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icency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3초

Feasible Power Loss Analysis and Estimation of Auxiliary Resonant DC Link Assisted Soft-Switching Inverter with New Zero Vector Generation Method

  • Manabu Kurokawa;Claudio Y. Inaba;M. Rukonuzzaman;Eiji Hiraki;Yoshihiro Konishi;Mutsuo Nakaoka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2권2호
    • /
    • pp.77-8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three-phase soft-switching voltage-source inverter with an auxiliary resonant dc link (ARDCL) snubber circuit. Firstly, the operation principle of ARDCL snubber circuit is described. Secondly, this paper proposes an effictive generation method of zero voltage vector for three-phase voltage-source soft-switching inverter in power losses in which power losses in the ARDCL snubber circuit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zero voltage holding interval in the inverter DC busline can be controlled due to the new generation scheme of zero voltage vector. Thirdly, a simulator for power loss analysis for power loss characteristics based on actual system, is developed. the validity of developed. The validity of developed simulator of proved with experimental results. Finally, power efficency of three-phase inverter is estimated according to high carrier frequency by using the simulatior.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 기반 분배 브래그 하부 반사기를 적용한 고효율 광 격자 커플러 (High-Efficency Grating Coupler with Distributed-Bragg Bottom Reflector Based on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 박지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41-24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 (a-Si:H) 기반 분배 브래그 반사기 (Distributed Bragg Reflector, DBR)을 적용한 광 격자 커플러를 제안하여 라이다 시스템에서 고효율의 나노 광 방사기로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분배 브래그 반사기는 아랫방향으로 누설되는 광학 장을 감소시켜 커플링 효율을 높게 한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광 격자 커플러는 기존의 광 격자 커플러와 비교하여 약 1.4 배가 높은 far-field 세기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속 드레싱 공정을 이용한 엔지니어링 세라믹스의 평면 연삭 가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 grinding machining of Engineering ceramics using "In-process dressing" method)

  • 강재훈;허성중;김원일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8-189
    • /
    • 1993
  • Engineering ceramics have some excellent properties as the material for the mechanical components. It is, however, very difficult to grind ceramics with high efficiency because of their high strength, hardness and brittleness. In this paper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obtain the effect of "In-process dressing" to grind the Engineering ceramics with high efficiency. To save running time for dressing process and obtain restraint effect of diamond grain wear, "In-process dressing" system usint WA stick type honing stone is proposed. Representative High Strength Engineering ceramics A1$_{2}$O$_{3}$ and Si$_{3}$N$_{4}$are ground with diamond wheel. Also bending strengrh test is carried out to check upward tendancy of mecahnical properties as the result of machining defact restraint through the grinding maching method using "In-process dressing" process. Som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attain the high efficency grinding and the high mechanical properties of Engineering ceramics.rties of Engineering ceramics.

  • PDF

통합혼합정수계획법 모형을 이용한 수력발전소의 최적 발전기 운영계획 수립 (Optimal Unit Commitment of Hydropower System Using Combined Mixed Integer Programming)

  • 이재응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5호
    • /
    • pp.525-535
    • /
    • 1999
  • 유역내의 수력 에너지자원과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통합혼합정수계획법(combined mixed integer proguamming)을 사용한 최적 발전기 운영계획 모형을 개발하였다. 통합혼합정수계획법 모형은 기왕에 개발된 혼합정수계획법 모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순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조건부 제약조건과 택일 제약조건들을 선형계획법 모형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수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미국 콜로라도강 하부유역에 통합혼합정수계획법을 적용한 경우를, 최적화 모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및 혼합정수계획법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한 결과, 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유역효율이 0.67% 증가하였고, 혼합정수계획법을 사용한 경우보다 유역효율이 1.53% 감소하였다. 통합혼합정수게획모형의 효율이 감소한 이유는 혼합정수계획법모형보다 전력요구량과의 허용오차를 감소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사육한 흰쥐 혈청 지질의 성분에 미치는 대두 배아의 영향 (Effects of Soybean Germ on the Lipid Composition of Serum in Cholesterol Fed Rats)

