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bow flexion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9초

제2형 뮤코다당증의 임상적 스펙트럼과 효소대치요법의 단기간 효과 (Clinical Spectrum and Short-term Effects of Enzyme Replacement Therapy for Mucopolysaccharidosis Type II)

  • 전종근;휴우리앙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8-86
    • /
    • 2018
  • 목적: 5명의 제2형 뮤코다당증 환자들의 임상적 스펙트럼과 효소대치요법의 단기간 치료 효과에 관해 알아 보고하고자 하였다. 방법: 5명의 환자들은 임상적 소견, 효소활성화 및 유전자검사에 의해 제2형 뮤코다당증으로 진단되었다. 이두설파제는 일주일 간격으로 0.5 mg/kg의 용량으로 정맥주사 주입을 하였으며, 효소대치요법 시작 전 후 12개월 이상 전신평가를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3명의 환자들은 경증 유형, 2명의 환자들은 중증 유형의 제2형 뮤코다당증으로 진단되었다. 진단 시 중위연령은 9.6세(범위 3.4-26세)였다. 네 가계 중 다섯 명의 환자에서 4개의 서로 다른 유전자변이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두 개의 변이는 새로운 돌연변이였다(1개의 작은 삽입돌연변이: p.Thr409Hisfs*22, 1개의 과오돌연변이: p.Gly134Glu). 이중 동일한 유전자돌연변이를 지닌 두 명의 중중 유형의 형제 환자들은 서로 다른 임상적 특징들을 보였다. 12개월 간의 효소대치요법 후 소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배출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43). 간 및 비장의 용적은 모든 환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각각 P=0.043, P=0.043). 이외에도 좌심실질량지수(P=0.042), 어깨관절굽힘각도(P=0.043), 어깨관절벌림각도(P=0.039), 무릎관절굽힘각도(P=0.043), 팔꿉관절굽힘각도(P=0.042), 호흡장애지수(P=0.041)가 모두 호전된 소견을 보였다. 결론: 한국인 제2형 뮤코다당증 환자들은 임상적으로 다양한 특징을 보이며, 단기간의 이두설파제 치료는 주사주입관련 이상반응 없이 심장크기, 호흡장애지수를 포함한 여러 임상적 지표들의 호전에 효과적이었다.

  • PDF

유도 맞잡기 타입에 따른 허벅다리걸기의 Kinematic 분석[I] (A Kinematic Analysis of Uchi-mata(inner thigh reaping throw) by Kumi-kata types in Judo)

  • 김의환;조동희;권문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3-8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inematic variables when Uchi-mata(inner thigh reaping throw) performing by Kumi-kata(engagement position, basic hold) types A, B(A: grasping part-behind neck lapel, B: chest lapel) in Judo with three dimensional analysis technique DLT method by videography. The subjects were four male judokas who have been training in Yong-In University(YIU), on Korean Representative level and Uchi-mata is their tokui-nage(favorite technique), the throwing form was filmed on two S-VHS 16mm video camera( 30frame/sec. Panasonic). Kinematic variables were temporal, posture, and COG.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ing by Uchi-mata. Six good trials were collected for each condition (type A, B) among over 10 trials. The mean values and the standard deviation for each variable were obtained and used as basic factors for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Uchi-mata by Kumi-kata typ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 1) Temporal variables The total time elapsed(TE) by Uchi-mata of types A, B were 1.45, 1.56 sec. respectively. Types A shorter than B. 2) Posture variables In performing of Uchi-mata, the range of flexion in type A, left elbow was $45^{\circ}$ and B was $89^{\circ}$ from Event 2(E2) to Event 6(E6). Type A and B were quite different in right elbow angle in Event1(E1). Left shoulder angle of type A was extended and type B was flexed in E4. Both types right shoulder angles were showed similar pattern. Also both hip angles(right/left) were showed similar pattern. When type A performed Uchi-mata the knee-angle of supporting foot showed $142^{\circ}$in the 1st stage of kake phase[KP], and extended to $147^{\circ}$in the 2nd stage of KP. And the foot-ankle angle of supporting foot showed $83^{\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86^{\circ}$in the 2nd stage of KP. moreover, The knee angle of attacking foot showed $126^{\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132^{\circ}$in the 2nd stage of KP, and the foot-ankle angle of attacking foot showed $106^{\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121^{\circ}$in the 2nd stage of KP. When type B performed Uchi-mata the knee-angle of supporting foot showed $144^{\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154^{\circ}$in the 2nd stage of KP. And the foot-ankle angle of supporting foot showed $83^{\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92^{\circ}$in the 2nd stage of KP. moreover, The knee angle of attacking foot showed $132^{\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140^{\circ}$in the 2nd stage of KP, and the foot-ankle angle of attacking foot showed $103^{\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115^{\circ}$in the 2nd stage of KP. During Uchi-mata performing, type A showed pulling pattern and type B showed lift-pulling pattern. As Kumi-kata types, it were different to upper body(elbow, shoulder angle), but mostly similar to lower body(hip, knee, ankle angle) on both types. 3) C. O. G. variables When the subjects performed Uchi-mata, COG of type A, B up and down in vertical aspect was 71cm, 73.8cm in height from the foot in the 2nd stage of KP. As Kumi-kata types, it were different on medial-lateral direction aspect but weren't different in Kuzushi phase on vertical direction aspect.

