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ress tim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1초

종합병원 병동부 피난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vacuation in Ward of the General Hospital)

  • 김우석;채철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202-20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rchitectural planning guideline for the improvement of the evacuation environment in a ward. To suggest of guideline, the problem of irrational domestic criteria is searched according to compare National fire code (NFPA101, Life safety code) with Korea building law. This study includes stairs, corridors and exit door etc. but excludes fire facilities. To verify effectiveness of suggested guideline, egress simulation is run that based on databases according to literatu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 Suggested guidelines are subdivision(fire partition), evacuation by elevator, secure useful waiting space of elevator hall and smokeproof enclosures, the corridor is divided by fire or smoke barriers corridor from hazardous room, only wheeled items are arranged in corridors of a ward story. The result of computer simulation for suggested guidelines verify that egress time can be decreased 20% or above.

병원 피난에 관한 연구 : Part I (A Study on Evacuation of Patients in Hospital : Part I)

  • 김응식;이정수;김명훈;유희권;송용호;민경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0-28
    • /
    • 2005
  • 기존의 피난시간 예측 알고리즘이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들에는 재실자와 개개인의 이동속도가 배제되어 있다. 그 이유는 재실자들을 하나의 군중의 형태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병원의 경우 피난이 용이하지 못한 환자들이 많아 기존의 방법으로는 피난 평가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 피난 평가의 기초 데이터로 병원의 환자를 장애 유형별로 구분하여 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그 외에도 보조기구별로 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병동 근무자의 화재 시 대처 능력에 관한 의식조사를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얻어진 병원 환자들의 장애 유형별 이동속도, 전체대피실험을 통한 병원 피난시간 예측 알고리즘 그리고 설문지 조사 분석 결과 등을 두 편의 논문으로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공간위험정보를 적용한 대피자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cuees Risk Assesment for Application of Spatial Risk Information)

  • 홍승범;장재순;박현아;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8-12
    • /
    • 2015
  • 성능위주소방설계 초기단계로서 피난안전성평가에 있어서 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과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를 계산하여 단순비교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DS를 이용하여 열, 연기, 독성가스 등에 대한 위험정보값을 추출하였다. 또한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Artisoc를 이용하여 FDS에서 추출한 위험정보값을 적용하였다. 건축물의 구조는 가로 60 m, 세로 65 m로 구성하였으며, 출입구는 2곳에 설치하였으며 재실자는 50명을 랜덤하게 배치하였다. 시뮬레이션은 case1~case20 까지 총 20회에 걸쳐 진행하여, 피난 경로별 위치에 따른 재실자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위험정보값을 적용하여 기존의 단순비교 하던 피난안전성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위험정보값 전달기반의 평가기법을 제시하였다.

성능위주설계자들의 화재실 범위 설정 방식에 따른 소요피난안전시간(RSET) 비교 및 오차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 Comparison and Error Calculation in Relation to Fire Room Range Set Conditions of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Designers)

  • 백소나;최준호;홍원화;정종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73-78
    • /
    • 2016
  •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지하층 포함 30층 이상 고층 건축물에 대해 화재발생에 따른 위험성을 사전에 과학적으로 평가하여 재난발생 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성능위주 설계를 실시해야 한다. 이에 따라 설계자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링 등 과학적인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거주자의 화재 및 피난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다. 이 때, 인명안전성 평가를 위해 가용피난안전시간(ASET)과 소요피난안전시간(RSET) 을 산정하게 되는데 RSET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반응시간(Response Time)'을 산정함에 있어 우리나라 사람들에 대한 실측 데이터에 기반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설계 방 법 및 기준, 별표1'을 토대로 설계자별로 각각 상이한 값을 선택, 입력하거나 일본건축센터의 '건축방재계획지침'에 따라 계산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간 부산지역에서 성능위주 설계대상으로 지정된 고층 특정소방대상물을 대상으로 총 6명의 설계자가 실시한 성능위주 설계안 13건을 중심으로 RSET의 계산방법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고, 특히 RSET 계산 시 결과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반응시간의 계산방법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여 오차값을 산정하였다.

Performance-based Fire Protection Design of Domestic Super High-rise Buildings - Evaluation by ASET and RSET -

  • Roh, Hyeong-Ki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9-13
    • /
    • 2011
  • 초고층 빌딩 건설 시 요구되는 성능위주 소방설계는 인명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능동적인 대책으로서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고, 공학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방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관련 법규 및 기준을 적용하여 수행하는 기존의 설계 방식보다 인명 안전의 확보에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고 타당하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는 피난 요구 시간인 RSET과 피난이 가능한 시간인 ASET에 의한Time-line Analysis을 적용하였으며 또한 ASET과 RSET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스프링클러설비가ASET을 증가시켰으며, 화재감지 및 경보시간의 단축이 RSET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주고 있다. 단축된 시간은 인명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화설비, 화재 감지 및 경보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유지 관리되는 것도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화재의 성상을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피난 대응 프로그램 등이 구축되면 성능위주 설계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노인의료복지시설 화재 시 와상노인의 피난안전성 제고를 위한 피난허용시간 연장과 소방기관으로의 통보시간 연구 (A Study on ASET Elongation & Notification Time to Fire Stations for the Escape Safety of Aged Bedridden Patients in Elderly Long-term Medical Care)

