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shell quality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s of Fermented Garlic Powder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Profile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 Ao, X.;Yoo, J.S.;Lee, J.H.;Jang, H.D.;Wang, J.P.;Zhou, T.X.;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6호
    • /
    • pp.786-791
    • /
    • 2010
  • The effects of fermented garlic powder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profil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were studied in a 35-d experiment. Two-hundred and forty (ISA brown) layers aged 41 week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e following four treatments: i) CON (basal diet); ii) G1 (CON+fermented garlic powder 1.0%); iii) G2 (CON+fermented garlic powder 2.0%) and iv) G3 (CON+fermented garlic powder 3.0%).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among treatments in egg production, egg weight, eggshell breaking strength and eggshell thickness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However, yolk heigh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by the addition of fermented garlic powder during the 5th week while yolk color was greater (p<0.05) in G2 and G3 than in CON and G1 in the 5th week. Compared with CON, Haugh unit was increased (p<0.05) in response to fermented garlic powder treatments during the 5th week. No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protein, albumin and IgG were observed in response to any of the treatments over the experimental period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p<0.05) reduction in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when the dietary level of fermented garlic powder was increased from 0.0 to 3.0%. The levels of saturated fatty acids (SF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response to G2 and G3 while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were higher (p<0.05) in G2 and G3 treatment groups than in CON and G1.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and PUFA:SFA ratio were higher (p<0.05) in G3.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ddition of fermented garlic powder reduced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did not cause adverse effects on production performance. Moreover, addition of 3.0% garlic powder decreased SFA but increased PUFA and PUFA:SFA ratio in egg yolk.

산란사료 내 석회석에 대한 고막조개 패분의 부분 대체 급여가 산란후기의 난 생산성 및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ranular Ark Shell Partially Replacing Limestone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shell Quality in Aged Hens)

  • 박태순;유선종;김성권;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7-185
    • /
    • 2004
  • 본 실험은 산란계의 칼슘 공급원으로서 국내산 고막조개패분(GAS)을 석회석과 대체하여 산란후기의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부존 원료의 사료 자원화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54주령 Hy-Line Brown Variety 산란계 암탉 200수를 공시하였고, Ca 3.6% 수준의 실험사료(Control)에 유사한 입자도의 GAS를 1%, 2% 및 3% 수준으로 석회석과 대체하여 첨가한 실험사료(GAS 1%, GAS 2% 및 GAS 3%)를 6주간 급여하였다. In vitro 용해도는 석회석에 비해 GAS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사료섭취량 및 난 생산성에서는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GAS의 대체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주별 난각 강도 및 난각 두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전체 실험기간의 평균 난각 강도 및 두께의 결과에서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 < 0.05). 경골 파쇄 강도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경골 내 회분 함량은 GAS 3%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혈청 내 Ca 및 P의 농도는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산란사료내 석회석을 국내산 고막조개 패분으로 대체 급여를 통해 산란후기 난각질의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산란계 사료에서 Ca 공급원으로서 부존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Sodium Alginate 코팅이 계란의 저장시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Sodium Alginate Coating on Egg Quality during Storage)

