인자살은 노인의 주요 사망원인이며 노인은 다른 연력층보다 자살의 고위험군으로 알려져있다. 고령화 시대에서 노인의 자살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노인자살에 대한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지역적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노인의 자살문제에서는 지역사회와의 통합결여 등이 큰 원인으로 고려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추정된 표준화사망률을 이용하여 질병지도를 작성하고자 하였다.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하기 위해서 simultaneous CAR model을 사용하였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통계청 사망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시군구별 노인자살자수에 대해 두 모형을 적합시켜본 결과,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모형보다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모형이 더 좋은 모형임을 보였다. 또한 효율적인 베이지안 추론을 위해 격자망 방법 등을 고려하였다.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자살생각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Household Types and Suicide Ideation among Elderly People in Korea)

  • 이봉재;오윤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49-5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types and suicide ideation among elderly people in Korea. We collected information on 220 elderly individuals(aging over 60), 171 of whom were living alone and 49 of whom were living with their families. The results showed that; 1) number of children, health status, level of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all related to the suicide ideation among both groups, and 2) individuals living alone had lower sense of control, were more stressed, and more likely to suffer from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practical suggestions provided.

노부모와 성인자녀간의 가족결속도가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복지유통관점 중심으로 (Family Solidarity between Old Parents and Adult Children, Welfare Distribution, and Suicidal Ideation of Elderly)

  • 정명희;김은정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8호
    • /
    • pp.91-102
    • /
    • 2014
  • Purpose - Today,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industry has increased. Social welfare businesses that follow the non-profit principle have neglected the distribution of the service. However, an intangible service, when produced and consumed, has a similar service delivery system to common service distribution and social welfare. Therefore, the author has assumed the efficiency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to be equivalent to the service distribution industry. Hence, various kinds of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from the perspective of distribution, are discussed. Studies on generational relations have thus far investigated depression from parent-children conflict, and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olidarity and elderly suicide by analyzing existing social problems are ra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amily solidarity between old parents and adult children upon elderly suicide by analyzing serious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This study revealed basic measures for elderly suicide prevention through services that could elevate family solidari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service distribu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bjects were 468 elderly, 65 years or older, at 18 senior welfare centers and halls for the elderly at Seoul and Gyeonggi-do. Questionnaire surveys, excluding invalid answers, were analyzed.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from February 5, 2014 to March 5, 2014. The findings were: First, women and those having spouses with advanced educational backgrounds and social activities had primary solidarity such as contact solidarity, affectionate solidarity, functional solidarity (giving help), and functional solidarity (receiving help). In addition, those who had good health,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had more solidarity. Second, the elderly who were men and single, and who had poorer educational backgrounds thought of suicide, lacked social activities, and had poor health,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Third, family solidarity between old parents and adult children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Results -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reparation for old age should consider not only economic welfare but also the psychological welfare due to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Second, the phenomenon of elderly suicide because of a lack of family solidarity could increase national loss and have great influence upon welfare in old age. Therefore, planning of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should consider the value of relationships with children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the elderly. Third, the social expenses of government-oriented support for parents should be discussed from the people's point of view. Conclusions - The subjects of the study comprised the elderly at Seoul and Gyenggi-do; therefore, it would be difficult to extrapolate the findings to all the elderly in the nation. The subject visited senior welfare centers as well as halls for the elderly; therefore, it would be difficult to assume that the trends were representative of the elderly in the 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