심한 회전근 개 부전을 동반한 환자에 대한 역형 견관절 전치환술 - 최소 3년 추시 결과 -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in Patients with Severe Rotator Cuff-Deficient Shoulder - A Minimum Three-Year Follow-up Study -)

  • 김명선;여제형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73-83
    • /
    • 2013
  • 목적: 심한 회전근 개 부전을 동반한 관절와 상완 관절염 환자나 가성 마비 환자들에 대한 치료로 역형 견관절 전치환술 시행한 후 최소 3년 추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본원에서 역형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13명(남자: 3명, 여자: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54.2개월(37~74개월)이었으며, 임상적 결과는 동통에 대한 VAS 점수, 능동적 관절 운동 범위, ASES 평가 방법, Korean 견관절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수술 중 및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 총 13예 중 지연성 심부 감염을 제외한 11예의 동통에 대한 VAS 점수는 술 전 평균 7.5(6~10)점에서 술 후 1.5(0~4)점으로, 능동적 전방 거상은 $42.7(10{\sim}100)^{\circ}$ 에서 $129.1(110{\sim}180)^{\circ}$ 로, ASES 점수는 32.9(11.7~46.7)점에서 80.2(58.3~95.0)점으로, KSS 점수는 36.8(24~47)점에서 78.4(61~92)점으로 호전되었다. 합병증으로는 다양한 정도의 관절와 절흔이 총 13예 중 12예, 수술 중 관절와 골절 1예, 일시적인 신경 손상이 2예 발생하였고, 지연성 심부 감염이 2예 발생하여 재수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역형 견관절 전치환술은 최소 3년의 추시 결과, 심한 회전근 개 부전을 동반한 관절와 상완 관절염 환자나 가성 마비 환자들에 대해 효과적인 치료 방법의 하나로 생각된다. 그러나, 술 후 재수술이 필요한 지연성 심부 감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과 수술 술기와 관련한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 볼 때 숙련된 의사에 의해 매우 신중하게 시행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cutrak 나사를 이용한 요골두 골절의 치료 -7례 보고- (Acutrak Screw Fixation for Radial Head Fracture -7 Cases Report-)

