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shell treatment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s of Lowering the Dietary Levels of Energy, Protein and Amino Acid (Methionine and Cysteine)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 Serpunja, Subin;Balasubramanian, Balamuralikrishnan;Kim, In Ho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67-73
    • /
    • 2017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arying levels of energy, protein, and amino acids on the performances of laying hens. A total of 240 Hy-Line Brown laying hens at 36 weeks of age were used in this 4-week feeding trial. The hens were randomly allocated to five treatment diets, with eight replications of six hens in each replicate cage. The treatment diets were as follows: A- basal diet + 18% crude protein, metabolizable energy 2,800 kcal, total (methionine + cysteine) 0.65%; B- basal diet + 17% crude protein, metabolizable energy 2,700 kcal, total (methionine + cysteine) 0.59%; C- basal diet + 16.5% crude protein, metabolizable energy 2,700 kcal, total (methionine + cysteine) 0.59%; D- basal diet + 16.5% crude protein, metabolizable energy 2,700 kcal, total (methionine + cysteine) 0.54%; and E- basal diet + 16% crude protein, metabolizable energy 2,680 kcal, total (methionine + cysteine) 0.54%.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hen-day egg production of hens that were fed with low-energy diets (B, C, and D) was comparable with that of hens fed with high-energy diet A, whereas average daily feed intake in hens fed treatment diet D and 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in hens fed treatment diet A. Overall, the eggshell thickness was unaffected by any of the treatment diets. Egg weight was comparable among the treatment diets, except for treatment diet E. Haugh unit improved with decreasing levels of dietary energy, protein, and methionine + cysteine in the diet. We can summarize that laying hens fed with low dietary energy and low crude protein treatment diets B, C, and D had satisfactory performance compared with those fed with high-energy treatment diet A.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the potential to reduce feed costs by formulating diets with lower energy and low protein levels.

견직물의 초란각액 처리 조건에 따른 연구(I) - 물성 및 태 변화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Eco-friendly Textiles by Studying the effect of the Natural Chorangak Liquid Treatment of Silk Fabrics - Focus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 the Hand -)

  • 이정주;김기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1-140
    • /
    • 2013
  • Eco-friendly and health-functional clothing is now becoming the target of the worldwide hot tre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co-friendly textiles to decreas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be harmless for human health by investigating how the natural chorangak liquid treatment affects the changes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hand of silk fabrics according to different treatment conditions. Treatment was varied with various temperatures ($85^{\circ}C$, $90^{\circ}C$, $95^{\circ}C$) for 90 seconds after degumm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atural chorangak liquid is the most effective at the ratio of glacial acid 200ml with eggshell 20g minimizing the time limit and sludge reduction. Its treatment of silk fabrics is optimized at $90^{\circ}C$ for 90 seconds with 25% conc. after degumming when considering tenacity and elongation. 2) After the treatment, tenacity and elongation of specimen are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degummed silk fabrics. 3) After analyzing the effect of the treatment on the characteristic values of basic mechanical properties of silk fabrics, mechanical properties (tensile, bending, shearing, compression, surface) are overall improved. The properties of thickness and weight are increased as well. 4) Based on the clear analysis on effects of the treatmen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hand of silk fabrics, the level of THV was enhanced from good to excellent. Therefore, chorangak liquid can be utilized satisfactorily as a new finishing agent for developing eco-friendly textiles.

산란계 사료에 비태인의 수준별 급여가 하절기 생산성 및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류명선;신원집;김상호;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49-51
    • /
    • 2001
  • Betaine functions as an osmoregulators in the cells and its inclusion can spare the choline, carcass fat reduction. Thus, two hundred eighty eight of seventy eight weeks old laying hens were fed with 0, 500, 1,000, 2,000 ppm betaine addition during the environmentally high temperature stress. Basal diets contained 16% CP and 2,800 ME. Egg productio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were examined for eight weeks. Egg qualities, liver betaine, blood osmolarity, AntiDiuretic Hormone(ADH) were measured at the end experiment. Egg production of hens fed 500, 2,000 ppm dietary betaine and showed significance between control and 2,000 ppm betaine treatment(P<0.05). ADH of blood sera tended to increase as dietary supplemental betaine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s indicated that dietary supplemental betaine was 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eggshell breaking strength, liver betaine in this experiment.

