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Yolk Color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7초

팽이버섯 배지 부산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eding Flammuling veluipes Media on Productivity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나재천;장병귀;김상호;김지혁;김성권;강희설;이덕수;이상진;정종천;이진건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3-147
    • /
    • 2005
  • 팽이버섯 배지 부산물(F. velutipes media by-product)의 사료 자원화를 위하여 산란계 사료에 0, 5 및 $10\%$를 12주간 하이라인 갈색산란계 360수에게 급여하였다. 전 시험 기간 동안의 산란율, 난중, 산란량, 사료요구율 및 생존율은 대조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서 120.5g 으로 T2의 123.9g보다 유의적으로 적었다(p<0.05). 난각강도, 난각두께 및 호우유니트도 시험 전 기간 동안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난황색은 대조구, T1, T2에서 각각 7.92, 7.29 및 6.83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T2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팽이버섯배지부산물을 산란계 사료원료로서 $5\%$를 급여하여 대조구와 비교시 생산성 및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으므로 사료자원으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10\%$를 급여시에 난황색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므로 착색제의 첨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토종 종계 계통 간 교배조합 시험에 따른 신품종 토종 실용산란계 생산 (Production of a New Synthetic Korean Native Commercial Layer Using Crossbreeding among Native Chicken Breeders)

  • 신가빈;이슬기;김기곤;이준호;장수용;허정민;추효준;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03-212
    • /
    • 2023
  • 본 연구는 산란능력이 우수한 토종 실용산란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토종 종계 4계통(YC, YD, CK, CF)을 이용하여 이면 교배조합 검정시험(diallel crossbreeding test)을 실시하였다. 능력검정은 6개 조합의 312수를 대상으로 발생 후부터 60주령까지 생존율, 체중, 초산일령, 난중, 산란율 및 난질을 조사하고, 이들의 생산능력 및 결합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조합의 평균 생존율은 77.1±18.8%이고, 조합 중 YDYC조합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고, YCCF조합의생존율이 가장 낮았다. YDYC조합의 경우, YD와 YC계통 간의 특정결합능력이 특히 우수하였다. 체중은 모든 측정 주령에서 조합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전 기간 YDYC 조합의 자손이 다른 조합의 자손들보다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1). 평균 초산일령은 121.3±2.5일로 조합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주령부터 60주령까지 전체조합의 평균 일계산란율은 74.0±6.4%이었고, 산란지수는181.4±33.8개로 일계산란율은 조합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조합 중 YDCF 및 YCCK조합의 산란 성적이 가장 높았고, YDYC 및 CKCF조합이 가장 낮았으며, 이들의 성적은 일반결합능력보다 특정결합능력에 의해 더욱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중은 측정 시점 모두에서 조합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YDYC조합의난중이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난각색, 난각 두께, 난각 무게 모두 조합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P<0.01), 난각색은 YDYC조합의 달걀이 가장 짙었고, 난각 두께는 YDCF조합이 가장 두꺼웠다. 내부 난질은 조합 간 차이가 없었으며, 난황색은 YDCF조합이 가장 짙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란 능력을 바탕으로 최적의 토종 실용산란계를 선정시 산란율이 우수하면서 생존율이 높은 YCCK조합과 산란율이 우수하면서 상대적으로 난질이 양호한 YDCF조합이 가장 바람직한 조합으로 사료된다.

In Vitro Cultivation of Cymatocarpus solearis(Brachycoeliidae) Metacercariae to Obtain the Adult Stage without the Marine Turtle Definitive Host

  • Grano-Maldonado, Mayra;Alvarez-Cadena, Jos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8권1호
    • /
    • pp.49-55
    • /
    • 2010
  • In vitro cultivation of trematodes would assist studies on the basic biology of the parasites and their hosts. This is the first study to use the yolk of unfertilized chicken eggs as a simple and successful method of ovocultivation and the first time to obtain the adult-stage of the trematode Cymatocarpus solearis Braun, 1899 (Digenea: Brachycoeliidae). Chicken eggs were inoculated with metacercariae from the muscle of the spiny lobster, Panulirus argus (Latreille, 1804). The metacercariae were excysted and incubated for 576 hr (24 days) at $38^{\circ}C$ to obtain the adult stage. Eggs in utero were normal in shape and light brown color. The metacercariae developed into mature parasites that have been identified as the adultstage found in marine turtles. The adult lobsters collected in Quintana Roo State, Mexico, showed the prevalence of 49.4% and the mean intensity of 26.0 per host (n=87). A statistical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at no parasitic preference was detected for male versus female parasitized lobsters. Morphometric measurements of the adult-stage of C. solearis obtained in our study have been deposited in the National Helminths Collection of the Institute of Biology of the National Autonomous University of Mexico.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time that a digenean of the family Brachycoeliidae has been demonstrated to develop in vitro from metacercariae into adults capable of producing eggs using the yolk of unfertilized chicken eggs. Secondly, this technique allows to obtain the adult stage of C. solearis without the presence of its marine turtle host, allows us to describe the mature parasites, and thu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biology of C. solearis.