  • 김광열;임문섭;신흥섭;최신권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5-80
    • /
    • 2006
  • 목적: 해부학적 정복이 가능한 요골두 골절에 대하여 Acutrak 나사를 이용한 고정술의 치료 결과와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 년 5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본원에서 요골두 골절에 대해 수술한 12 예중 Acutrak 나사 고정술로 치료한 7 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최소 6개월부터 최장 30개월로 평균 1.2년이었고, 평균 나이는 47세였다 손상의 원인은 낙상이 4예, 교통사고가 3예이었다. 치료 결과 평가 방법은 Mayo Clinic에서 발표한 Functional Rating index를 이용하였다 결과: Mayo Clinic의 Functional Rating Index를 이용한 기능적 평가상 우수가 2예, 양호가 5예였다 방사선학적 소견 상 모든 예에서 골유합 소견을 보였고, 부정 유합이나 나사 이완, 이소성 골형성, 감염, 외상 후 퇴행성 변화 등의 합병증은 없었고 수술 후 건측과 비교하여 운동장애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원에서 시행한 요골두 골절의 Acutrak 나사 고정은 요골두 부분의 안전지대에 대한 고려없이 시행 가능하며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평가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고, Acutrak 나사의 형태학적 특성상 골절의 선상 형태에 대하여 근위 요척골관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강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

제주마를 이용한 승마 경속보시 숙련도에 따른 기승자세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Kinematic Analysis of Horse-Riding Posture According to Skill Levels during Rising Trot with JeJu-horse)

  • 오운용;류재청;김진현;현승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67-479
    • /
    • 2009
  • 제주마를 이용한 경속보(rising trot)시 숙련정도에 따라 2보폭동안 기승자세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에 응용 할 수 있는 정량적 자료를 제시한다. 참여한 피험자는 총 10명(숙련군: 5명, 미숙련군: 5명)이었고, 실험 및 분석 방법은 3차원 영상분석(Kwon3D Motion Analysis System)을 하였고, 분석변인은 국면 및 이벤트별 시간, 선 및 각운동변인이었다. 숙련군이 미숙련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지기보다 공중국면의 소요시간 비율이 더 많았고, 국면경과에 따라 더 적은 상하운동범위 속에서, 전후 및 좌우속도에서 더 일관된 속도를 유지하였고, 상하방향에서 말의 보조와 동조를 이루면서 일관된 주기를 이루면서 반동운동이 이루어졌다. 숙련군이 미숙련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팔꿈치에서 더 많은 굴곡 및 국면경과에 따라 어깨의 더 많은 후방신전자세를 취하였다. 고관절과 무릎은 더 많은 전방굴곡자세를 취한 반면 발목의 경우 모두 저측굴곡의 자세를 유지하였다. 동체는 수직축에 대해 후방신전자세인 반면 미숙련군은 전방굴곡자세를 유지하였다. 즉 미숙련군의 경우 숙련군에 비해 다소 경속보에서 보조의 경과에 따라 불안한 자세를 취한 것으로 사료된다.

테니스 플랫 서브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Tennis Flat Serve Motion)

  • 오정환;최수남;남택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7-108
    • /
    • 2006
  • C. H. OH, S. N. CHOI, T. G. NAM,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Tennis Flat Serve Motion, Korean Jiurnal of Sports Biomechanics, Vol. 16, No. 2, pp. 97-108, 2006. By the comparison a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 factors during the tennis flat serve motion such as the required time per section,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racket, the velocity of the upper limbs joints, the physical center of gravity, and the angle and the angular velocity of the upper limbs joints between an ace player and a mediocre player, thes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the experiment result of the total time required per section in a tennis flat serve motion showed that an ace player was faster than a mediocre player by 0.4 seconds. This result suggested that it was required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racket head by a swift swing to perform an effective flat serve motion. Second, the experiment result of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racket in the tennis flat serve motion showed that an ace player greatly moved toward the left side on an x-axis. But both an ace and a mediocre player were shown to be at the similar points on a y-axis at the moment of the impact of the racket. An ace player was also shown to be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on a z-axis by 0.23m. Third, the velocity of the center of gravity of an ace player was faster in every phase than that of a mediocre player in a tennis flat serve motion. Fourth, the velocity of the upper limb joints of an ace player was faster in every phase than that of a mediocre player in a tennis flat serve motion. Fifth, the experiment result of the speed of the racket head in tennis flat serve motion showed that a mediocre player was faster than an ace player in the first phase, but the latter was faster than the former in the second, third, and the fourth phases. Sixth, at the moment of impact of a tennis flat serve, an ace player had greater flexion of the angle of the wrist joints by an 11.8 degree than a mediocre player. An ace player also had greater extension of the angle of the elbow joint and the shoulder joint respectively by a 5.2 degree and a 1.4 degree with a mediocre player. Seventh, an ace player had greater angular velocity of the upper limb joints and the hip joints than a mediocre player at the moment of the impact of tennis flat serve. Eighth, an ace player was shown to have a greater change of the forward and the backward inclination (or the anterior and posterior inclination) of the upper body

