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type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6초

연못 조성년도와 크기에 따른 잠자리 군집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y According to Age and Size of Pond)

  • 김지석;피재황;정태준;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3-301
    • /
    • 2014
  • 서울시내 15개 인공연못의 조성연도와 연못 면적에 따른 잠자리 군집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잠자리는 총 6과 36종이었으며, 잠자리과가 19종으로 가장 많았다. 출현빈도와 밀도를 고려하여 상대적 중요치를 측정한 결과, 아시아실잠자리와 밀잠자리가 가장 높았으며, 큰청실잠자리, 애기좀잠자리, 먹줄왕잠자리 등 16종은 상대적으로 희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년수에 따라 우점종은 1~3년는 아시아실잠자리, 4~6년는 된장잠자리-밀잠자리-고추좀잠자리, 10년 이상은 방울실잠자리-아시아실잠자리로 나타나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조성연도와 종다양성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10년 이상이 지난 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1~3년된 연못보다 높았다. 산란유형은 분산분석결과 10년 이상 된 인공연못이 식물 내 산란 종수와 타니산란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연못면적이 넓을수록 종다양성지수는 증가하였으며, 잠자리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인공연못조성 면적은 $100{\sim}300m^2$내외로 판단되었다.

개심술시 체외순환에 의한 혈청 POTASSIUM 변동에 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f Changes in Serum Potassium Ion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Extracorporeal Circulation with Heart-Lung Machine)

  • 고태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5호
    • /
    • pp.854-863
    • /
    • 1990
  • Since the open heart surgery was performed, various kinds of problem concerning the extracorporeal circulation[EGG] have been known. The author investigated the changes of serum potassium ion before and after ECC among the 102 patients including 63 adults and 39 children who underwent open heart surgery from April 19S6 to February 1990 in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The mean values of potassium ion before and after ECC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fluencing factors such as priming solution, aortic cross clamping time, the underlying disease, the type of oxygenator and the amount of cardioplegic solu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l. In the aspect of congenital and acquired heart disease groups, the mean values of serum potassium ion[Mean\ulcornerS.D.] before and after ECC revealed a significant change only in the acquired heart disease group[congenital; 3.87$\pm$0.48mEq /L vs. 4.05$\pm$0.73mEq /L, P>0.05, acquired: 4.40 $\pm$0.98mEq /L vs. 4.11$\pm$0.52mEq /L, P<0.05]. Between the two groups, the changes of the mean values of serum potassium ion before and after ECC were significant[P<0.05]. But all values were within normal limits. 2. In the aspect of the aortic cross clamping time[ACCT], in the groups of less or more than 120 minutes, the mean values of serum potassium ion before and after ECC revealed no significant change[less than 120 min; 3.97+-0.64mEq /L vs. 3.99+0.67mEq /L, P>0.05, more than 120 min; 4.34+0.82mEq /L vs. 4.27+0.62mEq /L, P>0.05], and The changes of mean values of serum potassium ion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P>0.05]. 3. In both membrane and bubble oxygenator groups, the mean values of serum potassium ion before and after ECC did not reveal a significant difference respectively [membrane; 4.74 +1.40mEq /L vs. 4.28+0.3lmEq /L, P>0.05, bubble; 4.02 +0.60mEq /L vs. 4.05 L0.68mEq/L, P>0.05], and no differences between the membrane and bubble oxygenator groups[P >0.05]. 4. In the groups of membrane and bubble oxygenator in the cases of ACCT more than 120 minutes, the mean values of serum potassium ion before and after ECC did not reveal a significant difference respectively[membrane; 4.36$\pm$0.85mEq /L vs. 4.37$\pm$0.26mEq /L, P>0.05, bubble; 4.30 $\pm$0.80mEq/L vs. 4.23$\pm$0.67mEq/L, P>0.05], and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P>0.05]. 5. In spite of increased amount of cold potassium cardioplegic solution, the mean values of serum potassium ion before ECC were similar to those of serum potassium ion after ECC[less than 20ml /kg

  • PDF

Phosphorus-32에 의한 집파리의 표식효과 (I) (Studies on Phosphorus-32 Labeling of the House Fly ( I ))