난황형성부터 성숙까지 메기(Silurus asotus) 난모세포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al Changes of Oocytes from Vitellogenesis into Maturation in Korean Catfish, Silurus asotus)

  • 윤종만;김영길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4호
    • /
    • pp.447-463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istomorphological changes and the electrophoretic patterns of egg components, obtained from 100 of 2-year-old female catfishes (Silurus asotus). Female Korean catfishes collected in the vicinity of Chollabukdo have synchronous ovaries which discontinously ovulate eggs during the breeding season (from late May until early July). The fishes were killed by severing the spinal cord just posterior to the head after immobilization with tricaine methanesulfonate (MS 222). Especially, the light microscopic and ultrastructural changes of ooplasm and follicular membranes of oocytes, were examined by means of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size of the nucleoli and number of the yolk granules increased as the oocyte groved. Yolk granules were deposited in the oocyte as fluid Due to tile presence of large early and late maturing oocytes, their ovaries were enlarged, transparent, granular and greenish in color. As the percentages of fish in late maturing oocyte (LMO) and ripe oocyte (RO) stage increased from March to April, mean gonadosomatic index (GSI) values (19.95%) increased. Zona radiata changed from squamous into cuboid in shape in the early maturing oocyte (EMO) stage. Processes, microvilli, from the zona radiata and from the oocyte grow, and mak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pore canals of the zona radiata during vitellogenesis, but are withdrawn as the zona radials becomes more compact and devoid of pore canals during oocyte maturation. Seasonal changes in the microscopic appearance of the ovaries were well correlated with those in both gonadosomatic index and macroscopic appearance. The main cytological changes such as increase in size of cell, nucleus, nucleolus, and increase in number of nucleoli and mitochondria demonstrated with electron microscopy in the previtellogenic oocytes of Korean catfish, provided evidences for important synthetic processes in an early preparatory phase of oocyte development. The electrophoretic pattern of major band in mature stage was much thicker (24 k, 66 k, 90-110k dalton) than that in previtellogenic phase.

  • PDF

유기산제와 효모배양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Organic Acid Mixture and Yeast Culture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ing Hens)

  • 류경선;박재홍;박강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6
    • /
    • 2002
  • 유기산제와 효모 배양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주령 이사브라운 갈색계를 이용하여 16주간 사양실험을 시행하였다. 처리구는 무침가구인 대조구, 유기산제와 효모 배양물을 각각 0.1, 0.2% 수준으로 하였고 처리구당 5반복으로 반복당 18수씩 총 450수를 체중이 비슷하게 하여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산란율과 난중, 사료섭취 량은 4주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계란의 난각 강도. 난각 두게, Haugh unit, 난황색을 처리구별로 측정하였다. 난황의 지방산 조성은 실험 개시 후 8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효모 배양물 0.1%급여시 31∼34주령의 산란율은 97.1%로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23∼26주령에서 1일 산란량은 유기산제 0.2% 급여구가 증가하였고(P<0.05), 31∼34주령에서는 효모 배양물 0.1%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사료섭취량은 유기산제와 효모 배양물이 대조구와는 타이가 없었지만 27∼30주령에서 효모 배양물 0.1% 급여구는 유기산제 0.1% 급여구 보다 증가하였다(P<0.05). 난각 강도는 34주령에서 유기산제 0.1% 급여구가 효모배양물 0.1% 급여구에 비해서 증가하였으나(P<0.05), 대조구와 차이는 없었다. 34주령에 측정한 Haugh unit은 유기산제 급여구가 대조구보단 현저하게 높았으며(P<0.05), 난황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기산제 0.1%급여구는 난황내 C20:4의 함량을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시켰고(27주령)(P<0.05), 유기산제 0.1%, 0.2%급여구는 Cl6:0의 함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34주령)(P<0.05).

