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aeagnus umbellata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2초

비탈면에 파종된 붉나무(Rhus javanica) 개체군의 생육 및 공간분포 특성 - 용인 대지산 사례지역을 중심으로 - (Growth an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hus javanica Populations Sowed on Cut-Slopes - Focusing on the Dae-Ji Mountain Case Study -)

  • 임채영;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9-49
    • /
    • 2015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rowth an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hus javanica popul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2015 January and July at the cut-slope revegetation site in Dae-Ji Mountain. Seeds of native species were sowed on the disturbed cut-slope in 2002. There were 119 vascular plant species 55 families and 94 genera on the cut-slope. Compositae, Rosaceae, and Leguminosae plants were dominant species, which are pioneer species in dry and barren site. Canopy of trees covered 44.1% total area, which was 8.3% increase from 2008. Rhus javanica, main species, dominated all DBH classes except DBH >24cm. Albizzia julibrissin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6~17cm DBH class and Salix koreensis was abundant at >12cm. Elaeagnus umbellata, Corylus heterophylla var. heterophylla, Alnus sibirica, and Acer pictum were not observed. Rhus javanica popul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on the south facing cut-slope. The average DBH of Rhus javanica was $7.3({\pm}3.7)cm$ and the average height of them was $5.2({\pm}1.7)m$. Annual average DBH growth was 7.9mm/yr and the maximum growth(12.0mm/yr) was the $3^{rd}$ year. It decreased after $6^{th}$ years. Although Rhus javanica population in the Dae-Ji Mountain was a seed originated plantation, the forest had reverse J shape diameter frequency distribution. It indicated that the forest is uneven-aged forest. The Rhus javanica population was expected to sustain.

한라산 아고산지대 식물군집구조 및 식생훼손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nd Vegetation Deteriorations on Subalpine Zone in Mt. Halla)

  • 이경재;조우;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4-54
    • /
    • 1992
  • 한라산 영실의 오백나한-윗세오름대피소-방아오름에 이르는 아고산대(해발 1,440-1,700m)삼림의 식물군집 구조분석을 위하여 37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 $\times$ l0m 방형구 1개씩 설치)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의 종류인 RA및 DCA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가축방목과 이용객에 의한 식생훼손을 파악하기 위하여 17개소에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TWIMSPAN에 의해 5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어 구상나무-주목군집, 산철쪽-털진달래 -제주조릿대군집, 큰꽝꽝나무-보리수나무-제주조릿대군집, 산철쭉-눈향나무-털진달래군집, 시로미-눈향나무군집으로 나뉘었다. 가축방목과 탐방객의 이용에 의하여 식물군집의 종다양성이 심하게 감소되었다.

  • PDF

Verification on Cold-Tolerance of Some Fruit Trees as Species for Urban Greening Plants

  • Lee, Jin-Hee;Oh, Hee-Young;Kwon, O-Ma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55-1166
    • /
    • 2017
  • This study selected commonly known species of fruit trees, and re-selected the species that endure the stress of extreme cold weather and physiologically restore themselves to the previous state until the following year. Then we could go ahead to propose the species that were appropriate as urban greening plants in weather condition of any part of the country. To do this, we conducted an experiments for six species of fruit trees based on the pre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and recommendation of the experts; Morus alba (English name: mulberries), Diospyros kaki (English name: Persimmon), Prunus persia (English name: Peach), Elaeagnus umbellata var. coreana (English name: Korean Autumn Olive), Malus domestica 'Alps Otome' (English name: Alps Otome), and Prunus mume (English name: Blue Plum). The experiment verifies whether the trees survive without any stress from the cold weather under the national climate conditions (one in the suburbs of Seoul: Yongin city, one in the central Chungcheong region: Daejeon city, and in the southern Gyeongsang region: Jinju city in Korea). The experiment lasted for a year from August 2016 to August 2017. The levels of electrolytic efflux, chlorophyll content, plant heigh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measured four times (on August of 2016, January, February, and August of 2017) for each tree planted bare ground outdoors. Results showed that Diospyros kaki, Prunus persia, and Malus domestica 'Alps Otome' were proven durable and resistant to winters of all three areas (one in the suburbs of Seoul: Yongin city, one in the central Chungcheong region: Daejeon city, and in the southern Gyeongsang region: Jinju city in Korea). Especially, the increase of chlorophyll content and the reduction of electrolytic efflux were noticeable in Prunus persia than in the other two species, proving itself as the most cold-tolerant among the six species used in the experiment. In addition, interpreting from the physiological restoration data of one-year span before and after getting through winterer, Prunus persia was proven to be the most cold-tolerant species.

