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isenia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초

유기성 슬러지 먹이에 대한 두 근연종인 줄지렁이(Eisenia fetida)와 붉은줄지렁이(Eisenia andrei)의 생식반응 비교 (A comparison of the reproduction of two closely related species, tiger worm(Eisenia fetida) and red tiger worm(Eisenia andrei) when the organic sludge was suppied to them)

  • 배윤환;신현곤
    • 유기물자원화
    • /
    • 제29권3호
    • /
    • pp.27-33
    • /
    • 2021
  • CO I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경북농약연구소에서 독성실험에 이용되고 있는 경주집단 Eisenia속 지렁이의 '분자생물학적 종'은 줄지렁이(E. fetida)로 동정되었고 유기성 폐기물 재활용에 활용되고 있는 영동집단 Eisenia속 지렁이의 '분자생물학적 종'은 붉은줄지렁이(E. andrei)로 동정되었다. 이들 두 분자생물학적 종의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생식반응을 비교한 결과 줄지렁이 집단의 산란률과 차세대 성충으로의 성장률이 붉은줄지렁이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거나 또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 교잡 후 생산되는 산란수나 차세대 성충 생산수는 같은 집단내 개체들로부터 생산된 것들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줄지렁이 집단과 붉은줄지렁이 집단 간에 완전한 생식적 격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이 두 집단 간에 생물학적 종분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렁이 사육상에서 줄지렁이(Eisenia fetida) 개체군의 수직분포 (Vertical Distribution of Tiger Worm (Oligochaeta : Eisenia fetida) Population in the Rearing Bed)

  • 박광일;김병우;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4호
    • /
    • pp.93-99
    • /
    • 2007
  • 제지슬러지를 먹이로 공급하여 줄지렁이를 사육하면서 지렁이 사육상 높이 및 사육상내 개체군 밀도가 높아짐에 따른 줄지렁이 개체군의 수직분포를 사육상 표층으로부터 5 cm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줄지렁이 유충, 성충, 개체군의 50% 이상이 표층으로부터 5 cm 이내에 서식하였으며, 줄지렁이 유충, 성충, 난포 개체군의 96% 이상이 표층으로부터 20 cm 이내에 서식하였다. 사육상의 높이가 50 cm로 높아질 때까지 사육상 높이나 지렁이 개체군 밀도 변화가 지렁이 개체군의 수직분포 비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양계에 음식물 쓰레기 급이후 발생된 계분이 줄지렁이(Eisenia fetida)개체군의 생장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crement of Laying Hens which were fed with Food Wastes on the Growth and Reproduction of the Population of Eisenia fetida)

  • 배윤환;이병도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3호
    • /
    • pp.112-118
    • /
    • 2004
  • 파쇄,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양계가 사료로 섭취하고 배설한 계분에 제지슬러지를 혼합하여 21일간 부숙시킨 먹이를 줄지렁이 유충에게 급이하면서 줄지렁이의 생체량, 사망률, 환대발현률, 난포 생산수 및 음식물류 폐기물, 계분, 계분과 제지슬러지 혼합시료의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하였다. 먹이 급이 10주후의 줄지렁이 생체량이 초기 생체량에 비해 5.7% 감소하였으며, 환대발현률이 매우 저조하고 산란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계분내의 염분이 지렁이의 성적 성숙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분이 줄지렁이의 사망률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합성세제가 줄지렁이(Eisenia fetida) 개체군에 미치는 생태독성학적 영향 (Ecotoxicological effects of synthetic detergents on the population of Eisenia fetida)

  • 박광일;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1호
    • /
    • pp.115-122
    • /
    • 2011
  • 의류용 세탁세제와 샴푸와 같은 합성세제가 혼입된 먹이를 급이하였을 경우 줄지렁이 개체군의 산란률, 난포당 부화개체수 및 차세대 발육 유충수의 증가를 유발시켰으며, 산란된 난포의 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태독성학적 측면에서 합성세제는 줄지렁이 개체군에 대해 독성 현상을 유발하지 않으며 가정에서 사용하는 합성세제는 하수슬러지를 지렁이에게 지속적으로 급이하였을 때 나타나는 지렁이 개체군 소멸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Two New Eisenia Species from South Korea Similar to E. koreana and Comparable to Eisenoides from USA (Oligochaeta: Lumbricidae)