부로일러사료에 있어서 밀감피의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I. 밀감피 건조분말의 사료적 가치 (Studies on Possible Utilization of Citrus Peel as a Feed Ingredient for Broilers I. Feeding Value of Dried Citrus Peel)

  • 강상열;최진호;백동훈;신원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7-101
    • /
    • 1983
  • 밀감피 건조분말의 부러일러에 대한 사료가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밀감 가공공장에서 박피된 밀감피를 수거한 후 일광건조 및 분쇄하여 밀감피 건조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밀감피 건조분말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함양 및 광물질 함양을 분석하였다. 부로일러 전용종인 Maniker 초생추 암컷 192수를 12수씩 16개군으로 나누어 밀기울을 대치한 밀감피 건조분말의 수준을 0, 2. 4 및 6%의 4개 처리 4반복으로 완전임의배치하여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사양시험 종료시 전 공시추에 대하여 개체별로 정강이 착색도를 조사하였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로일러의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 밀감피 건조분말의 급여수준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2: 부로일러의 정강이 착색도는 밀감피 건조분말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부로일러사료에 밀기울을 대치하여 밀감피 건조분말을 6% 수준까지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Three Different Soybean Meal Sources on Layer and Broiler Performance

  • Park, Y.H.;Kim, H.K.;Kim, H.S.;Lee, H.S.;Shin, I.S.;Whang, K.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254-265
    • /
    • 2002
  • Soybean meal (SBM) is a major protein source in poultry feeds and one of the best quality ingredients because of the relatively high protein content, good amino acid profile and bioavailability. But soybean meal quality is largely dependent on the processing technology and origins. In this experiment, effects of three different soybean meals were evaluated in layer (experiment 1) and broiler (experiment 2). Soybean meal sources used in the experiments were the US-originated dehulled soybean meal (USDHSBM), India-originated non-dehulled soybean meal (India SBM) and Brazil-originated non-dehulled soybean meal (Brazil SBM). Experiment 1 was conducted during growing and laying periods and evaluated the interactive effects of soybean meal sources according to feeding periods on growth performance and egg quality. Experiment 2 was conducted during growing period (day 1-35) and finishing period (day 35-42). The growth performance was measured for the same periods and any possible interaction between soybean meal origins and crude protein levels was also studied. In experiment 1, chicks fed India SBM utilized feed more efficiently (p<0.05) than those fed Brazil SBM from day 29 to day 42. The body weights of layers during the laying period had no relation to egg production. But egg weights were significantly heavier in all the USDHSBM fed groups than other groups (p<0.001) and depended on feed protein source during growing period (p<0.001). The average egg weight of the USDHSBM fed group scored the highest value (65.4 g), followed by the Brazil SBM fed group (62.1 g) and India SBM fed group (62.1 g). There was an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origins of soybean meal fed group in growing and laying period on eggshell color (p<0.01). Eggshell was significantly stronger in the USDHSBM fed (for growing period) groups than other groups (p<0.05) on $31^{st}$ week. Haugh's unit (HU), albumin index and yolk index of the USDHSBM fed group in growing stage were significantly superior (p<0.001) to other groups. In experiment 2, for the 7-week, chicks on the India SBM group gained less (p<0.001) weight than other groups. While daily gain of India SBM chicks was not affected by dietary crude protein level, those of the USDHSBM and Brazil SBM chicks were linearly increased as dietary crude protein level increased from 18% to 20%. The gain per feed ratio of the USDHSBM group was the highest (0.585), followed by the Brazil SBM group (0.568) and India SBM group (0.550) (p<0.01). Therefore, in this experiment, the use of USDHSBM with excellent protein quality and amino acid digestibility could be of advantage to the economic production of layer and broiler.