Natural Extracts as Inhibitors of Microorganisms and Lipid Oxidation in Emulsion Sausage during Storage

  • Lee, Jeeyeon;Sung, Jung-Min;Cho, Hyun Jin;Woo, Seung-Hye;Kang, Min-Cheol;Yong, Hae In;Kim, Tae-Kyung;Lee, Heeyoung;Choi, Y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060-1077
    • /
    • 2021
  • Food additives are required to maintain the freshness and quality of foods, particularly meats. However, chemical additives may not be preferred by consumers, and natural materials with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ects may be used as replacements for common chemical additive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atural compounds extracted with ethanol and hot water, and emulsion sausage prepared with natural ethanol extracts was analyzed for pH, colo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growth during storag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49 natural extract candidate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C. perfringens, Salmonella spp., and Escherichia coli were analyzed, and six natural materials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ies, i.e., Elaeagnus umbellata Thunb. f. nakaiana (Araki) H. Ohba, Punica granatum L., Ecklonia cava, Nelumbo nucifera Gaertner, and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and Rubus coreanus Miq.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hot water extracts, wherea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hot water extracts. The TBARS values of emulsion sausag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storage time increased, and the TBARS values of emulsion sausages prepared with natural extract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sausages. Natural extract-treated emulsion sausages showed a 99% reduction in bacterial contents compared with untreated sausages on day 2, with greater than 99.9% reduction after day 3. Thu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natural extracts could have applications as natural preservatives in meat products.

보리수나무 유식물의 생장과 질소고정 활성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Growth and Nitrogen Fixation Activity of Autumn Olive (Elaeognus umbellata) Seedlings)

  • 송승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387-394
    • /
    • 1994
  • 보리수나무(Elaeagus umbellata Thunb.) 유식물의 생육과정에서 근류 형성 및 질소고정 활성에 대한 중요 요인으로서 광도, 온도, 질소화합물, 수분 스트레스 등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유식물의 상대생장률과 T/R비는 각각 초기의 $1.60%{\cdot}d^{-1}$와 1.12에서 근류 형성이 촉진된 후기에는 $3.75%{\cdot}d^{-1}$와 2.31로 증가하였다. 질소고정의 비활성은 근류 형성 초기에 $72.5\;\mu\textrm{M}\;C_2H_4{\cdot}g\;fr\;wt\;nodule^{-1}{\cdot}h^{-1}$로서 최대치를 나타낸 후 점차 감소하였다. 상대조도 20-25. 10-15 및 4-6% 처리구의 질소고정 활성은 대조구에 대해 각각 41, 54 및 71%의 감소를 보였다. 근류를 15, 20, 25 및 $30^{\circ}C$에서 배양할 때 활성은 각각 5.4, 24.7, 51.6 및 $58.5\;\mu\textrm{M}\;C_2H_4{\cdot}g\;fr\;wt\;nodule^{-1}{\cdot}h^{-1}$로 변하였다. 저온($15^{\circ}C$)의 전처리 후 $30^{\circ}C$로 옮겼을 때 근류 활성($66.5\;\mu\textrm{M}\;C_2H_4{\cdot}g\;fr\;wt\;nodule^{-1}{\cdot}h^{-1}$)은 고온($35^{\circ}C$) 전처리에 비해 촉진되었다. 근류의 활성은 산소분압에 비례하여 16 kPa 이상에서 포화되었고, 근류를 뿌리에서 떼어내거나 절단하면 92%와 43%로 활성이 억제되었다. pH 5.5, 6.5 및 8.0에서 생육된 초기 근류의 상대활성은 각각 89, 100 및 40%였으며, 1 및 3 mM의 $NO_3\;-N와\;{NH_4}^{+}-N$에서 생육된 초기 근류는 각각 6.1%와 68.50%의 상대활성을 보였다. 수분 공급량 20, 50 및 100mL에 의한 근류의 형성과 비활성은 각각 35, 120 및 8 mg.plant-1와 33.6, 58.4 및 $8.4\;\mu\textrm{M}\;C_2H_4{\cdot}g\;fr\;wt\;nodule^{-1}{\cdot}h^{-1}$였다. 식물체에 수분공급을 중단하였을 때 5일 후에 일시 위조가 나타났으며, 식물체의 함수량 및 증산량은 각각 90 및 53% 감소되었으나, 근류 활성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 PDF