  • PDF

산란계 사료에 Glutinicus 첨가가 산란 생산성, 난각 및 난황색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병윤;임희석;백인기;김명국;최주희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84-86
    • /
    • 2003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yeast Rhodotourula glutinis(Glutincus) on th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ers. A total of 360 ISA Brown layers of 72 weeks old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6 diets :control, 25 ppm ${\beta}$-carotene. 0.5%, 1%, 2% and 4% Glutinicus supplemented diet.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three times with 20 birds housed in 2 birds cage units. Glutinicus supplemented at the level of 0.5% significantly(p<0.05) improved egg production and FCR. Soft and broken egge production rate decreased as the level of Glutinicus supplementation increased. Eggshell was highest in Glutinicus 4% supplementation. Egg yolk color increased linearly as the level of Glutinicus supplementation increased up to 2% of the diet. It was concluded that Glutinicus supplementation at the level of 0.5% can be recommended for the improvement of egg production while 2.0% can be recommended for egg yolk pigmentation.

  • PDF

산란계에 대한 오전용 사료와 오후용 사료의 영양수준 및 급여방법이 산란능력과 사료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Levels and Feeding Regimen of a.m. and p.m. Diets on Laying Hen Performances and Feed Cost)

  • 이규호;오용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5-204
    • /
    • 2002
  • 산란계에 대한 오전사료와 오후사료의 영양수준 및 급여방법이 산란능력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실험 1에서는 ISA Broun 갈색산란계 384수를 4처리 3반복, 반복당 32수씩을 공시하여 28~38주령에 2주간의 예비사양기간을 거쳐 본 시험 8주간 실시하였다. 대조구(C)는 관행적인 산란계 단일 배합사료를 급여하였고, 시험구들(T1, T2 및 T3)은 고에너지-고단백질-저 Ca의 오전사료와 저에너지-저단백질-고Ca의 오후사료를 별도로 급여하였다. 실험 2는 “ISA Brown” 갈색 산란계 384수를 3처리 4반복, 반복당 32수씩을 공시하여 48 ~ 58주령에 2주간의 예비사양기간을 거쳐 본 시험 8주간 실시하였다. 대조구(C)는 관행적인 산란계 단일 배합사료를 급여하였고, T1은 고에너지-고단백질-저Ca의 오전사료와 저에너지-저단백질-고Ca의 오후사료를 별도로 급여하였고, T2는 오전사료를 분말로 하고 오후사료를 펠렛으로 가공하여 50:50으로 혼합급여 하였다. 실험 1에서 헨데이 산란율과 평균난중 및 1일 1수당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와 시험구들(T1-T3)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1일 1수당 ME, CP 섭취량 및 사료비는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들(T1-T3)이 유의적으로 적었고(P<0.05), 시험구들간에는 오후사료의 ME및 CP 수준이 감소하고 Ca수준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산란 개당 및 산란 kg당 사료, ME CP요구량과 사료비도 모두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T1-T3)들이 유의적으로 적었으며(P<0.05), 시험구들 간에는 오후사료의 Ca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4배가 많은 73처리가 사료요구량에서 71과 72보다 많았고(P<0.05), 오후사료의 ME와 CP수준이 감소하고 Ca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란의 비중과 난각강도 및 난각후도 등 난각질은 모두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71-73)들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P<0.05),오후사료의 Ca수준이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 2에서 헨데이 산란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난중과 1일 1수당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오전사료와 오후사료의 별도급여구(T1)와 혼합급여구(T2)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1일 1수당 ME, CP섭취량 및 사료비는 모두 대조구에 비해 T1과 T2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T1과 T2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산란 개당 ME와 CP요구량 및 사료비는 모두 대조구에 비해 T1과 T2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산란kg 당 사료, ME, CP요구량 및 사료비는 모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계란의 비중과 난각후도는 대조구에 비해 T1과 T2구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P<0.05), 난각강도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T1과 T2구가 대조구보다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 결과 오전용 사료는 관행적인 산란계 배합사료에서 Ca공급제를 제외한 것을 급여하고, 오후용 사료는 Ca공급제를 3배 첨가한 T2처리로 15:00~16:00시에 교체급여를 하면 사료섭취량 감소와 사료비 절감면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고에너지-고단백질-저Ca의 분말사료와 저에너지-저단백질-고Ca의 펠렛사료를 혼합급여하면 산란계의 사료섭취 량과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었으며, 오전사료와 오후사료 별도급여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는 사양체계로 기대가 되나 보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저단백질, 저에너지 사료를 이용한 유도환우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Induced Molting with Low-Protein and Energy Diet on the Postmolt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ers)