갈조류 첨가 사료로 식이한 산란계 계란의 품질 특성 (Effects of diet with brown alga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ggs)

  • 조길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94-300
    • /
    • 2014
  • 미역, 다시마, 톳 등 갈조류 3종이 산란계의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기존의 양계사료(대조구)에 미역(A처리구), 다시마(B처리구), 톳(C처리구)을 각각 10% 첨가하여 8주간 사육한 후 생산된 계란의 표면색깔, fucoxanthin, 무기질,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갈조류 첨가에 의해 난황의 표면색깔은 적갈색으로 변화하는 경향이었고, 미역을 첨가한 A처리구가 가장 크게 일어났다. Fucoxanthin 함량은 원료 갈조류에서 21.3~34.8 mg%로 검출되었으나, 난황으로 이행되었다고 확인할 수는 없었다. 무기질 함량으로 Ca은 300.2 mg%에서 328.2~391.2 mg%로, Fe는 4.5 mg%에서 4.9~6.3 mg%로, Na은 2.5 mg%에서 88.2~99.7 mg%로, K는 350.8 mg%에서 402.2~450.5 mg%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P는 199.4 mg%에서 110.5~149.5 mg%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총 무기질 함량은 톳이 첨가된 C처리구에서 1,155.1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으로 포화지방산은 38.3%에서 30.4~32.1%로 감소하고 불포화지방산은 61.5%에서 68.1~69.6%로 증가하였는데, 다가 불포화지방산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강제환우와 보존기간이 난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ced Molting and Storage Time on the Egg Quality)

  • 오홍록;이봉덕;이수기;류현덕;유동조
    • 농업과학연구
    • /
    • 제33권1호
    • /
    • pp.17-24
    • /
    • 2006
  • 본 실험은 강제환우가 난질 및 계란의 저장기간에 따른 계란품질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에 공시된 계란은 환우하지 않은 60주령된 ISA Brown 노계의 계란을 대조구 (Control), 55주령에 환우를 실시한 처리구1 (T1), 70주령에 환우를 실시한 처리구2 (T2)를 각각 240수씩 총 720수를 공시하였다. 사료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산란사료를 사용하였다. 산란율이 50%에 도달하였을 때 정상란을 채집하여 난각 및 내 외부 난질을 저장 1일, 3일, 6일, 9일, 12, 15일에 조사하였다. 난각강도는 강제환우를 시키지 않은 60주령의 일반란과 70주령에 환우를 실시한 처리구보다 55주령에 강제환우를 실시한 처리구에서 난각강도가 유의하게 (p<0.05) 높게 나타났다. 난각두께는 각 처리구간 혹은 저장기간별로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난각색과 난중은 대조구인 60주령과 환우처리를 실시한 두 처리구간 및 저장 기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난백고는 환우를 수행하지 않은 대조구가 환우를 실시한 두 처리구보다 더 높았으며 강제환우를 실시한 두 처리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환우처리에 관계없이 난백고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Haugh unit는 강제환우 처리를 한 두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p<0.05). 또한 저장기간이 길수록 세 처리구 공히 Haugh unit가 현저하게 감소하여서, 난백고와 비슷한 경 향을 보였다. 난황색은 환우처리별, 혹은 저장기간 별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란계에 대한 강제환우는 난각강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난백의 높이 및 Haugh unit는 오히려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Oligosaccharides 계열 생균제가 산란계의 생산성, 장내 미생물 및 혈청 면역 글로불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Oligosaccharides on the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Serum Immunoglobulin Contents in Laying Hens)

  • 김찬호;신광석;우경천;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5-131
    • /
    • 2009
  • 본 실험은 mannan-oligosaccharide(MOS)와 fructo-oligosaccharides(FOS)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소장 내 미생물 균총 및 혈액 내 항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27주령의 산란계(Hy-Line Brown) 96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6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40수씩 randomized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 관리(자연 일조 + 조명; 16 h)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대조구, 항생제구; avilamycin 6 ppm, MOS 0.025%구, MOS 0.05%구, FOS 0.25%구, FOS 0.5%구 등 총 6처리구를 두어 실시하였다. 일계 산란율과 hen-housed 산란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일계 산란율과 hen-housed 산란율은 MOS 0.025%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난중, 사료 섭취량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FOS 0.25%구가 다른 첨가구와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난각 두께에서는 FOS 0.25% 처리구가 MOS 0.025%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난각 강도, 난각 색깔 지수, 난황 색깔 지수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augh unit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첨가구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 IgG 농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혈청 IgA 농도는 FOS 0.25%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Lactobacillus는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고, Cl. perfrigens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E. coli는 첨가구들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MOS와 FOS는 산란계에서 산란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고 혈중 IgA 및 장내 미생물 균총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