  • 유준;정규회;권신한;김호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3-97
    • /
    • 1974
  •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해충의 생리 및 생태학적 연구를 위한 제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서 집파리를 공시재료로 하며 유충기에 P-33를 희석농도별로 표식시킨 후에 충태별, 일영별, 부위별 및 $F_l$ 세대의 표식방사능에 대한 동태를 시험하있으며 사용계측기별 희석농도를 결정 하여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처리유충은 일령의 경과에 따라 표식방사능이 증가되었으나 노숙유충기인 6영기 이후 부터는 감소되었다. 2. 성충으로 우화된 후의 용피에는 약 $13.2\%$의 방사능이 잔류되었다. 3. 우화성충은 일령의 경과에 따라 표식방사능이 감소되었으며 성전체내에서 P-32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0.14 일 이었다. 4. 성충체의 부위별 표식방사능 분포율은 복부에 가장 많은 방사능이 분포되어있으며 다음이 흉부, 두부, 지부, 시부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5. 표식성충 자웅간에 산난된 난과 부화유충의 100개당 표식방사능은 G.M. Counter를 사용할 경우 0.2 microcurie 이상에서 검출이 가능하였다. 6. 표식성충 숫놈과 정상 암놈과의 교미에서 산난된 난과 부화유충은 미량의 방사능을 바타냈으며. G.M. Counter의 경우 2.0 microcurie, Proportional Counter는 0.2 microcurie 이상에서만 검출 가능하였다. 7. P-32의 처리농도가 높아지면 성충의 사충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처리농도 0.5 microcurie는 집파리를 표식시키는 가장 합리적인 처리농도라 할 수 있다.

  • PDF

채소류 진딧물에 대한 칠성풀잠자리붙이의 포식량 및 밀도억제 효과 (Prey Consumption and Suppression of Vegetable Aphids by Chrysopa pallens (Neuroptera: Chrysopidae) as a Predator)

  • 이건휘;이승찬;최남영;김두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51-258
    • /
    • 2000
  • 진딧물류의 포식성 천적인 칠성풀잠자리붙이의 충태, 온도조건, 먹이밀도 조건 등에 따른 포식량 및 몇 가지 채소작물에서 진딧물 밀도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칠성풀잠자리붙이 3령유충은 17, 22, 및 $27^{\circ}C$에서 각각 29.8, 77.9, 133.6 및 155.7마리의 목화진딧물을 포식하였으며,$ 27^{\circ}C$에서 산란전 성충은 73.1마리, 산란중인 성충은 86.6마리, 수컷성충은 69.7마리의 복숭아혹진딧물을 포식하였다. 칠성풀잠자리붙이는 목화진딧물 밀도가 증가하면 포식량도 점차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율은 차차 감소하는 Holling의 기능적 반응곡선 제II형(포화형)과 일치하는 경향이었으며, 칠성풀잠자리붙이 3령 유충은 탐색률이 가장 높고 탐색시간은 짧았다. 칠성풀잠자리붙이의 목화진딧물 제어능력은 고추, 가지, 토마토에서 칠성풀잠자리붙이 난:진딧물의 비율이 1:4, 오이는 1:3일 때 효과적이었다. 또한 칠성풀잠자리붙이 2령 유충:진딧물의 비율이 고추에서 1:30,오이와 토마토에서는 1:20일 때 효과적으로 진딧물 밀도를 억제할 수 있었다. 시설하우스에 고추를 정식한 후 6월~9월 사이에 약제방제 4회 실시한 것과 칠성풀잠자리붙이 난을 3회 접종한 것의 방제효과가 비슷하였다.

  • PDF

파를 가해하는 파굴파리의 충태별 피해 양상 및 행동 (Injury Aspects of the Stone Leek Leafminer, Liriomyza chinensis Kato (Diptera: Agromyzidae) on Welsh Onion)

  • 최인후;김정화;김길하;김철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5-343
    • /
    • 2003
  • 파굴파리의 파 잎의 가해 습성을 조사한 결과 암컷성충은 잎의 외부에서 즙액을 섭취하고 엽육에 산란함으로서 피해를 주었다. 피해 잎은 직경 0.48mm의 백색 원형의 흡즙흔이 수십 개씩 점선을 형성하였고, 산란흔은 0.1${\times}$0.14mm 장타원형이고 1개 또는 수 개씩 V자형으로 무리를 지어 산란하였다 집단사육에서 성충의 흡즙은 우화당일에 시작하여 4-5일째에 가장 왕성하였고, 산란은 우화 2일부터 6일째까지 일별 산란수가 비슷하였다. 또한 흡즙과 산란은 밤보다는 낮에 더 활발하였다. 유충은 엽육에 갱도를 뚫고 엽의 위아래로 섭식하다가 밀도가 높고 발육이 진전되면 잎 끝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잎을 고사시켰다. 유충 1마리의 식해량은 72.1$\textrm{mm}^2$이었다. 노숙유충이 잎에서 탈출하는 시간은 오전 5-7시이었고, 번데기는 토양깊이 5cm, 파측면 10 cm근처에서 대부분 용화하였다. 월동태는 번데기로 지표에서 토양깊이 10cm 이내에서 서식하였으며, 5월상순부터 6월하순까지 약 2개월 사이에 우화하였다. 성충은 잔존된 파, 묘상, 이식된 포장, 밭뚝 등으로 이동하여 생존하였다.