  • 홍의철;박희두;나승환;김학규;유동조;박미나;정기철;추효준;서옥석;최양호;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7-123
    • /
    • 2010
  • 본 연구는 저단백질, 저에너지 사료를 이용한 유도 환우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산란율이 80% 이상인 61주령 White Leghorn 산란계 80수(평균 체중 $1.75{\pm}0.13$ kg)를 이용하여 12주 동안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환우를 하지 않는 비환우 대조구(CO), 비급이 환우구(10일 동안의 절식구, FW), 급이 환우구1(3주 동안 저단백질-저에너지 환우용 사료 급이구, LO) 그리고 급이 환우구2(3주 동안 표준 환우용 사료 급이구, ST)의 총 4처리구로 나누었으며, 처리구당 2반복, 반복당 10수씩 총 80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FW구에서는 2주째 초기체중에서 26.5%의 체중 손실이 있었으며, LO구와 ST구에서는3주째각각 17.3과 14.2%의 체중손실이 있었다(P<0.05). 환우구의 시험계들은 환우가 종료되고 산란 말기 사료를 급여한 1주 후에 체중이 회복되기 시작하여, 7주째는 처리구간에 환우 전 체중으로 회복되었다. 심장 무게 비율은 CO, FW, LO 및 ST구에서 각각 0.47, 0.43, 0.46 그리고 0.46%로 나타났으며, 간 무게 비율은 각각 2.56, 1.30, 1.47 및 1.52%로 비환우 대조구에 비해 환우 처리구에서 무게가 감소하였다(P<0.05). 난포수란관 무게 비율은3.95, 1.17, 1.54 및1.67%로 간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P<0.05). LO구와 ST구는 환우 기간 중에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였으며, 5주째 이후부터는 사료 섭취량이 대조구와 유사하게 증가하였다. 산란율은 1주령에 환우 처리구에서 감소하였으며, FW구에서는 2주째, LO구에서는 3주째, ST구에서는 4주째에 산란이 정지되었다. 산란 회복 기간을 보면 FW구는 4주째, LO구와 ST구는 5주째 산란이 재개되었으며, FW구는 6주째에 50.6%로 산란율이 50% 정도가 회복되었고, LO구와 ST구는 8주째에 각각 66.1과 71.6%로 산란율이 50%가 넘게 회복되었다. 난중은 약 67.5 g 정도로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난각두께는 CO, FW, LO 및 ST구에서 각각 0.41, 0.47, 0.46, 0.46 mm로 환우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난각 강도는 FW구와 LO구는 각각 3.83과 3.81 kg/$cm^2$로 CO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CO구와 ST구는 각각 3.54와 3.78 kg/$cm^2$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호우유니트는 4처리구에서 각각 75.6, 81.1, 80.6 및 79.9로 환우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료의 에너지와 단백질 함량을 낮추어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환우를 유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β-Glucan 제제들이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 성상과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β-1,3-glucan Supplements on the Performance, Blood Parameter, Small Intestinal Microflora and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 박광월;이아름;이인영;김미경;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3-190
    • /
    • 2008
  • 본 실험은 Beta-glucan 제제들이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 실험은 40주령의 산란계(Hy-Line Brown) 72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5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36수씩 randomized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 관리(자연일조+조명:16 hr)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 $BetaPolo^{(R)}$ (미생물 발효 ${\beta}-glucan$, 수용성)구, $HiGlu^{(R)}$(미생물 발효 ${\beta}-glucan$)구, $OGlu^{(R)}$(Oat ${\beta}-glucan$)구 그리고 $BGlu^{(R)}$(Barley ${\beta}-glucan$)구 등 5처리구로 두었다. 생산성에 있어서 일계 산란율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hen-housed egg production에 있어서 OGlu구가 HiGlu 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모든 ${\beta}-glucan$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계란 품질에 있어서 난각 강도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beta}-glucan$ 처리구들이 유의하게 높았고 그 중에서 BGlu구가 가장 높았다. 난각색과 Haugh unit는 ${\beta}-glucan$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는데 특히 OGlu구가 가장 낮았다. 혈액성상에 있어 leucocytes는 전반적으로 ${\beta}-glucan$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다. Erythrocytes 중 적혈구 용적율(HCT)과 평균적혈구용적(MCV)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MCV는 ${\beta}-glucan$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beta}-glucan$ 처리구중에서 OGlu구가 leucocytes와 erythrocytes 수준이 가장 높았다. 소장내 미생물 균총도 처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Cl. perfringens 의 경우 모든 ${\beta}-glucan$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난황내 IgY 함량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시험 마지막 5기에 ${\beta}-glucan$ 처리구 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내 IgG, IgA 함량에 있어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산란계에 ${\beta}-glucan$ 제제들의 급여가 사료 요구율과 난각 강도를 유의하게 개선시켰는데 혈액성상, 장내 미생물 균총, 면역 기능 등에 순기능적 개선에 의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산란사료 내 석회석에 대한 고막조개 패분의 부분 대체 급여가 산란후기의 난 생산성 및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ranular Ark Shell Partially Replacing Limestone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shell Quality in Aged Hens)