  • Blakemore, Robert J.;Park, Tae Se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8권4호
    • /
    • pp.297-303
    • /
    • 2012
  • New Korean lumbricids are described: Eisenia gaga Blakemore sp. nov. from remote Gageodo Island and E. sindo Blakemore, sp. nov. from an island at Incheon. Both are comparable to Eisenia koreana (Zicsi, 1972) from near Pyongyang, North Korea. A remarkable yet previously unrecognized similarity to American earthworm Eisenoides carolinensis (Michaelsen, 1910) is discussed, but synonymy is rejected on tenuous morphological grounds (form of nephridial vesicle bladders) with taxonomy supported by objective molecular data (mt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barcodes).

국내 양식 지렁이 Eisenia andrei와 Perionyx excavatus의 구분 (Identity of Two Earthworms Used in Vermiculture and Vermicomposting in Korea:Eisenia andrei and Perionyx excavatus)

  • Yong Hong;Kim, Tae-Heung;Na, Young-E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2호
    • /
    • pp.185-190
    • /
    • 2001
  • 양식 지렁이 붉은줄지렁이(Eisenia andrei)와 팔딱지렁이(Perionyx excavatus) 2종에 대한 기재를 하으며, 이 2종에 대한 국내에서 분류학적 기록은 처음이다. 붉은지렁이는 뚜렷한 가로줄무늬가 없으며, 파딱이지렁이는 환대는 13-17마디이다.

  • PDF

내분비교란물질인 Nonylphenol과 DEHP(Di-(2ethylhexyl)phatalate)가 줄지렁이(Eisenia fetida)의 산란 및 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docrine disrupter, Nonylphenol and DEHP(Di-(2ethylhexyl)phatalate) on the cocoon production and the hatchability of Eisenia fetida (Ennelida: Oligochaeta))

  • 박광일;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2호
    • /
    • pp.89-95
    • /
    • 2012
  • 내분비 교란물질로 알려진 Nonylphenol과 DEHP가 줄지렁이의 산란수, 부화율, 난포당 부화개체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포천시 소재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한 하수슬러지내에 포함된 두 물질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Nonylphenol 농도 100 mg $kg^{-1}$이하인 먹이에서는 Nonylphenol이 줄지렁이의 산란수, 부화율, 난포당 부화개체수의 감소를 유발하지 않았다. DEHP 농도 1,500 mg $kg^{-1}$ 이상인 먹이에서는 DEHP가 줄지렁이의 산란수를 감소시켰으며, 농도 2,500 mg $kg^{-1}$ 이상에서는 DEHP가 난포의 부화율을 감소시켰다. 포천지역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하수슬러지에서 Nonylphenol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DEHP는 최대 1,640mg $kg^{-1}$ 이 검출되어 하수슬러지를 줄지렁이게 급이 할 경우 DEHP에 의한 줄지렁이 개체군 소멸 현상이 유발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추출방법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 및 소화효소 저해 효과 (Antioxidant and digestive enzyme inhibitory effects of Eisenia bicyclis extracted by different methods)