가지과 작물에서 분리한 Alternaria 속 균의 형태적, 분자생물학적 특징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lternaria Isolates from Solanaceous Crops)

  • 유승헌;조혜선;김병련;박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3-113
    • /
    • 2003
  • 국내의 가지과 작물에서 분리한 Alternaria 25 균주를 공시하여 분생포자의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고 A. solani와 A. tomaotphilad의 대표균주와 비교하였다. 분리균주 중 형태적으로 구별되는 몇 균주들과 대표균주를 공시하여 감자, 토마토, 가지, 고추에 대한 병원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대표균주를 포함한 Alternaria 17개 균주를 공시하여 ITS 영역과 histone h3 유전자의 염기서열분석, URP (universal rice primer)에 의한 핵산지문분석을 실시하였다. Alternaria 균주들은 분생포자의 형태적 특징에 의하여 A. tomaotophila(ATO), A. solani(ASO) 및 미동정의 Alternaria sp.(ASP)의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고 A. solani(ASO)는 분생포자 부리(beak)의 특징에 의하여 다시 ASO(1)과 ASO(2)의 2 type으로 나눌 수 있었다. ATO와 ASO 균주들은 실험에 사용한 감자, 토마토, 가지, 고추에 모두 병원성이 있었고 ATO 균주는 특히 토마토에 강한 병원성이 있었으나, ASP 균주는 감자에만 병원성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molecular marker중 ITS와 histon H3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은 4개의 형태적 group을 명확히 구분할 수 없었지만, URP-PCR 핵산지문분석법은 이들 group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었다. 분생포자의 형태, 병원성검정, 분자생물학적 특징을 종합할 때 토마토 겹무늬병에 관여하는 A. tomatophila는 감자겹둥근무늬병에 관여하는 A. solani와 뚜렷이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감자에서 분리한 Alternaria sp.(ASP)는 A. solani(ASO)와 형태적으로 유사하였지만 분생포자의 폭이 두껍고 부리(beak)가 작다는 점에서 ASO와 구별되었으며 가지과 작물에서 보고된 바 없는 신종으로 추정되었다.

국내 분리주를 이용한 오리 바이러스성 간염 생백신주의 개발 (Development of a live vaccine strain of duck viral hepatitis using a Korean isolate)

  • 성환우;김재홍;송창선;한명국;이윤정;모인필;김기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0-116
    • /
    • 2000
  • Duck viral hepatitis is an acutic, highly infectious viral disease of young ducklings. The most practical means for controlling duck viral hepatitis is the vaccination of ducklings or of a breeding stock. We attempted to develop a vaccine strain of duck hepatitis virus (DHV) using a Korean isolate by serial chicken embryo passages. The propagation of DHV in chicken embryos was carried 140 passages. After the $50^{th}$ passage, of which the virus was non-pathogenic for ducklings, approximately every $20^{th}$ passage of the virus was tested for vaccinal efficacy. Both the $70^{th}$ and $90^{th}$ passage of the virus gave good protection against challenge infection to a DHV-DRL reference strain(type 1) and a virulent Korean isolate. The $110^{th}$, $125^{th}$ and $140^{th}$ passage of the virus were less protective than the $70^{th}$ and $90^{th}$ passage, which means that more than $110^{th}$ passage may lead to over-attenuation of the virus. Ducklings vaccinated with the chicken-embryo-adapted virus by oral, intramuscular or eye drop administration showed earlier resistance to challenge infection from 3 to 7 days postvaccination. Of the above methods, ducklings vaccinated intramuscularly presented the most rapid resistance against challenge. The minimum immune dose of the chicken-embryo-adapted virus in ducklings was also studied. Ducklings inoculated with a dose of $10^{2.0}\;ELD_{50}$ and below were not fully protected against challenge with a virulent DHV, showing a protection rate of 67% to 73%, but ducklings inoculated with a dose of $10^{3.0}\;ELD_{50}$ and over were completely protected. The virus yield of the chicken-embryo-adapted DHV was examined at 24hrs and 48hrs of the incubation time in the allantoic fluid, embryo head and embryo minus head of the embryonating egg. In all three components, the titer of the virus was higher at 48 hours than that at 24 hours after incubation. And the titer of the virus was higher in the embryo minus head, embryo head and the allantoic fluid, in order. Field trials for evaluating the efficacy of the attenuated DHV as a live vaccine were done in duck farms with about 25% mortality of flocks resulting from duck viral hepatitis. After the use of the experimental vaccine, the mortality due to duck viral hepatitis was dramatically reduced in the farm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ttenuated DHV using a Korean isolate could be a good candidate as a live vaccine strain of DHV in Korea.