수목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V) - 과별(科別)에 따른 항균 및 항산화 활성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ad Extractives (XV) -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verse families -)

  • 이성숙;이학주;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8-17
    • /
    • 2004
  • 수목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항산화제, 식품첨가제 및 농약 개발에 필요한 항균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였다. 즉, 65와 263종의 수목을 목부, 잎 및 수피로 나누어 에탄올로 추출한 후 항진균활성은 균사생장억제율을, 항세균활성은 생육저지환직경을 그리고 항산화활성은 프리라디칼소거능을 측정하여 검정하고 과별에 따른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활성 우수수종으로는 소나무와 수종 5종(잣나무,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개잎갈나무, 방크스소나무), 측백나무와 수종 3종(노간주나무, 향나무, 편백) 그리고 콩과 수종 3종(자귀나무, 다릅나무, 회화나무)이 각각 선발되었다. 항세균활성은 자작나무와 6종(개서어나무, 소사나무, 산오리나무, 서어나무, 박달나무, 사방오리나무), 참나무과 5종(구실잣밤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밤나무), 대극과 4종(유동, 오구나무, 예덕나무, 사람주나무) 그리고 보리수나무와 3종(보리수나무, 보리밥나무, 보리장나무)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느릅나무와의 느티나무, 소나무과의 소나무, 콩과의 다릅나무, 측백나무와의 편백 및 향나무는 항진균 및 항세균활성이 공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생물농약 및 천연보존제 개발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96% 이상의 프리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낸 시료는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이 8종(비파나무, 섬벚나무, 왕벚나무, 귀룽나무, 살구나무, 모과나무, 국수나무, 찔레꽃)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진달래과로 총 5종(진달래, 철쭉꽃, 산철쭉, 모새나무, 정금나무)이었다. 한편, 공시시료로 사용된 장미과 시료 총 48종 중에 6종만 라디칼 소거능이 80%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활성과 관련된 성분이 장미과 식물 공통으로 존재할 기능성이 시사되었다.

학교 조경수목 직재현황 조사를 통한 향토수종 이용 확대에 관한 연구 -이리시 초.中고등학교 38개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Use and Extention of Native Species of Trees through the Field Survey of Present Status of Landscape -The Case Study on 38 Elementary, Middle and Schools in Iri city-)