탄력밴드를 이용한 PNF 운동이 유방암 절제술에 속발한 상지 림프부종 환자의 부종, 관절가동범위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열린 홀딩과 닫힌 홀딩의 차이-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Using Elastic Bands on Edema, Range of Motion, and Pain in Post-Mastectomy Patients with Upper Limb Lymphedema: Differences between Open-Hand and Closed-Hand Grips)

  • 조예진;이상열
    • PNF and Movement
    • /
    • 제18권1호
    • /
    • pp.1-1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NF intervention using elastic bands on edema, range of motion (ROM), and pain in post-mastectomy patients with upper limb lymphedema, according to their hand grip type. Methods: The subjects were 14 female patients who were at Stage II lymphedema after undergoing mastectomy for Stage II breast cancer.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 =7) and a control group (n = 7).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treatment program four times (one time under the therapist's instructions and three times as self-exercise) a week for 4 weeks. Both groups repeated an upper limb PNF pattern exercise for 30 min using elastic bands after receiving a manual lymph drainage treatment for 1 hour. Her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PNF exercise with an open-hand grip by putting their hands into the loops of elastic bands and keeping their fingers spread out.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PNF exercise with a closed-hand grip by holding the loops of elastic bands with their fingers. In both groups, the subjects' edema, ROM, and pain levels were measur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2, 3 and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both groups demonstrated edema reductions, ROM increases, and pain reductions in four areas of the upper limbs. Notably,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larger ROM increases in flexion, extension, and abduction as well as greater edema and pain reductions tha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the elbow of the four upper limb areas for edema reductions and in extension for ROM increase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exercise therapy-based approaches using elastic bands in post-mastectomy patients with upper limb lymphedema can have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type of hand grip (open or closed), which is the body's most distal part. Therefore, these approaches should be based on the conditions of the distal parts of the patient's body for their effective applications in clinical practice.

CNT 기반의 직물센서 구현 방법에 따른 관절동작 센싱 효율 평가 (Evaluating Joint Motion Sens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CNT-Based Fabric Sensors)

  • 조현승;양진희;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24권4호
    • /
    • pp.129-13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신축성 직물 센서의 모양과 의복 상 부착 위치가 아동의 사지 관절 동작 센싱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아동의 사지 동작 센싱에 적합한 직물 동작 센서의 요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 아동에게 2종의 센서 모양과 2개의 센서 부착 위치에 따라 조작된 실험복을 착의시킨 후 60 deg/sec의 속도로, 팔과 다리의 굽힘-폄 동작(60°, 90°의 동작 각도별로 10회씩 3회 반복 동작, 총 60회 동작)에 의한 직물 센서의 신장과 수축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였으며, 가속도 센서를 함께 부착하여, 센싱 결과의 일치도를 분석함으로써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아동의 팔과 다리 동작을 가장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직물 센서의 구성 요건은 장방형 모양 센서 및 관절로부터 4cm 아래 부위에 부착된 센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사지 동작 측정에 적합한 직물 센서를 개발하고 관절동작 센싱에 적합한 센서의 모양과 의복 상 부착 위치에 대한 조건을 분석하였으며, 의복에 통합된 유연한 직물 센서를 활용하여 인체 부위별 동작 센싱이 가능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회전근 개 부분 관절측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경 건 봉합술의 단기 결과 (Short-term Outcomes of Arthroscopic Transtendinous Repair in Partial Articular Side Tears of the Rotator Cuff)