  • 박태순;유선종;김성권;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7-185
    • /
    • 2004
  • 본 실험은 산란계의 칼슘 공급원으로서 국내산 고막조개패분(GAS)을 석회석과 대체하여 산란후기의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부존 원료의 사료 자원화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54주령 Hy-Line Brown Variety 산란계 암탉 200수를 공시하였고, Ca 3.6% 수준의 실험사료(Control)에 유사한 입자도의 GAS를 1%, 2% 및 3% 수준으로 석회석과 대체하여 첨가한 실험사료(GAS 1%, GAS 2% 및 GAS 3%)를 6주간 급여하였다. In vitro 용해도는 석회석에 비해 GAS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사료섭취량 및 난 생산성에서는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GAS의 대체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주별 난각 강도 및 난각 두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전체 실험기간의 평균 난각 강도 및 두께의 결과에서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 < 0.05). 경골 파쇄 강도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경골 내 회분 함량은 GAS 3%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혈청 내 Ca 및 P의 농도는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산란사료내 석회석을 국내산 고막조개 패분으로 대체 급여를 통해 산란후기 난각질의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산란계 사료에서 Ca 공급원으로서 부존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 of Dietary Marine Microalgae (Schizochytrium) Powder on Egg Production, Blood Lipid Profiles, Egg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ers

  • Park, J.H.;Upadhaya, S.D.;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3호
    • /
    • pp.391-397
    • /
    • 2015
  • Two hundred and sixteen Institut de S$\acute{e}$lection Animale (ISA) brown layers (40 wks of age) were studied for 6 wks to examine the effect of microalgae powder (MAP)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blood lipid profile, and fatty acid concentration of egg yolk.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i) CON (basal diet), ii) 0.5% MAP (CON+0.5% Schizochytrium powder), and iii) 1.0% MAP (CON+1.0% Schizochytrium powder). From 44 to 46 wks, egg production was higher in 1.0% MAP treatment than in control treatment (linear, p = 0.034);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on the egg production from 40 to 43 wks (p>0.05).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roups fed with MAP, compared to those in groups fed with control diets (Quadratic, p = 0.034 and p = 0.039, respectively). Inclusion of 0.5% MAP in the diet of layers improved egg yolk color, compared with hens fed with basal diet at 46 wks (quadratic, p = 0.044). Eggshell thickness was linearly increased in MAP-fed treatments at 46th wk (p<0.05). Concentration of yolk docosahexaenoic acid (DHA; C22:6n-3) was increased in treatment groups fed with MAP (linear, p<0.05). The n-6 fatty acids, n-6/n-3 fatty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saturated fatty acid were decreased in treatment groups fed with MAP (linear,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P improved the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and may affect serum lipid metabolites in the layers. In addition, MAP increases yolk DHA levels, and deceases n-6/n-3 fatty acid ratio.

Effect of Sodium Selenite and Zinc-L-selenomethionine on Performance and Selenium Concentrations in Eggs of Laying Hens

  • Chantiratikul, Anut;Chinrasri, Orawan;Chantiratikul, Piyanet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7호
    • /
    • pp.1048-1052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dium selenite and zinc-L-selenomethionine on performance and egg Se concentration in laying hens. Two hundred and twenty-four CP Browns aged 71 weeks were divided according to a $2{\times}3$ factorial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One more group without additional Se supplementation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Each treatment consisted of four replicates and each replicate contained eight laying hen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T1: basal diet; T2, T3 and T4: basal diets plus 0.3, 1.0 and 3.0 mg Se from sodium selenite/kg, respectively; T5, T6 and T7: basal diets plus 0.3, 1.0 and 3.0 mg Se from zinc-L-selenomethionine/kg, respectively. The findings revealed that feed conversion rate/kg eggs, egg production, egg weight, Haugh units and eggshell thickness were not affected by source and level of Se (p>0.05). Increasing level of dietary S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he Se content of eggs. Zinc-L-selenomethionine markedly increased p<0.05 egg Se concentration as compared with sodium selenite.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 source did not influence performance of laying hens. However, zinc-L-selenomethionine increased p<0.05 egg Se concentration more than sodium selen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