  • 박영수;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50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lants status of the woody landscape plants species of 3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Iri city, and to obtain som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velopment and use of native species of tre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Landscape plants species of 3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Iri city was 55 families, 164 species, and 85, 045 trees and the average of landscape plants species of 17 elementary schools was 50.5 families, 3, 010 trees, on the other hand, middle and high school was 42.4 families, 1, 609 trees. 2. Plants species by type was Deciduous Broadleaved Tree 32.9%, Deciduous Broadleaved Shrub 25.6%, Evergreen Coniferous Tree 14.6%, Evergreen Broadleaved Shrub 9.7%, Vine 4.8%. Evergreen Tree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rate 'others' was 32.2%. 3. The rate of plants species of the Evergreen Trees to the Deciduous (except Vine and 'others') was 34:66. on the other hand, rate of quantity was 50.5:49.5 and the rate of the trees to the shrubs(except Vine and 'others') was 58:42. to the plants species and to the quantity of the number of trees was 25.9:74.1. 4. Plants species of fruit plants of 3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Iri city was 31 species to the 164 species. The rate of frequency was Poncirus trifoliata 27.8%, Lycium chinense 25.1%, Ginkgo biloba 16.7%, to the quantity of the number of trees, fruit plants was 2, 605 trees to the 85, 045 trees and the frequency was 3%. 5. School trees and flowers of 3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Iri city were appointed 17 elementary school, on the other hand,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only 4 middle and high schools. Plants species of the best of frequency school tree was Zelkova serrata and school flower was Rosa spp.. 6. The rate of the native species to the introduced species was 73.8:26.2.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quantity by the number of trees was 84.7:15.3 to the type, the rate of frequency of plants of native species Evergreen trees was Thuja orientalis, deciduous was Ginkgo biloba, Vine was Wisteria floribunda and 'others' was Sasa borealis. on the other hand, to the introduced species, Evergreen Trees was Juniperus chinensis. Deciduous Trees was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and Vine was Vitis labrusca and 'others' was Phyllostachys pubescens. 7. As the fundament of the results of above the optimum selecting of woody landscape plants according to native species of trees was 29 families, 58 species. on the basis of 30 points, 28 points was 8 species Ginkgo biloba,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Parthenocissus tricuspidata, Elaeagnus umbellata, Fraxinus rhynchophylla, Weigela subsessilis, Koelreuteria paniculata, Lonicera japonica, 26 points was 27 species Thuja orientalis, Zelk ova serrata, Euonymus japonica etc., and 24 points was 23 species Populus tomen tiglandulosa, Juglans sinensis, Sophora japonica etc..

  • PDF

보리수 나무 열매로부터 라이코펜 생산을 위한 효소 분해 및 유기용매 추출 복합 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Combined Process of Enzymatic Hydrolysis and Solvent Extraction for Production of Lycopene from Elaeagnus umbellata)

  • 오윤혜;이주미;채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93-299
    • /
    • 2020
  • 보리수 나무 열매로부터 효소 분해 및 유기용매 추출의 복합 공정에 의한 라이코펜의 생산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보리수 나무의 열매를 증류수에 현탁하여 Celluclast, Ceremix, AMG, Viscozyme, Promozyme, Pectinex, Tunicase 및 Ultraflo와 같은 가수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효소 반응을 수행하였고 효소 반응액을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및 헥산과 같은 유기 용매로 추출하였다. 가수분해 효소 중 Ceremix 복합 효소를 사용하고, 추출 용매는 클로로포름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lycopene 추출률을 나타냈다. 보리수 나무 열매의 효소처리 조건 최적화를 위해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결과, 효소 반응의 pH는 5.5로, 반응 온도는 54.4℃로, 효소 첨가 농도는 0.58%로 하였을 때 lycopene 추출률이 가장 높았고 이 때 lycopene의 함량은 22.6 mg/100g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효소적 가수분해 공정과 유기 용매 추출 공정을 결합하여 활용하는 복합 공정은 기존 용매추출법에 비해 유효성분인 lycopene의 수율을 2.3배 증가시켰다. 이는 향후 바이오헬스 케어 제품의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고지방·고단순당 식이 섭취 마우스에서 토종보리수 열매의 인슐린 저항성 및 고혈당 개선 효과 (Effects of autumn olive berry on insulin resistance and hyperglycemia in mice fed a high-fat, high-sucrose diet)