  • 김진학;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7-103
    • /
    • 2016
  • 미역과에 속하는 대황 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탄수화물 및 단백질 소화효소 저해능을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환류냉각추출물(RE), 초음파추출물(SE), 고온가압추출물(AE), 저온고압추출물(LE)의 수율과 주요 성분함량은 AE, RE, SE, LE 순으로 높았다. 고온가압추출물(AE)의 수율, 라미나린, 후코이단,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5.21%, 39.03%, 24.75%, 115.68 mg GAE/g, 36.67 mg RHE/g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500 mg% 농도에서 AE(86.60%), RE(83.09%), SE(84.41%), LE(80.45%) 순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50 mg% 농도에서 모두 98%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실험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AE, RE, SE, LE 순으로 높았으며, 500 mg% 농도에서 추출방법에 관계없이 98%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탄수화물 소화효소 중 amylase 저해 효과는 50 mg% 농도에서 AE(64.76%), RE(58.57%), SE(54.76%), LE(45.48%)순으로 나타났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는 5 mg% 농도에서 AE(86.71%), RE(81.87%), SE(75.21%), LE(72.65%) 순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분해 효소 중 trypsin 저해 효과는 50 mg% 농도에서 AE(24.37%), RE(22.76%), SE(19.97%), LE(15.95%)순으로 나타났으며, ${\alpha}$-Chymotrypsin 저해효과는 50 mg% 농도에서 AE(49.05%), RE(43.60%), SE(40.63%), LE(38.10%) 순이었으며, 대황 추출방법은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하는 고온가압 추출방법이 가장 양호하였다.

퇴비더미, 야초더미와 농촌하수구에 서식하는 지렁이 종과 군집 (Earthworm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in the Heap of Compost, Wild-grass and Sewer)

  • 나영은;홍용;이상범;고문환;안용준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11-16
    • /
    • 2001
  • 2000년 7월 10일부터 8월 3일까지 전국의 퇴비더미 37개, 야초더미 56개, 농촌하수구 15개에서 1525개체의 지렁이를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지렁이는 3과 4속 6-8종이었으며 종 구성은 다음과 같다. 퇴비더미에서 서식하는 지렁이는 줄지렁이 (Eisenia fetida) 86.2%, 참지렁이 (A. koreanus group) 6.3%, 밭지렁이 (Amyntha agrestis) 2.8%, 외무늬지렁이 (Amynthas hilgendorfi) 1.1%, Drawida sp. 1.7%, 갈색낚시지렁이 (Aporectodea trapezoides) 0.5%, 기타 종이 1.4%, 야초더미에서 서식하는 지렁이는 참지렁이 (A. koreanus group)가 27.8%, 밭지렁이(Amyntha agrestis) 25.1%, 외무늬지렁이 (Amynthas hilgendorfi) 12.1%, 줄지렁이 (Eisenia fetida) 9.8%, 갈색낚시지렁이(Aporectodea trapezoides) 9.1%, Drawida sp. 2.8%, 기타 종 13.2%,또한 농촌하수구에서 서식하는 지렁이는 참지렁이 (A. koreanus group) 26.3% . 줄지렁이 (Eisenia fetida) 24.2%, 외무늬지렁이 (Amynthas hilgendorfi) 10.2%, 갈색낚시지렁이 (Aporecrodea trapezoides) 5.4%, 밭지렁이 (Amyntha agrestis) 5.4%, Drawida sp. 1.6%, 기타 종은 22.6%로 조사되었으며, 향후 조사된 이들 종들에 대한 섭식 능력과 기능을 평가하여 여러 분야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Intestinal Absorption of Fibrinolytic and Proteolytic Lumbrokinase Extracted from Earthworm, Eisenia andrei

  • Yan, Xiang Mei;Kim, Chung-Hyo;Lee, Chul-Kyu;Shin, Jang-Sik;Cho, Il-Hwan;Sohn, Uy-D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2호
    • /
    • pp.71-75
    • /
    • 2010
  • To investigate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a fibrinolytic and proteolytic lumbrokinase extracted from Eisenia andrei, we used rat everted gut sacs and an in situ closed-loop recirculation method. We extracted lumbrokinase from Eisenia andrei, and then raised polyclonal antibody against lumbrokinase. Fibrinolytic activity and proteolytic activity in the serosal side of rat everted gut sacs incubated with lumbrokinase showed dose- and time-dependent patterns. Immunological results obtained by western blotting serosal side solution using rat everted gut sacs method showed that lumbrokinase proteins between 33.6 and 54.7 kDa are absorbed mostly by the intestinal epithelium. Furthermore, MALDI- TOF mass spectrometric analysis of plasma fractions obtained by in situ recirculation method confirmed that lumbrokinase F1 is absorbed into blood. Thes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lumbrokinase can be absorbed from mucosal lumen into blood by oral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