  • 홍완표;정윤화;안용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22-826
    • /
    • 2007
  • 계란의 저장성 증진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계란 표면을 sodium alginate 용액으로 코팅하여 $5^{\circ}C,\;25^{\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성 실험 및 코팅 처리된 계란 표면의 미생물 억제 효과 시험을 하였다. 살모넬라균과 같이 음식물의 섭취를 통해서만 감염되는 식중독의 원인 균의 증식 억제 효과 시험에서 $5^{\circ}C$에서 저장 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0.5% sodium alginate처리군이 뛰어난 세균 증식 억제 효과를 보였다. 계란의 pH는 저장 기간에 $CO_2$를 방출하거나 저장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코팅된 계란의 pH가 대조군의 pH보다 낮게 나타났다. $5^{\circ}C$의 저장 온도에서 대조군의 pH가 7.72에서 7.94의 변화를 보였으며, 0.5%의 sodium algiante 용액으로 코팅한 계란에서는 7.72에서 7.85의 pH 변화가 나타났다. $5^{\circ}C$$25^{\circ}C$에 30일간 저장하면서 난황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난황 계수와 계란의 품질을 평가하는 종합적인 수치인 Haugh unit를 측정하였다. Haugh unit은 30일간 저장하였을 경우 대조군인 경우 66.02, 0.5% sodium alginate로 코팅한 경우는 70.37로 얻어졌다. 난황 계수는 0.5% 농도의 시료로 코딩한 계란에서 대조군의 0.39보다 높은 0.42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 결과를 통해서 sodium alginate의 코팅 형성 능력이 계란의 표면에 유해 세균을 억제하고 저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Effect of different sources and inclusion levels of dietary fat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raised under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 Kim, Jong Hyuk;Lee, Han Kyu;Yang, Tae Sung;Kang, Hwan Ku;Kil, Dong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407-1413
    • /
    • 2019
  • Objective: This experiment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sources and inclusion levels of dietary fat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raised under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Methods: A total of 480 Hy-Line Brown laying hens at 31 wk of age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5 experimental diets. The control diet contained 2,800 kcal/kg nitrogen-correcte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with no fat addition. Four additional diets were prepared by adding 2.0% or 4.0% of animal fat (AF) or soybean oil (SO). Energ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consistent among all diets. Diets were fed to hens for 4 weeks. Average daily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26.7^{\circ}C{\pm}1.52^{\circ}C$ and $77.4%{\pm}4.50%$. The heat stress index was approximately 76, indicating that hens were raised under heat stress conditions. Results: Final body weight (BW) was greater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2.0% or 4.0% AF than for those fed the control diet or diets containing 2.0% or 4.0% SO. The BW gain and feed intake were greater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additional AF or SO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Eggshell thickness was the greatest (p<0.05) for hens fed the control diet, but the least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4.0% SO. Egg yolk color was the greatest (p<0.05) for hens fed the control diet, but the least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4.0% SO. Conclusion: Inclusion of supplemental fat (AF and SO) in diets exhibits preventative effects on BW loss for hens raised under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when energ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diets were maintained. The effects were greater for AF than for SO. However, inclusion of supplemental fat in diets decreases eggshell thickness and egg yolk yellowness, possibly due to a reduction in Ca absorption and intake of egg yolk colorants.

사료 내 ME 수준에 따른 산란 후기 '우리맛닭' 종계의 생산성, 종란품질 및 부화율의 비교 (Comparison of Performance, Egg Quality and Hatchability of Woorimatdag Breeders Fed the Dietary Levels of Metabolic Energy during Late Laying Period)

  • 임천익;이우도;김희진;윤연서;손지선;김현권;유아선;허강녕;추효준;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19-124
    • /
    • 2023
  • 본 연구는 산란후기 '우리맛닭' 종계의 사료 내 ME 수준이 체중, 산란율, 종란품질 및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48주령 '우리맛닭' 종계 암탉 80수를 개별 케이지에 분배한 후 16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두 가지 수준의 ME(2,500 kcal/kg, 2,700 kcal/kg)사료를 4반복과 반복 당 10수씩 배치하여 급여하였다. 본 연구결과, 종계의 체중과 사료섭취량은 ME의 수준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48~52주령의 종계는 2,500 kcal/kg 처리구에서 2,700 kcal/kg 처리구보다 개선된 산란율을 나타냈다(P<0.05). 그러나 52~64주령의 종계에서는 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종란의 난중, 난각두께 및 난각강도는 처리구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종란의 수정률과 부화율은 ME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산란후기 '우리맛닭' 종계의 ME 수준을 2,500 kcal/kg으로 낮추어도 생산성 측면에서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맥섬석과 한방제재 첨가급여가 재래닭 교잡종의 계란생산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acsumsuk and Herb Resources on Egg Performance and Quality in Korean Native Crssbred Chicken)

  • 김병기;황은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125-131
    • /
    • 2012
  • 본 시험은 산란계에 대한 맥섬석과 한방제재의 첨가급여가 계란의 생산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란초기에 있는 재래닭교잡종(재래닭${\times}$레드브로교잡종) 360수를 공시하여 4처리로 임의 배치하였다(각 처리구당 30수${\times}$3반복), 대조구(무첨가), 시험 1구(맥섬석 0.3% 첨가), 시험 2구(한방제재 0.3% 첨가), 시험 3구(맥섬석 0.3%+한방제재 0.3%)로 나누어 8주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료섭취량과 난중 및 평균 산란율은 처리구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그러나 파란율은 대조구(3.41%)가 시험구보다 크게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시험 3구가 가장 낮은 파란율을 나타내었다(P<0.05). 전란 중에서 조지방의 경우는 대조구(11.20%)가 시험구(9.67 - 10.01%) 보다 크게 높게 나타났다(P<0.05). 계란품질에서 호우유니트 계수, 난황색, 난각 두께 및 난각 강도는 시험구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그러나 난각 강도는 시험구(36.98 - 37.52)가 대조구(35.56)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난황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시험 3구(14.91 mg/g)가 다른 처리구보다 크게 낮았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가 시험구보다 더 높았으나, 불포화 지방산은 시험구(66.82 - 67.00%)가 대조구(64.58%)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맥섬석과 한방제재 혼합첨가제는 난황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고, 계란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내 Agariemycetes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계란 품질 및 분내 유해 가스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ariemycetes Supplementation on Egg Quality and Fecal Noxious Gas Concentration in Laying Hens)