  • 최하늘;조애진;김하나;김정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16-26
    • /
    • 2024
  • 토종보리수 열매의 항당뇨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네 군으로 나누어, 기본 식이, 고지방·고단순당 식이, 토종보리수 열매 추출물을 저농도 (0.5%) 및 고농도 (1.0%)로 첨가한 고지방·고단순당 식이를 12주간 제공하였다. 고지방·고단순당 식이를 섭취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 및 체중 증가량, 부고환 지방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고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물의 급여는 부고환 지방무게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고지방·고단순당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당, 인슐린, HOMA-IR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고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물은 인슐린 농도를 감소시켰고, 저농도 및 고농도 추출물은 혈당 및 HOMA-IR값을 감소시켰다. 고지방·고단순당군은 대조군에 비해 IRS-2 및 AMPK 단백질 발현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고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물의 급여는 IRS-2 발현도를 증가시켰고, 저농도 및 고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물의 급여는 AMPK 발현도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토종보리수 열매는 제2형 당뇨병 동물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켜 고혈당 개선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고단순당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저농도 및 고농도 토종보리수 열매 추출물의 급여는 혈청 중성지방 농도 및 간조직의 총 지질과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켰고, 고농도추출물의 급여는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켜, 토종보리수 열매는 지방간과 이상지질혈증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남산(南山) 및 광릉(光陵) 산림생태계(山林生態系)의 식물(植物) 종다양성(種多樣性)의 비교 (比較) 평가(評價)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Plant Species Diversity in Forest Ecosystems of Namsan and Kwangneung)

  • 김지홍;이병천;이유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4호
    • /
    • pp.605-618
    • /
    • 1996
  • 훼손된 생태계(生態系)로 간주한 남산(南山)과 비교적 자연생태계(自然生態系)를 유지하고 있는 광릉(光陵)을 대상으로 식물종의 구성 상태를 중심으로 각 지역의 구조적인 식물 종다양성(種多樣性)을 파악하고 훼손된 생태계로 간주한 남산(南山)에 대하여 장차 자연 상태의 생태계로 복원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생태적(生態的) 정보(情報)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층(上層) 식생(植生)은 $20m{\times}20m$, 중층(中層) 식생(植生)은 $4m{\times}4m$, 하층(下層) 식생(植生)은 $1m{\times}1m$의 정방형(正方形) 표본구(標本區)를 설정한 계층표본구법(階層標本區法)을 적용하여 목본(木本)과 초본식물(草本植物)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초본 식물은 봄, 여름, 가을의 종(種) 출현의 변화를 감안하여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임형(林型)별, 수직 구조상의 층별, 계절별로 출현하는 식물종을 바탕으로 종구성(種構成) 상태(狀態), 종다양성(種多樣性), 생활형(生活型) 다양성(多樣性), 종간(種間) 상관관계(相關關係), 종(種)별 서식지(棲息地) 평가 등의 분석을 통하여 식물종과 관련되는 산림(山林) 생태계적(生態系的) 속성(屬性)들을 검토하였다. 남산(南山) 관엽수림(關葉樹林)의 상층 임관을 구성하는 임목의 종다양성(種多樣性) 지수(指數)는 광릉(光陵) 천연림(天然林)의 상층 임목의 종다양성 지수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나, 전반적인 식물의 종다양도는 광릉(光陵) 지역이 남산(南山)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선정된 초본(草本) 식물(植物) 중에서 광릉(光陵) 지역에서만 출현하고 남산(南山)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것으로는 개싹눈바꽃, 늦고사리삼, 느리미고사리, 광릉골무꽃, 뻐꾹나리, 그리고 광릉제비꽃 등으로 광릉(光陵) 지역의 특산종(特産種)이 대부분이었다. 목본(木本) 식물(植物) 중에는 보리수나무 그리고 서울귀룽나무가 남산(南山)에서만 조사되었고, 고로쇠나무, 복자기나무, 서어나무, 층층나무. 들메나무, 황벽나무 등 천연 활엽수림의 전형적인 수종이 출현하더라도 그 생육지가 극히 작은 면적 혹은 일부분에 국한되었다. 장차 남산(南山) 지역의 생물다양성(生物多樣性)을 복원하는 차원에서 이와 같은 식물(植物) 종(種)의 분포(分布) 영역(領域)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