  • 이홍수;김현대;류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2-318
    • /
    • 2000
  • 대두(Glycin max Merrill) 배아의 기능적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를 발아시켜 만든 배아(soybean sprout)을 시료로 하여 0.75% 콜레스테롤 첨가식이로 유발된 고지혈증 Sprague Dawley계 수컷의 흰쥐에 대두 배아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급여시킨 후 혈청의 지질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주간 동안 대두 배아를 섭취시켰다. 식이 급여가 대조군의 체중 및 장기 무게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으며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고. 콜레스테롤 식이군에 비하여 콜레스테롤 식이와 대두 배아 메탄올 추출물의 혼합투여시 낮게 나타났다.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는 대두 배아 추출물 급여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동맥경화 지수는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 비하여 대두 배아 추출물이 낮았다. 또한 혈청중의 유리 콜레스테롤 및 고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농도는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 비해 대두 배아의 혼합 급여군이 감소하였고, 인지질의 농도도 콜레스테롤 식이군 보다 콜레스테롤 식이와 대두 배아 급여군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파두가대황(巴豆加大黃)이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과 자연살해세포(自然殺害細胞)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노훈정;전병훈;문구;문석재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5-90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study the antitumor effects and Activity of Natural Killer Cell of semen Tiglii plus Rhizoma Rhei. The cytotoxic and antitumor effects were evaluated on human cell lines(A549, Caki-1, LL2, Sarcoma 180, NIH/3T3) after exposure to prebrewed Semen Tiglii plus Rhizoma Rhei water extract 0.1, 0.2, 0.4, 0.8, 1.6mg/ml using in MTT assay, LDH, colony forming efficency and SRB assay which were regarded as a valuable method for cytotoxic and antitumor effects of unknown compound on tumor cell lin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ies were as follows. 1. From the result of MTT assay, the cytotoxicity of ST(生巴豆霜), ST+RR(生巴豆霜加大黃) were concentration-dependently increased in both group of the ST and ST+RR, the cytotoxicity of ST+RR(生巴豆霜加大黃) was similar to that of ST(生巴豆霜). 2. From the result of LDH, the cytotoxicity of ST, ST +RR were concentrati -on-dependently increased in both group of the ST and ST+RR, the cytotoxicity of ST+RR was similar to that of ST. 3. The antitumor effect on A549 tumor cell from the result of colony forming efficiency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in both group of the ST and ST+RR, the inhibitory effect on growth was low slightly in the ST+RR. 4. From the result of SRB assay, the antitumor effect on caki-1 tumor cell of ST, ST+RR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in both group of the ST and ST+RR, the antitumor effect of ST+RR was similar to that of ST. 5. Median survival time and increased life span were increased slightly in both group of the ST and ST+RR. 6.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Sarcoma 180 and Lewis lung carcinoma tumor cell were increased slightly in both group of the ST and ST+RR. 7. The activity of NK cell was increased in the ST+RR.

  • PDF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풍력 선별기의 선별효율 연구 (The Study of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Wind Power Selector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이건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3호
    • /
    • pp.74-81
    • /
    • 2013
  • 본 연구는 생활폐기물 처리에서 매립되는 폐기물량을 줄이고 재활용비율을 늘리기 위하여 고안된 풍력선별기 (공기의 흐르는 방향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서 비중분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ANSYS사의 CFX Program을 이용한 수치 해석적 방법을 통해 풍력선별기의 모형을 설계 및 제작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풍력에 따른 폐기물의 분리 효율을 고찰하였다. 흡입장치에서 비닐봉지 1000mL를 흡입하도록 설계할 때 입구 풍속은 0.9 m/sec 이상에서 100%효율을 얻을 수 있었고 1.6 m/sec 이상에서 의 플라스틱병 500mL 와 플라스틱병 1500mL의 혼합 폐기물 효율의 100 % 알루미늄 250mL 선별 효율은 2.3 m/sec 이상에서 100% 마지막으로 알루미늄 250mL를 5mm 두께 압축 선별 효율은 2.4 m/sec 이상에서 90% 임을 알 수 있었다.