  • 박형주;이영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50-59
    • /
    • 2018
  • 고령화 추세에 따라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노인복지시설에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거주하고 있는 와상노인에 대한 피난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아 대규모 인명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이런 시설에 거주하는 와상노인에 대한 피난안전성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비화재구역의 피난허용시간을 최대한 연장시키면서 발코니 등의 일시피난안전구역에 차례로 피난시키고, 소방기관에 통보하는 화재속보설비를 통해 소방대의 출동에 의한 외부 조력피난유도방법이 최선의 대책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력피난을 수행하는데 있어 반드시 적용해야할 요소기술을 방화 소방공학적으로 개발하여 4가지로 분류 제시하였다. 방화공학적 요소기술로는 구조 구획의 내화성능확보와 구획의 소규모화 규제 조항과 마감재의 난연 불연성능의 확보 규제 조항인 2가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소방공학적 요소기술로는 스프링클러에 의한 냉각효과 부과 규제 조항과 소방기관으로의 자동화재속보기능의 부여 규제 조항인 2가지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규제 조항에 대하여 일본과 국내의 법조문을 상세히 비교분석하여 국내에서 개정한 법조문상 미흡한 부분을 고찰하고, 국내의 노인복지시설의 피난안전성의 제고를 위해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안전기준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 평가를 위한 Shield-cup이 적용된 시험방법 (Test Method Using Shield-cup for Evaluating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ire Detectors)

  • 장효연;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36-44
    • /
    • 2020
  • 성능위주 화재안전설계에서 요구 피난시간(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화재감지기 작동시간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해 화재감지기의 작동시험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Plunge test의 문제점이 검토되었다. 또한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Shield-cup test가 제안되었다. 측정의 정확성 및 재현성 확보를 위하여 개발된 Fire detector evaluator (FDE)가 적용되었다. 주요 결과로서, Plunge test에서는 감지기가 투입되는 순간에 급격한 유동변화로 인하여 연기감지기의 작동시간에 큰 측정오차가 발생되었으며, Shield-cup test에서는 감지기 노출 과정에서 장치 내부의 유동 변화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Shield-cup test는 모사된 화재환경에서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는데 상당히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Comparison of two techniques for transpharyngeal endoscopic auditory tube diverticulotomy in the horse

  • Koch, Drew W.;Easley, Jeremiah T.;Nelson, Brad B.;Delcambre, Jeremy J.;McCready, Erin G.;Hackett, Eileen S.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19권6호
    • /
    • pp.835-839
    • /
    • 2018
  • Auditory tube diverticula, also known as guttural pouches, are naturally occurring dilations of the auditory tube in horses that communicate with the nasopharynx through a small ostium. Infection and select other conditions can result in inflammation and narrowing of the nasopharyngeal ostium, which prevents drainage of fluid or egress of air and can lead to persistent infection or guttural pouch tympany. Auditory tube diverticulotomy allows continuous egress from the auditory tube diverticula and is a feature of disease treatment in horses, in which medical treatment alone is not successful. Transpharyngeal endoscopic auditory tube diverticulotomy was performed using a diode laser either at a single dorsal pharyngeal recess location or bilaterally caudal to the nasopharyngeal ostium in 10 horse head specimens. Both methods resulted in clear communication between the nasopharynx and auditory tube diverticula. Diverticulotomy performed in the dorsal pharyngeal recess required less laser energy and activation time and had a shorter surgical duration than diverticulotomy performed caudal to the nasopharyngeal ostium. Further study related to the clinical application of both techniques is warranted.

장애인복지관 화재 시 피난안전성 분석 (Analysis of the Evacuation Safety in a Fire at Welfare Center for Disabled)

  • 박선아;이재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15-322
    • /
    • 2021
  •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화재 시 이용자들의 층별 배치에 따른 비상 통로를 이용한 RSET(Required Safe Egress Time, 피난소요시간)을 분석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 효율적인 피난 방법을 제시하고자 패스파인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비상 통로별 RSET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RSET에 따른 결과로, 현재 상태의 시설물 사용 인원 배치는 화재 시 기준 RSET을 만족시킴으로 피난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화재 시 가능하면 승강기를 이용하는 것보다 계단을 통하여 피난해야 안전하게 피난을 완료할 수 있다. 직원들은 화재 시 장애인들을 대동하여 효과적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사전에 충분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장애인 관련 시설에서 설계·건축단계에서 운영까지 장애인들이 화재 시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피난통로를 확보하고, 정기적인 피난훈련으로 RSET을 단축시킴으로써 안전하게 피난하여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다는데 의의를 둔다. 향후에는 시설물의 각 층 출입구에 자동방화문을 설치함으로써 특정 위치에서 화재 발생 시 자동방화문의 개폐 여부에 따른 RSET의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