  • 신성룡;유연식;김도영;이상수;정운섭;최현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12-117
    • /
    • 2008
  • 목적: 회전근 개 부분 관절측 파열의 치료로 관절경적 경 건 봉합술을 시행하고 전향적으로 임상 양상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증상이 있고 자기 공명 영상과 관절경 소견에서 회전근 개 부분 관절측 파열로 관절경적 경 건 봉합술을 시행한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2.5세였고, 평균 이환 기간은 33.7주였다. 수술 전, 후의 통증에 대한 시각 점수 척도(VAS), ASES 점수, 능동 관절운동 범위를 측정하여 임상기능 척도를 평가하였고, 최종 추시때 주관적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Wilcoxon's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VAS 점수는 수술 전 $6.6\pm1.1$점이었고 수술 후 6개월에 $0.4\pm0.6$점으로 감소하였으며, ASES 점수는 수술 후 6개월 추시 결과에서 수술 전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05). 평균 능동 관절운동 범위는 외전의 경우 수술 전 $94.3\pm22.3$도에서 수술 후 1개월 때부터 의미있게 증가하여 $108.7\pm16.3$도였고(p=0.0041), 수술 후 6개월에는 $164.3\pm5.3$도로 증가하였다(p=0.0006). 전방 굴곡은 수술 전 $105.0\pm23.8$도, 수술 후 1개월에 $119.0\pm17.4$도였고(p=0.0075), 수술 후 6개월에는 $174.3\pm5.3$도였다(p=0.0006). 94%의 환자들이 최종 추시때 만족 이상의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관절경적 경 건 봉합술은 단기 추시상 만족할만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으며, 회전근 개 부분 관절측 파열 환자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중·장년층에서 견관절 탈구 후에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분석과 치료 (The Analysis and Treatment of Rotator Cuff Tear After Shoulder Dislocat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Patients)

  • 지종훈;박상은;김영율;신은수;박보연;정재중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20-26
    • /
    • 2010
  • 목적: 중 장년층에서 견관절 탈구 후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의 임상양상을 분석하고,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에서 2008년 10월까지 견관절 탈구와 회전근 개 파열이 동반되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50세 이상의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7명과 여자 12명으로, 평균 나이는 64.7세 (50~78세)였고, 추시 기간은 평균 22개월 (8~56개월) 이었다. 탈구의 횟수,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 견관절 내 Bankart 병변, 수술까지의 시간 등을 조사하였고, 수술 전, 후의 ASES 점수, UCLA점수, SST 점수 및 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수술 후의 임상결과 및 결과에 미치는 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결과: ASES 점수는 술 전 30.2점 (${\pm}20.7$)에서 술 후 72.3점 (${\pm}20.3$)으로, UCLA shoulder rating scale은 12.9점 (${\pm}5.2$)에서 26.5점 (${\pm}7.0$)으로. SST 점수는 2.4점 (${\pm}3.3$)에서 7.3점(${\pm}4.2$)으로 향상되었다. 운동 범위는 술 전 전방 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각각 110.8도 (${\pm}39.3$), 107.7도 (${\pm}40$), 22.5도 (${\pm}17.6$)와 L5 수준에서 술 후 전방 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각각 153.6도 (${\pm}20.6$), 152.1도 (${\pm}20.8$), 36.4도 (${\pm}22.7$)와 L1 수준으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나이와 Bankart 병변의 유무, 탈구 횟수는 수술 후의 결과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그러나 파열이 클 수록 임상결과는 좋지 않았고,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과 술 후 UCLA 점수와 술 후 SST 점수가 통계학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0.039, 0.038). 결론: 중 장년 이후에 견관절 탈구 발생시 조기에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회전근 개 파열이 동반된 경우, 조기에 회전근 개 봉합을 시행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