  • 정지홍;김효진;왕건평;김채현;정청환;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5-150
    • /
    • 2010
  • 본 연구는 산란계에 Agariemycetes 첨가 급여에 따른 계란 품질 및 분내 유해 가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55주령 ISA Brown 240수를 공시하였으며, 사료에 대한 7일간의 적응 기간 후 6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CON(basal diet), 2) A1(basal diet + Agariemycetes 0.1%), 3) A3(basal diet + Agariemycetes 0.3%) 및 4) A5(basal diet + Agariemycetes 0.5%)로 4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과 난중은 시험 기간 동안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난각 강도에 있어서는 2주차에 A3와 A5 처리구가 CON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6주차에 A5 처리구가 CON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각 두께에 있어서는 2주차에는 생균제 첨가 처리구가 CON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4주차에는 A5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황색은 2주차에 A5처리구가 CON 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4주차에는 A3 처리구가 CON 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Haugh unit에 있어서는 2주차에 A3 처리구가 CON 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6주차에는 모든 Agariemycetes 처리구가 CON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Ammonia 함량에 있어서는 Agariemycetes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H_2S$ 함량은 Agariemycetes 첨가구가 CON구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Mercaptans 함량에서는 CON구와 A5 처리구가 A3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높게 나타났다(P<0.05).

산란계 사료에 비태인의 수준별 급여가 하절기 생산성 및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류명선;신원집;김상호;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49-51
    • /
    • 2001
  • Betaine functions as an osmoregulators in the cells and its inclusion can spare the choline, carcass fat reduction. Thus, two hundred eighty eight of seventy eight weeks old laying hens were fed with 0, 500, 1,000, 2,000 ppm betaine addition during the environmentally high temperature stress. Basal diets contained 16% CP and 2,800 ME. Egg productio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were examined for eight weeks. Egg qualities, liver betaine, blood osmolarity, AntiDiuretic Hormone(ADH) were measured at the end experiment. Egg production of hens fed 500, 2,000 ppm dietary betaine and showed significance between control and 2,000 ppm betaine treatment(P<0.05). ADH of blood sera tended to increase as dietary supplemental betaine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s indicated that dietary supplemental betaine was 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eggshell breaking strength, liver betaine in this experiment.

  • PDF

산란계 사료에 Glutinicus 첨가가 산란 생산성, 난각 및 난황색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병윤;임희석;백인기;김명국;최주희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84-86
    • /
    • 2003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yeast Rhodotourula glutinis(Glutincus) on th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ers. A total of 360 ISA Brown layers of 72 weeks old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6 diets :control, 25 ppm ${\beta}$-carotene. 0.5%, 1%, 2% and 4% Glutinicus supplemented diet.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three times with 20 birds housed in 2 birds cage units. Glutinicus supplemented at the level of 0.5% significantly(p<0.05) improved egg production and FCR. Soft and broken egge production rate decreased as the level of Glutinicus supplementation increased. Eggshell was highest in Glutinicus 4% supplementation. Egg yolk color increased linearly as the level of Glutinicus supplementation increased up to 2% of the diet. It was concluded that Glutinicus supplementation at the level of 0.5% can be recommended for the improvement of egg production while 2.0% can be recommended for egg yolk pigmentation.

  • PDF

육용종계 산란기의 영양소 요구량과 사료급여 체계 (utrient Requirements and Feeding System of Broiler Breeder Hens)

  • 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5-98
    • /
    • 1996
  • Results of experiments on the nutrient requirements and feeding system of broiler breeder hens were reviewed, and daily requirements of energy and protein were calculated using the prediction equations reported by Scott(1977) and NRC(1981). The experimental reports on daily ME needs of broiler breeder hens were ranged from 400 to 450 kcal, however, the ME needs of caged hens were 92~93% to those of floor-housed hens due to the difference of ME need for activity. The ME needs of broiler breeders decreased with increasing environmental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 drop of 25 kcal per day for each 5˚C rise. About 80~90% of the daily ME needs were used for body rnaintenance and activity of hens. Experimental results on daily protein needs of broiler breeder hens were ranged from 18 to 22 g, however, calculated protein needs decreased as the BW gain and eggmass output decreased after peak production, and about 60~65% of the daily protein needs were used for egg production. In the current practice, broiler breeder hens are restricted in feed, and consume their daily allowance in the first 2 to 6 h after dawn. The results suggest that eggshell qua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n hens fed during the afternoon when shell calcification is initiated, with no adverse effect on laying rate and fertility of eg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