중형항공기 고효율 복합재 블레이드의 설계 연구 (A Study on Structural Design of High Efficency and Lightweight Composite Propeller Blades of Regional Aircraft)

  • 공창덕;박현범;이경선;최원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01-504
    • /
    • 2011
  • 본 연구에서 터보프롭 항공기의 프로펠러 블레이드에 대한 구조 설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로펠러는 고속으로 비행할 수 있는 추력을 얻기 위해 구조적으로 높은 강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로펠러 구조 설계 시 고강도 및 고강성의 특성을 지닌 카본/에폭시 복합재료가 적용되었으며, 경량화를 위하여 스킨-스파-폼 샌드위치 구조 형태를 채택하였다. 구조 설계 하중은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공력하중과 원심 하중을 분석하여 결정하였으며, 스파 플렌지는 굽힘 하중을 담당하고 스킨은 전단 하중을 담당하도록 복합재료 설계 개념을 반영하였다. 구조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용 유한 요소 해석 코드인 나스트란을 활용하여 구조 해석을 수행하였다. 최종 공력 및 구조 설계 결과 분석을 통하여 설계된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효율이 우수하며 안전한 구조인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비유에 대한 래복자 약침(藥鍼)이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肥滿) 백서(白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 Acupuncture(Raphanus Sativus) at $BL_{20}$ on the Hyperlipemia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 강수우;위통순;윤대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5호
    • /
    • pp.113-125
    • /
    • 2007
  • Objectives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rbal acupuncture(Raphanus sativus) at Bisu($BL_{20}$) on weight gain, food intake, food efficiency, serum of lipid concentrations, liver function and HDL to total cholesterol ratio of rats fed high fat diet for 5weeks. Methods :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high fat diet group(Control), high fat diet and saline in $BL_{20}$ treated group(Saline), high fat diet and Raphanus sativus-herbal acupuncture in $BL_{20}$ treated group(RHA-1, 0.058mg/ml/g), high fat diet and Raphanus sativus-herbal acupuncture in $BL_{20}$ treated group(RHA-2, 0.029mg/ml/g), high fat diet and Raphanus sativus-herbal acupuncture in $BL_{20}$ treated group(RHA-3, 0.011mg/ml/g), Herbal acupuncture was bilaterally treated at 0.2cc per 4days, total 14 times in 56days. Results : Body weight and food efficiency were decreased in saline, RHA-1, RHA-2. Feed intake was increased in saline, RHA-1, RHA- 2, RHA- 3. The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was decreased in saline, RHA-1. The level of serum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were not significant. The level of serum triglyceride, Total Bilirubin were decreased in saline, RHA-1, RHA-2, RHA-3.The level of serum AST was decreased in RHA-1. But the level of serum ALT was increased in RHA-1. The level of atherogenic index was decreased in saline, RHA-1. The level of HTR was increased in saline, RHA-1. Conclusions : Raphanus sativus-herbal acupuncture in Bisu($BL_{20}$) can control body weight, feed intake and feed efficency ratio, total cholesterol, total bilirubin, and prevention cardiovascular risk.

  • PDF

NASCOM에 의한 실험결과 예측 (Verification of NASCOM :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for Structural Concrete)

  • 조순호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87-195
    • /
    • 1996
  • 콘크리트 구조요소의 비선형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압축응력장 이론의 기본개념인 압축강도 연화 현상, 거시적 및 회전균열 모델을 고려한 유한요소해석이 제시되었다. 수치해석상의 효율성 및 최대하중 이후의 거동에 주안점을 두어 초기재료 강성을 채택한 변위증분법 논리 및 빠른 수렴을 위한 Over-Relaxation 방법이 Isoparametric계의 8-Node 요소에 포함.유도되었다. 상기에 근거하여 제작된 비선형 프로그램, NASCOM은 다조하중을 지지하는콘크리트 구조요소의 내력, 변형특성, 균열 분포 상황 및 보강근의 항복 분포를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NASCOM의 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이러한 목적에 빈번히 사용되는 Bhide의 패널(PB21) 및 Leonhardt의 춤이 큰보에 대한 해석이 실시되었다. 패널에 대한 해석결과는 대체로 변형이력 및 강도가 강한 거동을 나타내는 반면에, 춤이 큰보에 대해서는 변형이력이 유연한 거동을 나타내고있어, 향후 보다 정확한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인강강화 및 압축강도 연화현상에 대하여 좀더 향상된 재료모델의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