  • PDF

Cordyceps militaris 인공자실체 형성조건 (The Condition of Production of Artificial Fruiting Body of Cordyceps militaris)

  • 최인영;최정식;이왕휴;유영진;정기태;주인옥;최영근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4호통권91호
    • /
    • pp.243-248
    • /
    • 1999
  • 야생에서 Cordyceps militaris를 채집하여 실험실에서 균을 분리하였으며, 형태적, 배양적 특징 및 인공자실체 형성조건에 관하며 몇 가지 실험을 하였다. 인공자실체에 형성된 C. militaris의 자좌는 곤봉형 또는 막대 형태로 야생에서와 같이 오랜지색을 띄었다. 자좌에 형성된 자낭각은 달걀모양으로 반나생 하며, 크기는 $30{\sim}90{\times}90{\sim}130\;{\mu}m$로 원주상의 자낭과 장방추형의 자낭포자를 가지고 있었다. C. militaris의 불완전 세대는 구형이나 땅콩모양의 분생포자를 형성하며, PDA 배지에서 양모상으로 중앙 융기한다. 인공자실체 형성조건에 관하며 배양용기로는 생육일수가 빠르고, 발이율과 수량이 높은 PP 배양병이 적당하였으며, 조명도는 1,000 lx에서 자실체 생육이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자실체 행성에 적합한 염가의 배지는 누에 번데기 보다 쌀보리, 밀과 현미 등의 곡물배지이며, 자실체 형성을 위해 종균제조에 사용되는 균주는 3회 이상 계대배양 할 경우 급격한 수량 감소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PDF

축분자원화물 발생 및 배출부하 원단위 특성 (Characteristics of Unit Load Generation and Discharge from Livestock Resources)

  • 한기봉;이영신;임재명
    • 유기물자원화
    • /
    • 제16권4호
    • /
    • pp.82-90
    • /
    • 2008
  • 돼지의 분뇨 발생량을 측정한 결과, 3계절과 생체 중량을 고려한 평균 분뇨 발생량은 분이 1.49kg/head/d, 뇨가 3.08kg/head/d로서 총 4.57kg/head/d가 발생하였다. 오염물질 항목별 발생부하 원단위는 BOD 199.5g/head/d, CODCr 413.5g/head/d, 총질소 27.8g/head/d, 총인이 5.3g/head/d로서 BOD를 제외한 기타 오염물질의 발생부하 원단위는 기존 문헌상의 값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우의 경우 분 발생량은 10.9kg/head/day 뇨 발생량은 3.3kg/head/day 으로 조사되어 농림부(2000)의 조사결과보다 다소 적게 나타났다. 젖소의 경우 분 발생량은 24.6L/head/day 로 다른 기관과는 차이가 났지만, 환경부(2006)의 자료와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뇨 발생량은 10.5L/head/day 로 농림부(2000)와 축산기술연구소(2000)보다는 높았지만, 환경부(2006)와 국립환경연구원(1986)과 한국과학기술원(1990)보다는 다소 낮게 조사되었다. 닭의 오염물질 배출량 및 농도분석 원단위를 통하여 산출된 배출부하 원단위는 사육두수 및 사료의 종류, 분의 처리방법의 상이함에 의해 산란계에서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배출부하 원단위 중 사슴의 경우 기존의 문헌보다 높게 측정된 것은 사슴의 축종별 체중과 오염물질 발생량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ifenazate 저항성 점박이응애의 유전과 교차저항성 (Inheritance and Cross Resistance of Bifenazate Resistance in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 유정수;서동규;김은희;한종빈;안기수;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1-156
    • /
    • 2005
  • 2000년 12월 경북 칠곡의 장미재배지에서 채집한 점박이응애를 실험실에서 4년 동안 bifenizate로 150회 이상 도태하여 248.8배의 저항성계통을 얻었다. 이 저항성 계통의 유전과 9종 살비제에 대한 성충과 알의 교차저항성 유무를 조사하였다. 감수성계통 수컷과 저항성계통 암컷을 상호교배$(S{\times}R)$하여 얻은 $F_1$ 우성도는 성충과 알에 대해서 각각 0.48, 0.94로 불완전우성이었으며, $R{\times}S$ 으로 상호 교배하여 얻은 $F_1$ 우성도는 성충과 알에 대해서 각각 -0.85, -0.17로 불완전열성이었다. 이 저항성 점박이응애의 성충은 acequinocyl, fenpyroximate에 대해 각각 9.9, 5.0배의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에 대해서는 각각 0.14, 0.04배의 역상관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알은 amitraz, emamectin benzoate, fenpyroximate, milbemectin, pyridaben, spirodiclofen에 대해 각각 22.0, 11.7, 32.3, 16.3, 394.8, 19.5배의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abamectin에 대해서는 0.01배의 역상관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