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ional Differentials in Elderly Suicide Rate: The Focusing on Effects of Family Instability, 1995-2005

노인자살률의 지역별 편차: 가족불안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1995-2005

  • 유정균 (한양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 Published : 2008.08.25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amily instability on the elderly suicide and to examine the change over time. An analytical model of causal structure was set up with residence, family instability and socioeconomic level as explanation variables for this study.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and micro-data from the vital statistics for 1995, 2000 and 2005 were used. Family instability was measured through divorce, and the rate of elderly(male and female) suicide as well as the suicide rate of the elderly and those in their 20-50's was used for this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divorce. This study hypothesized about family instability and elderly suicid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presents maps of the suicide rate by using GIS, and then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are carried out to verify a difference in the elderly suicide rate affected by residence and divorce. Divorce rate appears in most areas with a high level centering around metropolises except the central inland area. The rate of elderly suicide which stayed in only specific regions with a high level has increased as time went by, and the graph leveled high in most regions except the southwestern coast. In addition, the elderly suicide rate was increased rapidly in rural areas for the most recent 10 years. This shows the seriousness of problems of the aged in rural areas. Through the periods of economic crisis, a sudden increase in divorce causes family instability, which increase the suicide rate increasing. Divorce affects the elderly suicide rate and the 20-50s' suicide rate in the same way, and the stronger effect goes to the elderly rather than those in their 20-50s'. Regarding elderly suicide, the divorce has a different effect by gender, affecting males more than females. With these facts, we can draw the conclusion that family instability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elderly males' suicide.

이 논문은 가족의 불안정성이 노인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거주 지역, 가족불안정성, 사회경제적 수준을 설명변수로 인과구조의 분석모형을 만들었다. 자료는 1995년, 2000년, 2005년의 사망원인통계와 시 군 구 지역단위통계, 그리고 인구동태통계를 활용하였다. 이혼을 통해 가족불안정성을 측정하였으며, 이혼이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살피기 위해 노인과 20-50대, 그리고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자살률을 분석에 같이 사용하였다. 기존 문헌검토를 통해 가족불안정성과 노인자살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세 시점의 자살률을 제시하였고, 거주 지역 및 이혼에 따른 노인자살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혼율은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중부 내륙지방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다. 일부 지역에서만 높은 수치를 보이던 노인자살률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높아져, 최근에는 남서해안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최근 10년간 농촌지역에서의 노인자살률이 급격하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농촌지역에서의 노인 문제가 심각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급증한 이혼은 가족불안정성으로 이어져 자살률을 높이는 효과를 보여준다. 노인자살률과 20-50대 자살률에 미치는 이혼의 효과는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노인의 경우 더 강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혼이 자살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는데, 여자노인보다 남자노인자살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분석결과들을 통해, 가족불안정성이 특히 남자노인자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섭.박효준 (2003) " 사망력 수준의 시.군별 편차 및 그 변화 추이" 한국인구학 26(1): 1-30
  2. 김두섭 (2007) "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한국인구학 30(1): 67-95
  3. 김승용 (2004) " 한국 노인 자살률 변동과 사회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9: 181-205
  4. 김형수 (2000) " 노인자살의 이해와 일차적 예방" 한국인구학 23(2): 167-187
  5. 김형수 (2002) "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1):159-172
  6. 박경애 (1996) " 성과 자살" 가족과 문화 1: 149-171
  7. 박은옥.현미열.이창인.이은주.홍성철 (2007) " 우리나라 시.도별 자살 사망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7(1): 44-51 https://doi.org/10.4040/jkan.2007.37.1.44
  8. 심영희 (1986) " 한국사회의 자살: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이론과 실태"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4: 49-71
  9. 이상림 (2006) " 지역단위 변수를 이용한 자살원인 분석: 사회경제적 요인의 연령별 차별 영향력" 인구와 사회 2(2): 31-52
  10. 통계청 (1995) 1995년 사망원인통계
  11. 통계청 (2000) 2000년 사망원인통계
  12. 통계청 (2005) 2005년 사망원인통계
  13. 통계청 (2007) KOSIS(한국통계정보시스템) http://kosis.nso.go.kr. 통계청
  14. 한국도시행정연구소 (2005) 2005년 전국통계연감
  15. Bock, E. Wilbur (1972) " Aging and Suicide: The Significance of Marital, Kinship, and Alternative Relationship" The Family Coordinator 21(1):71-79 https://doi.org/10.2307/581788
  16. Bock, E. Wilbur and Irving L. Webber (1972) " Suicide Among the Elderly: Isolating Widowhood and Mitigating Alternativ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4(1): 24-31 https://doi.org/10.2307/349626
  17. Breault, K. D. (1986) " Suicide in America: A Test of Durkheim's Theory of Religious and Family Integration, 1933-1980"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3): 628-656 https://doi.org/10.1086/228544
  18. Danigelis, N and Whitney Pope (1979) " Durkheim's Theory of Suicide as Applied to the Family: A Empirical Test" Social Forces 57(4):1081-1106 https://doi.org/10.2307/2577260
  19. Durkheim, E. (1987) Le Suicide, 김충선 옮김(2004) 자살론 청아출판사
  20. Hoxey, K. and Ajit Shah (2000) " Recent Trends in Elderly Suicide Rate in England and W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5:274-279 https://doi.org/10.1002/(SICI)1099-1166(200003)15:3<274::AID-GPS106>3.0.CO;2-I
  21. Kapusta N. D., Elmar Etzersdorfer and Gernot Sonneck (2007) " Trends in Suicide Rate of the Elderly in Austria, 1970-2004: An Analysis of Changes in Terms of Age Groups, Suicide Method and Gender"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2: 438-444 https://doi.org/10.1002/gps.1695
  22. Kowalski, G. S, Charles E. Faupel and Paul D. Starr (1987) " Urbanism and Suicide: A Study of American Counties" Social Forces 66(1): 85-101 https://doi.org/10.2307/2578901
  23. Stack, S. (1980) " The Effect of Marital Dissolution on Suicid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2(1): 83-92 https://doi.org/10.2307/351936
  24. Stack, S. (1989) " The Impact of Divorce on Suicide in Norway: 1951-1980"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1): 229-238 https://doi.org/10.2307/352383
  25. Stack, S. (1992.)" The Effect of Divorce on Suicide in Finland: A Time Series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3): 636-642 https://doi.org/10.2307/353249
  26. Stack, S. (2000) " Suicide: A 15-Year Review of the Sociological Literature Part II : Modern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Perspectives" Suicide & Life - Threatening Behavior 30(2): 163-176
  27. Wasserman, Ira M. (1984) "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Linkage between Suicide, unemployment, and Marital Dissolu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6(4): 853-859 https://doi.org/10.2307/352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